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anai:4_ss:48_tame:48_tame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1) 시제

  • 분사형을 형성할 때 쓰이는 시제 표지는 다음과 같다.

1) 과거 시제 표지 -χən

nana1257 anjun2009:963
nianiəmərɡi-χən-wəədʑiχədzurə.
3SGcome.back-PST-ACCPROHtell
그가 돌아온 것을 얘기하지 마!

2) 현재시제 표지: -m(부동사 어미) + bi-ɕin(조동사)

nana1257 anjun2009:963
tiimaχawaχtɕi-mbi-ɕinnioni?
thatfishcatch-CVBbe-PTCLpeoplewho
물고기를 잡는 그 사람이 누가야?

3) 미래 시제 표지 -rən

nana1257 anjun2009:963
min-iɕoχolo-wədoldi-rənɡurunəm-χəi-ni-a?
1SG-GENstory-ACClisten-FUT3PLcome-PFV-3PL-Q
내 이야기를 들을 사람들이 왔어?

(2) 동사의 상

1) 완망상

  • 완망상은 동사 뒤에 완망상 표지 -χəi/-χai를 붙음으로써 표현된다.
nana1257 anjun2009:962
nianibəidʑiŋ-dudʐuanarŋəbaldi-χəi-ni.
3SGBeijing-DATtenyearlive-PFV-3SG
그는 북경에서 10년 살았다.

2) 진행상

  • 본동사 뒤에 부동사 어미 -mi를 추가한 후, 조동사 bi‘있다’의 분사형과 미래 시제 표지의 결합형인 biren을 추가함으로써 진행상을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962
nianiami-nidʐobɡo-dʑiimaχadʐobɡolo-mbi-rən.
3SGfather-3SG.POSSharpoon-INS.COMfishharpoon-CVBbe-FUT
그의 아버지는 작살로 물고기를 잡고 있다.

3) 비완망상

  • 이완망상은 따로 상 표지를 붙이지 않고, 동사 뒤에 인칭 표지를 붙임으로써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962
biɕocao-tkiənə-Ø-mi.
1SGschool-ALLgo-IPFV-1SG
나는 학교에 간다.

4) 전망상

  • 전망성은 동사 뒤에 전망상 표지 -χtɕi와 인칭 표지를 붙임으로써 표현한다.
nana1257 anjun2009:963
bitomakiimaχabuta-χtɕi-jə.
1SGtomorrowfishcatch-PROSP-1SG
나는 내일 물고기를 잡으러 걸 것이다.
  • 상 표지는 태의 표지 뒤에 붙는다.
nana1257 anjun2009:963
iulisuŋiuliχuŋ-dutantə-wə-χəi-ni
youlisongyoulihong-DATbeat-PASS-PFV-3SG
우입송(尤立松)은 우입홍(尤立紅)한테 맞았다.

(3) 서법

1) 의지법

  • 의지법 표지는 -jə(단수)와 -wu(복수)가 있다.
  • 화자 또는 화자가 포함되는 단체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 의지를 나타낸다.
nana1257 anjun2009:961
biimaχawaχtɕi-mənə-jə!
1SGfishcatch-CVBgo-VOL
나는 물고기를 잡으러 갈게!
nana1257 anjun2009:961
bətiɡəsəbəidʑiŋ-duləənə-wu!
1PLtogetherBeijing-LOCgo-VOL
우리는 같이 북경에 갈게!

2) 명령법

  • 명령법은 따로 표지가 없다.
nana1257 anjun2009:962
suaχandu-məliχayduləənə!
2PLbrother-DUhayugo
너의 형제 둘이 하어에 가!

3) 허락법

  • 허락을 나타내는 표지는 -qunə이다.
  • 제삼자가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nana1257 anjun2009:962
nianitomakibəidʑiŋ-tkiənə-qunə!
3SGtomorrowBeijing-ALLgo-허락법
그는 내일 북경에 가도 된다.

4) 邀請법(한국어는 이를 명령법에 포함시킴)

  • 청유를 나타내는 표지는 -ru이다.
nana1257 anjun2009:962
əiəmjantqu-wəmin-dubu-ru
thisoneracoon-ACC1SG-DATgive-邀請법
이 너구리를 나한테 줘라.

5) 의문법

  • 문장의 마지막에 의문 조사 ba 나 a를 사용하여 의문을 나타내거나 의문 조사를 사용하지 않고 의문대명사나 의문 부사를 사용하여 의문을 나타낸다.
  • ba는 확인 의문문을 형성한다.
nana1257 anjun2009:972
nianiəiniŋlaχsoərɡədʑiəmə-rənba?
3SGtomorrowtongjiangdirectioncome-FUTQ
그는 오늘 동강 방향에서 올 거지?

-a는 일반적인 의문을 나타낸다.

nana1257 anjun2009:972
tomakiərdəɕiχay-duənəi-ɕia?
tomorrowmorning2SGhayu-DATgo-2SGQ
너는 내일 아침에 하어에 갈 거야?
  • 의문 부사를 사용하는 경우
nana1257 anjun2009:972
ɕionaqamiaɡdənə-rʂə-ɕi
2SGwhyhappy-NEG-2SG
너는 왜 기쁘지 않아?

6) 금지법

  • 금지법 표지는 동사 앞에 온다.
nana1257 anjun2009:963
nianiəmərɡi-xən-wəədʑiχədzurə.
3SGcome.back-PST-ACCPROHtell
그가 돌아오는 것을 얘기하지 마!
doc/nanai/4_ss/48_tame/48_tam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2:12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