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onguor: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몽구오르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 등 문법 범주를 가진다.
  • 하나의 명사가 이 세 가지 문법 범주를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문법 범주들의 순서는 ‘수—격—소유’이다.

(1) 명사의 수

  • 몽구오르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있다.

1) 단수

① 몽구오르어의 단수는 보통 명사 어간으로 표현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90
  • kun : 사람(사람 한 명)
  • diuu : 남동생(남동생 한 명)
  • xonə : 양(양 한 마리)
  • ger : 집(집 한 채)
② 명사 어간과 수사 ‘nəge(하나)’의 결합으로 명사의 단수를 나타낸다.
  • 이때 수사 ‘nəge(하나)’는 추상적인 문법 의미, 즉 단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동시, 음운에도 변동이 생긴다.
  • 즉, ‘ŋge’로 발음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90
ku(n)ŋgeredʑ(ə)a.
person(one)comebe
사람 한 명 왔다.
tuuu1240 zhaonasitu2009:190
ndaadiuuŋgeii.
Iyounger.brother(one)have
나는 남동생 하나 있다.

2) 복수

  • 몽구오르어 명사의 복수는 문법요소 ‘-ŋgula, -sge’로 나타난다.
  • 이들이 서로 교체될 수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190
təreeguku(n)ŋgula(orkunsge)jaagənii?
therepeople(orpeople)what.dobe
거기에 있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2) 명사의 격

  • 몽구오르어의 명사는 주격, 속격·대격(領賓格), 처격·여격(位與格), 탈격·비교격(離比格), 도구격·공동격(造聯格), 목적어 공동격(連同格) 등이 있다.

1) 주격

  • 몽구오르어에서 명사의 주격은 동작의 주체나 서술의 대상을 나타낸다.
  • 특별한 문법 요소가 없으며 명사 어간(복수를 나타내는 명사 어간이 포함됨)으로 나타난다.
tuuu1240 zhaonasitu2009:191
təmurxadoŋva.
ironhardbe
철이 딱딱하다.
tuuu1240 zhaonasitu2009:191
bulaii-sgenaadəlaɕəva.
child-PLplaygo
아이들이 놀러 갔다.

2) 속격·대격(領賓格): -nə

  • 몽구오르어 명사의 속격·대격은 ‘-nə’로 표기된다.
  • 사람이나 사물의 소유 관계나 동작의 직접적인 객체를 나타낸다.
tuuu1240 zhaonasitu2009:191
aaba-nəmalɢa-nəndəreegee.
father-GENhat-ACChereput
아버지의 모자를 여기에 놓아라.
대격 표지의 생략

속격·대격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를 생략할 수도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191
tɕaaotɕə,ʂdəmede.
teadrink,steamed.buneat
차 마신다, 찐빵 먹는다.
tuuu1240 zhaonasitu2009:191
tɕaa-nəotɕə,ʂdəme-nəde.
tea-ACCdrink,steamed.bun-ACCeat
차를 마신다, 찐빵을 먹는다.

3) 처격·여격(位與格): -də

  • 몽구오르어 명사의 처격·여격은 ‘-də’로 표기된다.
  • 동작의 목표, 확정된 지점, 목적, 결과, 성격 그리고 언급된 대상을 나타낸다.
tuuu1240 zhaonasitu2009:191
tɕətaraa-nəʂejun-sge-dəxɢuaadʑəoɢo.
2SGfood-ACCemployee-PL-DATdividegive
네가 식량을 사원들에게 나눠 줘라.
tuuu1240 zhaonasitu2009:191
teraal-dədʑaɢasəulona.
thatriver-LOCfishmuchbe
그 강에 물고기가 많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nexaiindaanəbulaii-dəmulaava.
thisshoe1PL.POSSchild-DATsmallbe
이 신발이 우리 아이에게 작다.

4) 탈격·비교격(離比格): -sa

  • 몽구오르어 명사의 탈격·비교격은 ‘-sa’로 표기된다.
  • 동작의 시작점, 원인이나 성격, 특정의 비교를 나타낸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waŋdʑaaadebadzar-sare-dʑ(ə)a.
Wanggrandfathercity-ABLcome-CVBbe
왕씨 할아버지가 도시에서 왔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ndaanəndəreeger-sandurɕdʑoosəulonxuɢuaiva.
1PL.POSSherehouse-COMPARhightreemuchverybe
여기서는 집보다 높은 나무가 많다.

5) 도구격·공동격(造聯格): -la

  • 몽구오르어 명사의 도구·공동격은 ‘-la’로 표기된다.
  • 동작이 완성되게 하는 도구, 재료 혹은 비교 대상이나 같이 참여하는 동반자를 나타낸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sgo-latɕabdʑə,soŋxo-ladʑiuurə.
ax-INScutpen-INSwrite
도끼로 벤다, 펜으로 쓴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budiuu-la-naanaadə-va.
1SGyounger.brother-COM-REFL.POSSplay-PST
나는 내 남동생과 놀았다.

