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onguor: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hiatus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몽구오르어의 모음충돌회피에는 모음탈락과 관련된 현상들이 있다.

1) 단모음(短母音)의 탈락

  • 단모음(短母音)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장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요소가 결합되면 어간말의 단모음(短母音)이 탈락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88
  • manta- : 파다 + -aa : 순서 부동사(顺序体副动词) → mantaa
  • kəle- : 말하다 + -ee : 순서 부동사(顺序体副动词) → kəlee
  • oɢo- : 주다 + -oo : 순서 부동사(顺序体副动词) → oɢoo

2) ‘ə’의 탈락

① 자음 ‘s, l, r’ 등 뒤에 있는 ‘ə’가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문법요소와 결합되는 경우 ‘ə’가 탈락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89
  • ndasə- : 마시다 + -va : 평서문 과거시제 → ndasva
  • surə- : 배우다 + -la : 목적 부동사 → surla
② 연동 부동사(并合体副动词)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dʑə’ 뒤에 판단 조사 ‘a/ii(-吗)’가 결합되면 ‘-dʑə’에서의 ‘ə’가 탈락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89
  • re-dʑə + a → redʑa : 왔다.
  • re-dʑə + ii → redʑii : 왔다.
③ 평서문의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nə’ 뒤에 의문 조사 ‘uu(吗)’가 결합되면 ‘-nə’에서의 ‘ə’가 탈락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89
  • tanə-nə + -uu → tanənuu : 알아요?(认识吗)
  • mude-nə + -uu → mudenuu : 알아요?(知道吗)

3) ‘a’의 탈락

  • 평서문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va’ 뒤에 의문 조사 ‘uu’가 결합되면 ‘-va’에서의 ‘a’가 탈락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89
  • mudeva + -uu → mudevuu : 알았어요?
  • naadəva + -uu → naadəvuu : 놀았어요?
doc/monguor/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hiatu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1/30 14:55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