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anai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추적: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nanai:4_ss:48_tame:48_tame
목차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1) 시제
(2) 동사의 상
(3) 서법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1) 시제
분사형을 형성할 때 쓰이는 시제 표지는 다음과 같다.
1) 과거 시제 표지 -χən
nana1257
anjun2009
:963
niani
əmərɡi-χən-wə
ədʑi
χədzurə.
3SG
come.back-PST-ACC
PROH
tell
그가 돌아온 것을 얘기하지 마!
2) 현재시제 표지: -m(부동사 어미) + bi-ɕin(조동사)
nana1257
anjun2009
:963
ti
imaχa
waχtɕi-m
bi-ɕin
nio
ni?
that
fish
catch-CVB
be-PTCL
people
who
물고기를 잡는 그 사람이 누가야?
3) 미래 시제 표지 -rən
nana1257
anjun2009
:963
min-i
ɕoχolo-wə
doldi-rən
ɡurun
əm-χəi-ni-a?
1SG-GEN
story-ACC
listen-FUT
3PL
come-PFV-3PL-Q
내 이야기를 들을 사람들이 왔어?
(2) 동사의 상
1) 완망상
완망상은 동사 뒤에 완망상 표지 -χəi/-χai를 붙음으로써 표현된다.
nana1257
anjun2009
:962
niani
bəidʑiŋ-du
dʐuan
arŋə
baldi-χəi-ni.
3SG
Beijing-DAT
ten
year
live-PFV-3SG
그는 북경에서 10년 살았다.
2) 진행상
본동사 뒤에 부동사 어미 -mi를 추가한 후, 조동사 bi‘있다’의 분사형과 미래 시제 표지의 결합형인 biren을 추가함으로써 진행상을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
:962
niani
ami-ni
dʐobɡo-dʑi
imaχa
dʐobɡolo-m
bi-rən.
3SG
father-3SG.POSS
harpoon-INS.COM
fish
harpoon-CVB
be-FUT
그의 아버지는 작살로 물고기를 잡고 있다.
3) 비완망상
이완망상은 따로 상 표지를 붙이지 않고, 동사 뒤에 인칭 표지를 붙임으로써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
:962
bi
ɕocao-tki
ənə-Ø-mi.
1SG
school-ALL
go-IPFV-1SG
나는 학교에 간다.
4) 전망상
전망성은 동사 뒤에 전망상 표지 -χtɕi와 인칭 표지를 붙임으로써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
:963
bi
tomaki
imaχa
buta-χtɕi-jə.
1SG
tomorrow
fish
catch-PROSP-1SG
나는 내일 물고기를 잡으러 걸 것이다.
상 표지는 태의 표지 뒤에 붙는다.
nana1257
anjun2009
:963
iulisuŋ
iuliχuŋ-du
tantə-wə-χəi-ni
youlisong
youlihong-DAT
beat-PASS-PFV-3SG
우입송(尤立松)은 우입홍(尤立紅)한테 맞았다.
(3) 서법
1) 의지법
의지법 표지는 -jə(단수)와 -wu(복수)가 있다.
화자 또는 화자가 포함되는 단체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 의지를 나타낸다.
nana1257
anjun2009
:961
bi
imaχa
waχtɕi-m
ənə-jə!
1SG
fish
catch-CVB
go-VOL
나는 물고기를 잡으러 갈게!
nana1257
anjun2009
:961
bəti
ɡəsə
bəidʑiŋ-dulə
ənə-wu!
1PL
together
Beijing-LOC
go-VOL
우리는 같이 북경에 갈게!
2) 명령법
명령법은 따로 표지가 없다.
nana1257
anjun2009
:962
su
aχandu-məli
χaydulə
ənə!
2PL
brother-DU
hayu
go
너의 형제 둘이 하어에 가!
3) 허락법
허락을 나타내는 표지는 -qunə이다.
제삼자가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nana1257
anjun2009
:962
niani
tomaki
bəidʑiŋ-tki
ənə-qunə!
3SG
tomorrow
Beijing-ALL
go-허락법
그는 내일 북경에 가도 된다.
4) 邀請법(한국어는 이를 명령법에 포함시킴)
청유를 나타내는 표지는 -ru이다.
nana1257
anjun2009
:962
əi
əm
jantqu-wə
min-du
bu-ru
this
one
racoon-ACC
1SG-DAT
give-邀請법
이 너구리를 나한테 줘라.
5) 의문법
문장의 마지막에 의문 조사 ba 나 a를 사용하여 의문을 나타내거나 의문 조사를 사용하지 않고 의문대명사나 의문 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나타낸다.
ba는 확인 의문문을 형성한다.
nana1257
anjun2009
:972
niani
əiniŋ
laχso
ərɡədʑi
əmə-rən
ba?
3SG
tomorrow
tongjiang
direction
come-FUT
Q
그는 오늘 동강 방향에서 올 거지?
-a는 일반적인 의문을 나타낸다.
nana1257
anjun2009
:972
tomaki
ərdə
ɕi
χay-du
ənəi-ɕi
a?
tomorrow
morning
2SG
hayu-DAT
go-2SG
Q
너는 내일 아침에 하어에 갈 거야?
의문 부사를 사용하는 경우
nana1257
anjun2009
:972
ɕi
onaqami
aɡdənə-rʂə-ɕi
2SG
why
happy-NEG-2SG
너는 왜 기쁘지 않아?
6) 금지법
금지법 표지는 동사 앞에 온다.
nana1257
anjun2009
:963
niani
əmərɡi-xən-wə
ədʑi
χədzurə.
3SG
come.back-PST-ACC
PROH
tell
그가 돌아오는 것을 얘기하지 마!
doc/nanai/4_ss/48_tame/48_tam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2:12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