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onguor:1_phonology:11_cons:11_cons

11_cons : 자음 (consonant)

(1) 단자음

  • 몽구오르어의 자음은 총 26개가 있다.
bilabial stop b p
bilabial nasal m
labiodental fricative f v
alveolar stop d t
alveolar fricative s
alveolar sibilant dz ts
alveolar nasal n
alveolar lateral approximant l
alveolar trill r
Retro­flex fricative ʂ ʐ
Retro­flex sibilant dʐ tʂ
palatal fricative ɕ j
palatal sibilant dʑ tɕ
velar stop g k
velar fricative x
velar nasal ŋ
uvular stop ɢ
  • ‘b, d, g’와 ‘p, t, k’는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쌍을 이루고 있다.
  • ‘dz, dʐ, dʑ’와 ‘ts, tʂ, tɕ’는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쌍을 이루고 있다.

(2) 자음의 특징

  • ‘dʐ, tʂ, ʂ, ʐ’는 차용어에서만 나타나고 ‘ts’는 늘 ‘s’로 대체될 수 있다.
  • ‘d, t, n, l’는 모음 ‘e, ee’ 앞에서 구개음화현상이 일어난다.
  • ‘s, dz’, ‘b, v’, ‘d, r’, ‘m, n’는 자유변이현상이 일어난다.
  • ‘s, dz’의 자유변이는 어간말음절 모음 ‘e’ 앞에 일어난다.
  • ‘b, v’의 자유변이는 음절초에서 일어난다.
  • ‘d, r’의 자유변이는 음절말에서 일어나지만 ‘d→r’의 변화만 가능하다.
  • ‘m, n’의 자유변이는 음절말에서 일어나지만 ‘m→n’의 변화만 가능하다.
tuuu1240 zhaonasitu2009:184
  • funeesə → funeedzə : 먼지
  • baŋla- → vaŋla- : 묶다
  • nad → nar : 질병
  • lom → lon : 책, 경서
  • 일부 자음은 음절초에만 나타나고 일부 자음은 음절초나 음절말에 나타난다.
  • ‘ŋ’는 다른 자음과 함께 자음군을 이룰 때만 음절초에 나타날 수 있다.

(3) 자음군

  • 몽구오르어의 자음군은 총 28개가 있다.
  • 자음군은 보통 음절초에만 나타난다.
  • ‘sg, ŋg’는 복수를 나타내는 문법요소로서 어중 음절초에 나타날 수 있다.

1) 비음+파열음/파찰음

  • 비음들이 같거나 가까운 조음위치에서 발음되는 파열음이나 파찰음과 결합하여 자음군 ‘mb, mp, nd, nt, ndz, ndʐ, ntʂ, ndʑ, ntɕ, ŋg, ŋk, ŋɢ’ 등이 이루어진다.

2) 무성 마찰음+무기 파열음/무기 파찰음

  • 무성 마찰음(f 제외)들이 각각 무기 파열음이나 무기 파찰음과 결합하여 자음군 ‘sg, sɢ, ʂb, ʂd, ʂdz, ʂg, ʂɢ, ɕdʑ, xg, xɢ’ 등이 이루어진다.

3) 전동음+무기 파열음/무기 파찰음

  • 전동음이 무기 파열음이나 무기 파찰음(dʐ 제외)과 결합하여 ‘rb, rd, rdz, rg, rɢ’ 등이 이루어진다.
doc/monguor/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1/30 15:47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