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anai
»
1_phonology
»
11_cons : 자음 (consonant)
추적:
•
11_cons : 자음 (consonant)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nanai:1_phonology:11_cons:11_cons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11_cons : 자음 (consonant)
자음의 체계
파열음과 파찰음이 무도 무성음이고 그들에 유기와 무기의 대립이 있다.
양순음
치음
치조구개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비음
m
n
ŋ
무성무기파열음
p(b)
t(d)
k(g)
q(ɢ)
무성유기파열음
pʰ(p)
tʰ(t)
kʰ(k)
qʰ(q)
무성무기파찰음
ts (dz)
tɕ(dʑ)
tʂ(dʐ)
무성유기파찰음
tsʰ(ts)
tɕʰ(tɕ)
tʂʰ(tʂ)
무성무기마찰음
ɕ(j)
ʂ(ʐ)
무성유기마찰음
fʰ
sʰ(s)
ɕʰ(ɕ)
ʂʰ(ʂ)
cʰ(x)
χʰ(χ)
전동음
r
설측 접근음
l
접근음
w
l
자음의 음운 변화
s가 모음 사이에 출현할 경우 dz와 자유 변독(自由 變讀)이 가능하다. 예: usə ~ udzə: 씨앗
ɕ가 모음 사이에 출현할 경우 유성 마찰음 ʑ와 자유 변독(自由 變讀)이 가능하다. 예: aiɕin~ aiʑin: 금(金)
앞 음절의 마지막에 출현하고 다음 음절이 또한 치경음 d로 시작할 때 유성 마찰음 ɣ와 자유 변독(自由 變讀)이 가능하다. 예: saɡdi ~ saɣdi: 크다
χ가 모음 사이에 출현할 때 ʁ와 바유 변독(自由 變讀)이 가능하다. 예: muχan ~ muʁan: 영웅
doc/nanai/1_phonology/11_cons/11_cons.152782898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01 13:56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