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anai:9_etc:91_borrowing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1) 차용어

1)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는 이른 시기의 차용어와 늦은 시기의 차용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른 시기의 차용어
nana1257 anjun2009:944
  • baodzi: 왕만두
  • waiʂən: 조카
  • pandzi: 접시
  • daifu: 의사
  • ɡufu: 고모부
  • ɡuɡu: 고모
  • wandu: 완두
  • yəbiŋ: 월병
  • tsu: 식초
  • dʑiudʑi: 외삼촌
  • jandʑin: 안경
늦은 시기의 차용어
nana1257 anjun2009:944
  • ɡəmiŋ: 혁명
  • ɡambu: 간부
  • iudian: 장점
  • ʂudʑi: 서기(書記)
  • daŋyan: 당원(党員)
  • dianjiŋ: 영화
  • siɕaŋ: 사상
  • dianʂi: TV
  • dianχua: 전화

2) 러시아어로부터의 차용어와 러시아어를 통해서 차용한 단어

nana1257 anjun2009:944
  • bətilkə: 병
  • xəliəba: 빵
  • tɕasi: 시계
  • pamidor: 토마토
  • piəliɕin: 무용

(2) 차용어의 영향

  • 나나이어의 어휘를 풍부하게 하는 동시에 새로운 음소와 음절 구조를 나나이어에 소개하였다.
  • 중국어를 차용하는 동시에 나나이어에 uo, ya, yə 복모음과 ʐ와 같은 자음 음소가 소개되었다.
  • 또한 나나이어 고유어에는 dʑ, ts, s, dʐ, tʂ, ʂ 등 음소가 있지만, 그들은 원래 모음 ɿ 나 ʅ와 결합하지 않았다.
  • 그러나 차용의 영향으로 dz, ts, s가 i(ɿ로 발음)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었고, dʐ, tʂ, ʂ가 i(ʅ)와의 결합도 가능하게 되었다.
nana1257 anjun2009:944
  • dʐuŋɡuo: 중국
  • yəbiŋ: 월병
  • sidʑi: 기사(技士)
  • tʂidzi: 잣(尺)

(3) 차용어의 사용

  •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나나이어에 들어오면서 대부분의 단어가 음운적 변화를 겪지 않았지만 일부 이른 시기의 차용어는 음운 변화를 겪었다.
nana1257 anjun2009:945
  • dʑiudʑi: 외삼촌
  • maisə: 보리
  • mantu: 왕만두
  • səfu: 사부(師傅)
  •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나나이어의 문법을 준수한다. 즉 단어들 뒤에 다양한 문법 요소(예를 들어, 격조사)들이 올 수 있다.
nana1257 anjun2009:945
  • daŋwəi: 党委 + -du:DAT → daŋwəidu: 당위(党委)에서
  • dʑiutsai: 부추 + -wə:ACC → dʑiutsaiwə: 부추를
  • 차용어도 고유어와 마찬가지로 단어를 파생하는 능력을 가진다.
nana1257 anjun2009:945
  • tʂəŋ:저울 + -la: 동사를 파생하는 접사 → tʂəŋla: 무게를 재다
  • tʂəŋ:저울 + -la: 동사를 파생하는 접사 + -χtɕi: 명사를 파생하는 접사 → 무게를 재는 사람
  • 차용어와 고유어가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이 있다.
nana1257 anjun2009:945
  • ɡaotəo(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곡괭이 & satɕqu(고유어): 곡괭이
doc/nanai/9_etc/91_borrowin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