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monguor
»
1_phonology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추적:
•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monguor: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몽구오르어의 동화현상은 크게 네 가지가 있다.
① ii + a/o → aa/oo + a/o
부정부사 ‘lii(안, -지 않다)’, ‘sii(없이, -지 않았다)’, ‘bii(-지 말다)’에 있는 모음 ‘ii’ 뒤에 모음 ‘a’나 ‘o’로 시작되는 단어가 오면 ‘ii’가 ‘a’나 ‘o’로 동화되면서 장음으로 실현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
:187
lii ajəlɢasa → laajəlɢasa: 협박하지 않는다면
sii ajəlɢava → saaajəlɢava : 협박하지 않았다
bii ajəlɢa → baajəlɢa : 협박하지 말다
lii otɕəm → lootɕəm : 먹지 않다, 마시지 않다
sii orova → soorova : (비가) 오지 않았다
bii oɢo → booɢo : 주지 말다
말을 빨리 할 때 위와 같은 현상들이 더 흔하게 일어난다.
② ə → i
자음 ‘dʑ, tɕ, ɕ, j’ 뒤에 있는 (즉 음절 말에 있는)‘ə’가 강세가 없거나 강세가 있는 폐음절에서 모음 ‘i’로 동화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
:188
labdʑə : 잎 + -la : 조어법 형태소 → labdʑəla → labdʑila : 잎이 돋아나다
mauuɕə : 고양이 + -sge : PL → mauuɕəsge → mauuɕisge : 고양이들
ajə- : 두렵다 + -mel : 조어법 형태소 → ajəmel → ajimel : 두려움이 많은
ɕə- : 가다 + -m : FUT → ɕəm → ɕim : 갈 것이다
③ s + dʑ → ɕ + dʑ
자음 ‘s’가 자음 ‘dʑ’에 의하여 같은 위치에 발음되는 ‘ɕ’로 동화된다.
‘sə’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자음 ‘dʑ’로 시작되는 문법 형태소가 결합될 때 어간말음의 모음 ‘ə’가 탈락하면서 자음 ‘s’가 ‘dʑ’에 의하여 ‘ɕ ’로 동화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
:188
ndasə- : 목이 타다 + -dʑə : 연동 부동사(并合体副动词) → ndasədʑə → ndaɕdʑə
nesə- : 날다 + -dʑin : PTCP, PROG(形动词进行体) → nesədʑin → neɕdʑin : 날고 있는 것
④ n + 양순음 → m + 양순음; n + 연구개음/구개수음 → ŋ + 연구개음/구개수음
tuuu1240
zhaonasitu2009
:188
saiin : 좋다 + malɢa : 모자(hat) → saiim malɢa : 좋은 모자
kun : 사람 + guaa : 없다 → kuŋ guaa : 사람이 없다
doc/monguor/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1/30 14:55 (바깥 편집)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