동사나 형용사의 뒤에 출현하여 동작이나 상태변화의 완성, 경험 등의 어법의미 표현한다.
(1) 완성상 조사 ʐa44 : 동작이나 상태변화가 완성됨을 표현한다. 문미에만 출현할 수 있고 동사/형용사와 목적어 사이에는 출현이 불가능하다.
(2) 경험상 조사 kwa35 : 한어의 경험을 나타내는 (过)를 차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