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anai: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1) 기수사와 서수사

  • 서수사는 기수사 뒤에 -tin을 부가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 그러나 기수사 1와 대응되는 첫째만 예외이다.
nana1257 anjun2009:957
  • 기수사 & 서수사
  • əmkən:1 & boŋɡoki:첫째 (만주어의 boŋɡo와 관련됨)
  • dʐuru:2 & dʐu-tin:둘째
  • ilan:3 & ilan-tin:셋째
  • dujin:4 & dujin-tin:넷째
  • sundʑa:5 & sundʑa-tin:다섯째
  • niŋun:6 & niŋun-tin:여섯째
  • nandan:7 & nandan-tin:일곱째
  • dʐaqun:8 & dʐaqun-tin:여덟째
  • uyn:9 & uyn-tin:아홉째
  • dʐuan:10 & dʐuan-tin:열째
  • tobqon:15 & tobqon-tin:열다섯째
  • orin:20 & orin-tin: 스무째
  • ɢoɕin:30 & ɢoɕin-tin:서른째
  • dəxi: 40 & dəxi-tin: 마흔째
  • sudzai:50 & sudzai-tin: 쉰째
  • nindʐu:60 & nindʐu-tin: 예순째
  • nadandʐu:70 & nadandʐu-tin:일흔째
  • dʐaqundʐu:80 & dʐaqundʐu-tin:일흔째
  • uyndʐu:90 & uyndʐu-tin:마흔째
  • taŋu: 100 & taŋu-tin:제 백번째
  • miŋan:1,000 & miŋan-tin:제 천번째
  • tumən: 10,000 & tumən-tin:제 만번째

1) 더하기

  • 11 같은 경우에는 십 더하기 일인데, 십은 앞에, 1은 뒤에 있다.
nana1257 anjun2009:957
  • dʐuan əmkən: 11
  • dʐuan dʐu: 12
  • orin uyn: 29
  • nindʐu dʐu: 62
  • sudzai niŋun: 56

2) 整數의 곱하기

  • 100인 경우, 일 곱하기 백이다. 곱하기 할 때 작은 숫자가 앞에 있다.
nana1257 anjun2009:957
  • əm taŋu: 백
  • ilan miŋan: 심천
  • orin tumun: 이십만
  • taŋu tumun: 백만

- 숫자 1과 2은 단독적으로 사용될 때 어간이 원래의 어간은 əmkən과 dʐuru를 유지하지만, 10이상의 숫자를 구성할 때 1의 어간은 변하지 않지만, 2의 어간은 dʐu로 변하다.

nana1257 anjun2009:957
  • dʐuan əmkən: 11
  • dʐuan dʐu: 12
  • 만약에 1이 1로 시작한 두 자리 또는 그 이상의 자리 수를 가진 수사에 사용될 때 그 어간이 əm으로 변한다.
nana1257 anjun2009:957
  • əm taŋu: 백
  • əm tuməm: 만

(2) 날짜의 표현 방식

1) 월(月)의 표현 방법

  • 월(月)은 ‘기수사+bia(월)’로 구성된다. 그러나 正月은 ani bia로, 十一月은 omʂon bia로, dʐorɢon bia로 표현한다.

2) 일(日)의 표현 방법

  • 十日 이후의 날짜는 당원(當月)의 날짜이면 기수사로만 표현한다.
  • 이미 지난 달의 날짜를 회상하는 경우 기수사 앞에 ‘몇 월(月)’을 붙인다.
  • 초일일은 itʂə(新)로 표현한다. 초이일~초구일은 ‘itʂə+ 기수사’의 구조로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958
  • itʂə dʂu: 초이일
  • itʂə uyn: 초구일

(3) 쌍수

  • 쌍수 표지 -məli는 기수사 어간 뒤에 붙는다.
  • -məli는 친족어 뒤에만 사용된다.
nana1257 anjun2009:958
mun-iəyndudʐu-məlilaχso-tkiəmərɡi-χə-jə.
1.PL.EXCL-GENsisteryounger.brothertwo-DUtongjiang-ALLcome.back-PFV-1PL
우리 자제(姉弟)가 동강에서 돌아왔다.
  • 두 사람이 공동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함을 나타낼 때 기수사 dʐu(‘2’)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럴 때 -məli는 뒤에 오는 친족어 뒤에 붙는다.
nana1257 anjun2009:958
mun-iəyndu-məlilaχso-tkiəmərɡi-χə-jə.
1.PL.EXCL-GENsisteryounger.brother-DUtongjiang-ALLcome.back-PFV-1PL
우리 자제(姉弟)가 동강에서 돌아왔다.

(4) 배수

  • 배수의 개념은 기수사 뒤에 obu(倍)를 붙이는 방법으로 표현된다.
nana1257 anjun2009:958
min-iimaχaɕin-iimaχa-tkiilanobumalχun.
1SG-GENfish2SG-GENfish-ALLthreetimemany
나의 물고기는 너의 물고기(의 수)보다 세 배로 많다.
  • 비교문에서 피-비교대상 뒤에 향격 표지 -tki를 붙인다.

(4) 수자의 중복

nana1257 anjun2009:958
nianiimaχa-wəsundʑasundʑadəndə-χə-ni
3SGfish-ACCfivefivedevide-PFV-3SG
그는 물고기를 각각 다섯 개 나누었다.
nana1257 anjun2009:958
tiɡuruntəmtkən-duilanilantə-mbi-rən.
3.PLboat-DATthreethreesit-CVBbe-FUT
그들은 배에 세 명씩 세 명씩 앉아 있다.

(5) 어림수

  • 구체적인 수량을 측정하기 힘들 경우 모호한 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모호한 수의 개념은 기수사 뒤에 sami(대략, 대개), kətɕiə(대략)을 붙임으로써 표현한다.
  • kətɕiə는 기수사의 뒤에만 출현할 수 있는 데에 비해 sami는 기수사 앞에도 출현할 수 있다.
nana1257 anjun2009:959
nianiɕi-mədʐuərinsamialtɕi-χə-ni.
3SG2SG-ACCtwohouraboutwait-PFV-3SG
그는 너를 두 시간 쯤 기다렸다.
nana1257 anjun2009:959
ɕin-itəmtkənorintʂikətɕiəbi-rənba?
2SG-GENboattwentycheok(3척=1m)aboutbe-FUTQ
너의 배가 20 척 정도 있지?

(5) 분수(分數)

  • 두 가지 표현 방법이 있다.
  • 첫 번째 방법은 바로 배수 또는 분(份)을 나타내는 obu의 속격 형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nana1257 anjun2009:959
sundʑaobu-idʐuobun-i.
fiveportion-GENtwoportion-GEN
5분의 2
  • 두 번째 방법은 第三人稱的指領形式 dulianni와 obu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다.
nana1257 anjun2009:959
sundʑaobu-iduliannidʐuobubi-ren.
fiveportion-GENamongtwoportionbe-FUT
5분의 2
doc/nanai/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4:19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