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monguor: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 몽구오르어의 합성법은 주술 관계, 한정 관계, 보충 관계, 병렬 관계를 통해서 서로 다른 단어를 합성하여 새로운 단어를 이루는 것이다.

(1) 주술 관계

- 이는 명사와 동사 혹은 명사와 형용사의 합성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225
  • sgəl : 마음 + idə- : 아프다 → səgl idə- : 마음 아프다
  • nasə : 나이 + ɢarə- : 오르다 → nasə ɢarə- : 나이 들다, 늙다
  • xoɕə : 입 + ɢurdən : 빠르다 → xoɕə ɢurdən : 입이 싸다

(2) 한정 관계

  • 이는 형용사와 명사 혹은 명사와 명사의 합성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225
  • tɕaɢaan : 하얗다 + maxa : 고기 → tɕaɢaan maxa : 기름진 고기
  • xara : 까맣다 + kii : 바람 → xara kii : 폭풍
  • ɕdʑun : 아가씨, 딸 + diuu : 남동생 → ɕdʑun diuu : 여동생
  • kəuu : 아들 + bulaii : 아이 → kəuu bulaii : 남자 아이

(3) 보충 관계

  • 이는 명사와 동사의 합성이다.
tuuu1240 zhaonasitu2009:225
  • uur : 숨 + avu- : 필요로 하다 → uur avu- : 숨쉬다
  • sara : 달, 월 + sauu- : 앉다 → sara sauu- : 산후조리를 하다
  • tolɢuai : 머리 + murgu-: 부딪치다 → tolɢuai murgu- : 절하다

(4) 병렬 관계

  • 이는 주로 반의어로 합성되지만 유의어로 합성된 경우도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225
  • saiin : 좋다 + mauu : 나쁘다 → saiin mauu : 어쨌든, 좌우간
  • kəuu : 아들 + ɕdʑun : 아가씨, 딸 → kəuu ɕdʑun : 자녀
  • aaba : 아버지 + aama : 어머니 → aaba aama : 부모
  • xonə : 면양 + imaa : 염소 → xonə imaa : 양
  • ndʑasə : 쟁기 + sava : 도구 → ndʑasə sava : 농기구
  • 이상 유형의 합성어 중 한정 관계로 이루어진 합성어가 가장 많고 병렬 관계로 이루어진 합성어가 가장 적다.
doc/monguor/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1/30 11:58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