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egidal:0_general:01_basic:01_basic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코드

  • ISO 639-3 : neg
  • walscode : neg
  • glottocode : negi1245

언어명

  • 영문 : Negidal language
  • 한글 : 네기달어
  • 러시아어 : негидальский язык

민족명

  • 네기달인
  • 자칭(1997): ӈē ~ нē(기슭, 물가), ӈē + гидā (물가쪽면, 물가공간), ӈē + гидāл(물가에 사는 사람들)
  • 자칭(2001): (1) нā бэенин(땅의 사람). 남부 퉁구스인들의 자칭의 영향. 울치인 - нā ни (땅의 사람), (2) елкан бэенин(진정한 사람, 아임칸Aimkan에서 온 사람)
  • (1967) илқан бэенин(여기 사람). ходён, чукчагин, нясиҳагил (마지막 두 개는 네기달인 큰 씨족명), на бэенин (하류 방언 사용자들의 자칭) (비교: 울치어 на ни 여기 사람)
  • 다른 명칭: Амӈунь бэенин(암군의 사람, 암군강변 주민)
  • 어웡키인들이 타이가삼림, 산에 사는 것에 대비되는 것
  • 산의 경사면을 따라 유목하며 순록을 치는 퉁구스인과 달리 물가에 사는 퉁구스인을 지칭

공식적 지위

인구지리학적 정보

사용인구 (2010년 인구총조사 결과)

  • 네기달인: 513명
  • 네기달어 화자수: 74명
  • 참고(1979년 인구총조사 결과): 500명 중 44.4%가 네기달어를 모어로 생각
  • 현재 모든 네기달인이 러시아어를 구사.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또는 공동작업을 할 때 나이든 세대는 네기달어로 말하기도 함. 구전작품에도 네기달어가 보존되어 있는데, 구전작품을 알고 구연할 줄 아는 사람들도 나이든 세대임.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문자도 없음.

사용지역

  • 20세기 중반까지 주요 거주지역은 암군강 중류와 하류
  • 러시아 하바롭스크주, 울치구(아무르강 하류), 폴리나오시펜코구(암군강 중류), 나나이구, 쿠르-우르미구
  • 아무르 하류, 연해주 일대를 아우르는 상당히 넓은 지역을 구분하는 등어선에 따라 네기달어, 오로치어, 우디허어가 하나의 언어권을 형성한다. 이 언어권은 수세기에 걸쳐 현대 네기달어의 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었고, 오로치어와 우디허어의 자료가 이를 뒷받침한다.
  • 네기달인은 수세기에 걸쳐 암군강과 그 지류를 따라 형성되었으나, 그후 잦은 침수로 인해 우스티-암군촌에서 아무르강 하류쪽으로 이주하였다.

주요연구자 및 연구기관

주요연구자: 네기달어 연구의 3단계
  • 가장 중요한 네기달어 연구서. 친치우스의 저작들
1단계(19세기-20세기초)
  • 미덴도르프(A.F. Middendorf): 러시아의 자연과학자이자 여행가. 시베리아 여행 중(1842-1845) 최초 기록 (단어 약 30개)
  • 슈테른베르그(L.Ya. Sternberg): 1910. «Гиляки, орочи, гольды, негидальцы, айны» 단어 600개 기록. 문법 관찰.
2단계(1920-1930년대)
  • 슈미트(P. Shmidt): 1923. 네기달어-영어 사전 출판 (약 1000 단어). The language of the Negidals 안에 사전 포함. 서문.
  • 밀니코바(K.M. Mylnikova)
  • 친치우스(V.I. Tsintsius)
  • 밀니코바와 친치우스. 1926-1927. 방대한 구전자료 수집. 민담, 전설 150편, 수수께끼 60개. 1931년 일부 출판
  • Мыльникова К.М., Цинциус В.И. «Материалы по исследованию негидальского языка». 네기달어의 음성학적 특성과 문법체계를 최초로 가장 온전하게 기술. 러시아어 번역을 같이 실음.
3단계(1960년대~)
  • 콜레스니코바(V.D. Kolesnikova)
  • 콘스탄티노바(O.A. Konstantinova)
  • 콜레스니코바와 콘스탄티노바. 1961. 소련 학술원 산하 언어학연구소, 레닌그라드지부, 알타이어분과 연구원들이 현지조사. 네기달인 거주지에 와서 텍스트 기록. 조사 결과 <네기달어-러시아어 소사전>(약 12000 단어). <Yazyki narodov SSSR>에 일부 내용 수록.
주요연구기관
  • 페테르부르크와 노보시비르스크의 대학들
  • 학술원 산하 언어학연구소, 레닌그라드지부, 알타이어 분과
doc/negidal/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4/09 12:53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