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monguor
»
2_wordclass
»
27_num : 수사 (numeral)
추적:
•
27_num : 수사 (numeral)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monguor:2_wordclass:27_num:27_num
목차
27_num : 수사 (numeral)
(1) 기수사
(2) 집합수사
(3) 서수사
(4) 중복수사
(5) 한정(限量)수사
27_num : 수사 (numeral)
몽구오르어의 수사는 기수사, 서수사, 집합수사, 중복수사, 한정(限量)수사 등으로 나뉜다.
집합수사, 서수사, 중복수사와 한정수사는 기수사 뒤에 문법 요소가 결합됨으로 표기된다.
(1) 기수사
기수사에는 단순 기수사와 복합 기수사가 있다.
1) 단순 기수사
단순 기수사에는 하나부터 아홉까지의 한 자릿수와 십에서 구십까지의 십 자릿수 그리고 백, 천, 만이 포함되어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8
nəge : 하나(one)
ɢoor : 둘(two)
ɢuraan : 셋(three)
deeren : 넷(four)
taavun : 다섯(five)
dʑirɢoon : 여섯(six)
doloon : 일곱(seven)
naiiman : 여덟(eight)
ʂdzən : 아홉(nine)
xaran : 열(ten)
xorən : 스물(twenty)
xodʑin : 서른(thirty)
tədʑin : 마흔(forty)
tajin : 쉰(fifty)
dʑiran : 예순(sixty)
dalan : 일흔(seventy)
najan : 여든(eighty)
jerən : 아흔(ninety)
ndʑoŋ : 백(hundred)
meŋxan : 천(thousand)
təmeen : 만(ten thousand)
2) 복합 기수사
복합 기수사는 단순 기수사의 결합이며 더하기와 곱하기로 이루어진다.
더하기 관계를 나타낼 때 큰 숫자가 앞에 있고 작은 숫자가 뒤에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8
xaran : 열 + ɢuraan : 셋 → xaran ɢuraan : 십삼
xorən : 스물 + nəge : 하나 → xorən nəge : 이십삼
nəge : 하나 + ndʑoŋ : 백 + xodʑin : 서른 + taavun : 다섯 → nəge ndʑoŋ xodʑin taavun : 백 삼십오
nəge təmeen ɢoor meŋxan ɢuraan ndʑoŋ tədʑin taavun : 일만 이천 삼백 사십오
(2) 집합수사
집합수사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는 ‘-la’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8
ɢuraa(n)-la : 셋이서 함께
deere(n)-la : 넷이서 함께
taavu(n)-la : 다섯이서 함께
기수사 하나 뒤에 집합수사 요소가 결합될 수 없다.
‘둘(two)’의 집합수사는 ‘ɢolo’나 ‘ɢuailo’이다.
(3) 서수사
기수사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는 ‘-dar’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8
ɢuraan-dar : 제삼, 셋 번째
deeren-dar : 제사, 넷 번째
‘제이(두 번째)’는 ‘ɢuai-dar’로 표현되고 ‘제일(첫 번째)’는 단어 ‘təroŋ’로 표기된다.
(4) 중복수사
중복수사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는 ‘-da’나 ‘-xuii’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9
ɢoor-da, ɢoor-xuii : 두 차례, 두 번
taavun-da, taavun-xuii : 다섯 차례, 다섯 번
(5) 한정(限量)수사
한정수사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는 ‘-xan’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9
nəge-xan : 하나만, 한 개만
ɢoor-xan : 두 개만
수사(중복부사 제외)는 특정 환경에서 해당 수량의 특징을 가지는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킴으로써 명사의 기능을 얻게 된다.
이때 수사 뒤에 격 문법 요소가 올 수 있고 기수사 뒤에는 소유 문법 요소가 올 수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9
xulunə
nəge-nə-nə
xgəleja.
gourd
one-GEN-3SG.POSS
need
박 하나 필요하다.
tuuu1240
zhaonasitu2009
:199
buda
ɢuailo-də
kəuu
guii.
1PL
two-DAT
son
NEG
우리 둘은 아들이 없다.
doc/monguor/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1/30 16:15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