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16
- 독립소유형은 접미사 -ни ~ -ӈи를 명사의 어간에 첨가해서 만든다. 해당 명사가 술어 역할, 소유형태의 명사류를 대신하는 것 또는 도치된 수식어일 경우. ???
омон | боэйе | асӣлкāн | бичạ̄н |
one | man | wife.POSS | live.PST |
тай | з̌ōдӯ | омон | атихāн | хутэчӣл |
that | house.LOC | one | old.woman | chil.POSS |
н’иуктэлгэливạ̄н | чопал | тагдичāл |
UNK | UNJ | UNK |
Олӣ | — | ахинмā, | хуɣọ̄чạ̄н | — | нэхунмạ̄ |
crow | — | elder.brother.UNK | hawk | — | younger.brother.UNK |
бэойеɣэчин | вāчā | бимӣ |
as.man | UNK | UNK |
н’иуктэнин | бичạ̄ | чина | дӣнин |
her | hair | crow | POST |
단수 | 복수 | |
1인칭 | -(и)в/-м/-би | (배제형) -вун/-мун/-бун |
(포함형) -(и)т | ||
2인칭 | -(и)с | -(и)сун |
3인칭 | -(и)нин | -(и)тин |
- ???명사류의 재귀소유접미사는 사물의 소유주가 해당명사를 지배하는 동사의 행위주(agent)와 일치함кореферентность을 표현한다. 이들 접미사는 모든 인칭에 공통이며 문법적 수만 구별된다. (단수: -йи/-ви/-ɣи/-ми/-би, 복수: -най/-вай/-ɣай/-май/-бай). 그러나 맥락에 따라 동사가 무엇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언제나 소유주의 인칭이 결정된다.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 -н-으로 끝나는 어간 | 복수 접미사가 붙은 어간 | |
집 | 사슴 | 집들 | |
주격 | з̌ō | ойон | з̌ōл |
대격(특정)?? | з̌ō-ва | ойон-мо | з̌ōл-ба |
대격(불특정)?? | з̌ō-йа | ойон-о | з̌ōл-ла |
여격 | з̌ō-дӯ | ойон-дӯ | з̌ōл-лӯ |
향격 | з̌ō-ткӣ | ойон-тилӣ | з̌ōл-тихӣ |
처격 | з̌ō-лā | ойон-дулā | з̌ōл-дулā |
연격 | з̌ō-лӣ | ойон-дулӣ | з̌ōл-дулӣ |
탈격 | з̌ō-дуккой | ойон-дуккой | з̌ōл-дуккой |
조격 | з̌ō-зи | ойон-з̌и | з̌ōл-з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