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anai
»
1_phonology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추적:
•
52_poss : 소유 (possession)
•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nana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목차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1) 음소의 탈락
(2) 모음조화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1) 음소의 탈락
1) 어간 모음의 탈락
모음으로 끝나는 다음절 어간 뒤에, 명사를 파생하는 접미사 -qu, 명사의 복수 표지 혹은 동사의 완망상 표지가 올 경우,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탈락된다.
nana1257
a
:0
soŋu: 울다 + -qu:명사 파생접사 → soŋqu:자주 우는 사람
mafa: 노인 + -sər:PL → mafsər:노인들
2) 어간 자음 n의 탈락
n로 끝나는 다음절 어간 뒤에 대격 조사 -mə와 관계 형용사를 파생하는 -ŋɡə, 그리고 성질 형용사 뒤에 붙는 비교급 표지 -qun/-kun, -qən/-kon이 올 경우 어간 말 n이 탈락된다.
nana1257
a
:0
sədʐən:차(車) + -mə:ACC → sədʐəmə: 차를
amtən: 맛(味) + -ŋɡə:형용사를 파생하는 접사 → amtəŋɡə: 맛있는
malχun: 많다 + -qun:COMPAR → malχuqun: 비교적으로 많다
sərɡun: 시원하다 + -kun:COMPAR → sərɡukun: 비교적으로 시원하다
3) 음절 탈락이 다른 음운 현상과 함께 일어날 경우
대부분의 다음절 명사에 동사를 파생하는 접사 -qələ, χəi를 추가할 경우, 음절 탈락뿐 아니라, 두 번째 음절의 맨 앞에 오는 자음에도 변화가 생기고 해당 음절의 모음도 탈락되며 원래 두 번째 음절의 맨 앞에 오는 자음이 첫 음절과 하나의 음절로 융합된다.
nana1257
a
:0
oɕaχtə:손톱 + -qələ: 동사를 파생하는 접사 → oʂqələ: 긁다
miaotʂan: 빼다 + -χəi: PFV → miaotɕχəi: 사격했다
(2) 모음조화
1) 모음 조화의 現狀
나나이어의 모음조화 체계가 많이 파괴되었다. 특히 어간과 문법요소(附加成分) 간의 모음조화가 매우 엄격하지 않다. 그러나 모음조화가 없는 것은 아니다.
모음은 양성 모음, 음성 모음, 중성 모음으로 나눌 수 있다.
양성 모음: a, o, œ
음성 모음: ə
중성 모음: i, u, y
2) 모음조화의 규칙
우선 단어 경계 안에서의 모음조화 규칙은 다음과 같다.
① 양성 모음은 보통 양성 모음과 어울린다. 그러나 o 뒤에 œ가 출현하지 않는다.
nana1257
a
:0
abqa: 하늘
adiqo: 한 단의 돈
arkœk: 못(茧)
tati-: 공부하다
amu: 똥
taχtɕyn: 화련어(鳙鱼)
agə: 오빠/형
dolan: 안쪽
foltqo: 구멍
qomtɕœ: 적다
oroχtə: 풀
morin: 말(馬)
omuχtə: 계란
oχtɕyn: 피라미(물고기의 한 종류, 영어: minnow)
tœqan: 새(鳥)
tœqo: 닭
dʑœbtɕœn: 재난
tœqun: 새의 부리
② 음성 모음은 보통 음성 모음과 어울린다. 그러나 ə가 a, o 앞에 출현할 때 중성 모음으로 변한다.
nana1257
a
:0
əmxə: 시어머니
ərin: 시간
əriku: 빗자루
əyin: 언니/누나
③ 중성 모음은 보통 모든 모음과 어울린다. 그러나 i와 u 뒤에 o, œ, y가 출현하지 않는다.
nana1257
a
:0
ilga: 꽃
iməxsə: 기름
dili: 머리
imnur: 삼키다
itɕyn: 팔꿈치
ufa: 밀가루
usə: 씨앗
untin: 탬버린(手鼓)
uʂkuli: 작다
uyn: 아홉
tɕyraqu: 계곡
yxtə: 머리카락
tɕylixtə: 배(梨)
tɕyŋuru: 배꼽
문법 요소의 모음은 어간 모음의 제약을 받는다.
nana1257
a
:0
sələ:철 + -nəŋɡə: POSS → sələsələ: 철의
iχan:소 + -nəŋɡə: POSS → iχaiχan: 소의
iməxsə: 기름 + -wə:ACC → iməxsəwə: 기름을
χonin: 염소 + -mə: ACC → χonimə: 염소를
doc/nana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152749277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28 16:32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