6) 목적어 공동격(連同格): -dii

  • 몽구오르어 명사의 목적어 공동격은 ‘-dii’로 표기된다.
  • 주로 동작에 딸린 대상을 나타낸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taraa-nəfuuda-diiav(u)-aaɕə-va.
food-ACCsack-COM.OBJtake-CVBgo-PST
식량을 자루와 함께 가져갔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tɕəmorətauu-laɕə-sa,xonə-diitauu-vaare.
2SGhorsechase-CVBgo-CVBsheep-COM.OBJchase-CVBcome
말을 몰러 간다면 양도 함께 몰고 와.

(3) 명사의 소유

  • 명사의 소유에는 인칭소유와 재귀소유가 있다.

1) 인칭소유

  • 인칭소유에는 1인칭소유, 2인칭소유, 3인칭소유가 있는데 단수 형태만 있고 복수 형태가 없다.
  • 1인칭소요, 2인칭소유를 나타내는 특별한 문법 요소가 없으며 속격의 인칭대명사인 ‘munə(나의-)’, ‘tɕənə(너의-)’로 나타난다.
  • 이들이 인칭소유 성분으로 명사 뒤에 나타난다.
  • 3인칭소유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으며 ‘-nə’로 표기된다.
tuuu1240 zhaonasitu2009:192
  • morə munə : 나의 말(my horse)
  • morə tɕənə : 너의 말(your horse)
  • morə-nə : 그의 말(horse-3SG.POSS, his horse)
  • 인칭소유에서 1인칭소유와 2인칭소유는 많이 쓰이지 않고 3인칭소유가 많이 쓰인다.
  • 다음은 명사가 격을 가진 뒤에 3인칭소유(-nə)가 결합되는 예들이다.
① 명사(-주격)-3인칭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aama-nəmudedʑ(ə)a.
mother-3SG.POSSknowbe
그의 어머니가 알게 되었다.
② 명사-속격·대격-3인칭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aama-nə-nədauuda.
2SGmother-ACC-3SG.POSScall
네가 그의 어머니를 부른다.
  • 속격·대격 문법 요소 ‘-nə’에서의 ‘ə’가 3인칭소유 문법요소 ‘-nə’ 앞에 장모음 ‘ii’로 바뀐다. 즉 ‘aamaniinə’가 된다.
③ 명사-처격·여격-3인칭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aama-də-nəkəle.
2SGmother-DAT-3SG.POSSsay
네가 그의 어머니에게 말한다.
④ 명사-탈격·비교격-3인칭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aama-sa-nəndura.
2SGmother-COMPAR-3SG.POSShighbe
네가 그의 어머니보다 (키가) 크다.
➄ 명사-도구격·공동격-3인칭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aama-la-nəguleldə.
2SGmother-COM-3SG.POSStalk
네가 그의 어머니와 얘기한다.
➅ 명사-목적어 공동격-3인칭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aama-dii-nəurəre.
2SGmother-COM.OBJ-3SG.POSSinvitecome
네가 그의 어머니도 함께 모셔 온다.

2) 재귀소유

  • 재귀사의 소유에는 인칭과 수의 구분이 없고 문법 요소 ‘-aa, -naa’로 표기된다.
  • ‘-aa’는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 뒤에 연결되고 ‘-naa’는 나머지 환경에 사용된다.
  • 재귀소유는 격 뒤에 결합되지만 주격은 재귀소유가 없다.
  • 속격·대격이 재귀소유 성분과 결합할 때 속격·대격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를 생략해야 한다.
① 명사(-속격·대격)-재귀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bumorə-naajarənii.
1SGhorse-REFL.POSSlook.forbe
내가 내 자신의 말을 찾고 있다.
② 명사-처격·여격-재귀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morə-də-naavesətaii-dʑəoɢo.
2SGhorse-DAT-REFL.POSSgrassput-CVBgive
네가 네 자신의 말에게 풀을 준다.
③ 명사-탈격·비교격-재귀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temorə-sa-naabauu-dʑəre-va.
3SGhorse-ABL-REFL.POSSdown-CVBcome-PST
그가 자신의 말에서 내려왔다.
④ 명사-도구격·공동격-재귀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bumorə-la-naadʑigeraaldʑə-gunii.
1SGhorse-INS-REFL.POSSdonkeychange-IPFVbe
내가 내 자신의 말로 당나귀를 바꾸겠다.
➄ 명사-목적어 공동격-재귀소유
tuuu1240 zhaonasitu2009:193
morədaxxa-dii-naafuguaaɕə-dʑ(ə)a.
horsefoal-COM.OBJ-REFL.POSSdiego-CVBbe
말과 함께 망아지도 죽었다.
doc/monguor/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30 14:28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