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칭대명사는 단수, 복수, 쌍수의 구분이 있다. 복수는 단수 뒤에 ho53을 추가하고, 쌍수는 단수 뒤에 ȵi55(둘)를 추가한다. 1인칭은 일반적으로 쓰임 외에도 단수와 복수에 따로 포괄형과 배제형을 둔다.
| singular | dual | plural | |
| 1 inclusive (1+2) | ŋa55ji31gu53 | ŋo55jo31ho53 | |
| 1 exclusive (1) | ŋa55ȵi55gu53 | ŋo31ho53 | |
| 1 | ŋa55 | ŋa55ȵi55 | ŋo55ho53 |
| 2 | no53 | no53ȵi55 | no53ho53 |
| 3 | tɕʰi53 | tɕʰi53ȵi55 | tɕʰi53ho53 |
인칭대명사의 단수는 주격과 목적격의 구분이 있다. 주로 운모나 성조의 변화로 이를 나타낸다.
| 인칭 | 수 | 주격 | 목적격 |
| 1 | 단수 | ŋa55 | ŋa53 |
| 2 | 단수 | no53 | na53 |
| 3 | 단수 | tɕi53 | tɕa55 |
인칭대명사에는 '직접' 했거나 '혼자'했음을 강조해서 나타내는 형태가 있다. 단수는 중첩으로 이런 의미를 나타내는데 성조의 변화가 수반된다. 3인칭 단수는 jo31jo53('자기')를 추가할 수도 있다. 쌍수는 뒤에 jo31byo53('자기')를 추가하고, 복수는 jo31byo53을 추가한 후 복수 표지 ho53을 추가한다.
| 인칭 | 단수 | 쌍수 | 복수 |
| 1 | ŋa55ŋa31ŋa55 | ŋa55ȵi55gu53jo31byo53 | ŋo31ho53jo31byo53ho53 |
| 2 | no53no31no53 | no53ȵi55gu53jo31byo53 | no31ho53jo31byo53ho53 |
| 3 | tɕi53tɕi31tɕi53/tɕi31jo31jo53 | tɕi53ȵi55gu53jo31byo53 | tɕi53ho53jo31byo53ho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