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miao:4_ss:53_comp:53_comp

53_comp : 비교 (comparison)

  • 먀오어는 비교문 형식이 비교적 풍부하며, 동등비교문과 차등비교문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동등비교문

1) 주체+표지1[n`@N22](和)+기준+표지2[a44/21s`ei35](一样)+결과

west2430 yujinzhi2011:294
we44n`@N22m@N31a44/21s`ei35lj@N31
1SGCOMPAR2SGCOMPARold
나와 너는 나이가 같다.

2) 주체+기준+표지[a44/21s`ei35](一样)+결과

주체와 기준은 공통으로 하나의 구조성분을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west2430 yujinzhi2011:295
we44M53le53m@N31a44/21s`ei35lj@N31
1PL2SGCOMPARold
우리 둘은 똑같은 나이이다.

(2) 차등비교문

먀오어의 차등비교문은 유표지 차등비교문과 무표지 차등비교문으로 분류된다. 유표지 차등비교문에는 6가지의 유형이 있고, 무표지 차등비교문에는 2가지의 유형이 있다. 다음과 같다.

1) 유표지 차등비교문

qa53更(표지1), pi44比(표지2), J_+@N22和(표지3)의 세 가지 표지는 비교주체, 비교기준어순, 비교문의 어법의미에 대해 제한의 작용을 한다.

① 주체+pi44표지2+기준+qa53표지1+결과

pi44qa53의 두 개의 비교표지가 있음, pi44는 비교의 주체를 나타내고 qa53은 비교결과를 나타낸다.

west2430 yujinzhi2011:287
te53ts\_hi31pi44dz\E35ts\a35qa53s`E53
PRCOMPAR3PLfatherCOMPARtall
샤오칭은 그의 아빠보다 키가 크다.

② 주체+qa53표지1+결과+n`@N22표지3+기준+naN44 (조사, 的)

qa53는 비교결과, n`@N22는 비교기준, 비교주체는 무표지, 문말의 조사 naN44 은 긍정의 어기 및 완결의 의미를 증가시킨다.

west2430 yujinzhi2011:288
te53ts\_hi31qa53s`E53n`@N22dz\E35ts\a35naN44
PRCOMPARtallCOMPAR3PLfatherFP
샤오칭은 그의 아빠보다 키가 크다.

③ 주체+qa53표지1+결과+비교기준+naN44 (조사, 的)

qa53 하나로 비교표지와 비교결과를 모두 나타냄, 이 형식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비교에 주로 많이 쓰인다.

west2430 yujinzhi2011:288
te53ts\_hi31qa53s`E53dz\E35ts\a35naN44
PRCOMPARtall3PLfatherFP
샤오칭은 아빠보다 키가 크다.

④ 주체+qa53표지1+결과

이 구조는 qa53하나만 사용하며, 비교기준이 나타나지 않은다. 두 개 절의 대비관계를 나타낼 때 주로 쓰이며, 앞 절의 주어가 뒷 절의 비교기준이 되고, 뒷 절의 주어가 앞 절의 비교기준이 된다.

west2430 yujinzhi2011:288
m@N31qa53lj@N31,bM44qa53s\u53
2SGCOMPARold,3SGCOMPARyoung
너는 그보다 나이가 많고, 그는 너보다 나이가 적다.

⑤ 주체+ta53le53(自己)+qa53표지1+결과

이 형식의 특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비교주체 뒤에 ta53le53가 오며, 비교주체의 범위를 제한한다. 비교주체의 유일성을 분명히 한다. 둘째, 비교기준을 화제형식으로 문두에 두고 비교주체와 비교기준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이다. 셋째, 일정 범위 안에 있음을 나타내고 비교주체의 성질의 정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west2430 yujinzhi2011:289
na35ts\u53t_he35tsɿ44,bM44naN44ta53le53qa53s`aN35
like.thatmanycar3SGPOSSoneselfCOMPARfast
이렇게 차가 많은데, 그의 차가 가장 빠르다.

⑥ 주체+pi44표지1+기준+결과

이 형식은 pi44 하나의 표지만을 사용하며, 비교주체와 비교기준은 pi44의 양쪽에 위치하여 한어의 어순과 동일하다.

west2430 yujinzhi2011:289
te53ts\_hi31pi44dz\E35ts\a35s\E53
PRCOMPAR3PLfathertall
샤오칭은 아빠보다 키가 크다.

2) 무표지 차등비교문

2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첫 번째의 형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

① 주체+결과+기준+차등수량

이 구조는 반드시 수량구가 출현하여 주체와 기준의 차이 수량을 나타낸다.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물간의 비교에 쓰인다.

west2430 yujinzhi2011:290
we44lj@N31m@N31pu53ts\u35
1SGold2SGthreeyear
나는 너보다 3살이 많다.

② 주체+결과+기준+naN44(조사, 的)

이 형식의 사람사이의 나이를 비교할 때 주로 쓰이는 것으로 사용빈도율이 높지 않다.

west2430 yujinzhi2011:290
we44z\aN35m@N31naN44
1SGtender2SGFP
나는 너보다 어리다.
doc/miao/4_ss/53_comp/53_co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6:01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