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enets: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수, 격, личи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ть (possessive agreement, person/number of the possessor), личное предназначение (destinative, predestinative).
  • 서술어로 쓰일 때 인칭, 수, 시간이 표시됨
  • 격, 수, 소유 일치(소유자의 인칭/수), 전통적으로 destinative 또는 predestinative라고 불리는 범주가 있다.
  • destinative/predestinative는 소유 명사구에 TAM과 유사한 범주가 표현되는 것이다. (Nikolaeva2014:29)

명사의 수

  • 네네츠어 명사에는 단수, 쌍수, 복수 3가지 수가 있다.
  • 단수는 형태론적으로 무표적이다.
nene1249 Nikolaeva2014:59
  • ty : 사슴
  • ŋəno : 배(보트)
  • xər°: 칼
  • yesʹa : 철, 금속
  • yiq : 물

쌍수

쌍수의 형태

쌍수는 핵심 문법격인 주격, 대격, 속격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비소유형에서 쌍수 표지는 -x°h로 주격, 대격, 속격에서 동일하다. 소유형에서는 -xəyu- 접미사가 붙고 뒤이어 소유 접미사가 결합한다.

(Nikolaeva2014:57)

-DU -DU-1SG -DU-2SG
NOM ŋəno-x°h ŋəno-xəyu-n° ŋəno-xəyu-d°
ACC ŋəno-x°h ŋəno-xəyu-n° ŋəno-xəyu-d°
GEN ŋəno-x°h ŋəno-xəyu-n° ŋəno-xəyu-t°
쌍수의 의미

쌍수는 두 개의 개체를 지칭한다. 쌍수의 사용은 제한되어 있는데 한정성 또는 담화 상의 주어진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이미 맥락 상 주어진 대상의 경우에는 쌍수로 지칭이 되나 짝을 이루는 개체가 새로 담화에 등장할 때에는 단수형 명사를 sʹidʹa '둘'이 수식하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복수

복수의 형태

(Nikolaev2014:59) ŋəno ‘boat’의 복수형의 어형 변화

-PL PL-1SG
NOM ŋəno-q ŋənu-n°
ACC ŋənu ŋənu-n°
GEN ŋəno-q ŋənu-qn°
DAT ŋəno-x°q ŋəno-x°q-n°
LOC ŋəno-xəqna ŋəno-xəqna-n°
ABL ŋəno-xət° ŋəno-xətə-n°
PROL ŋənu-qməna ŋənu-qməna-n°
  • 복수 표지는 비소유형 주격에서는 -q이다.
  • 어간 말음에 따라 두 가지 음성학적 부류로 나뉜다.
    • 첫 번째 부류: 후두음 이외의 모음과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 두 번째 부류: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는 경우
      • 첫 번째 하위부류: 비음화된 성문 파열음
      • 두 번째 하위부류: 비음화되지 않은 성문 파열음
복수의 용법과 의미
쌍을 이루는 개체를 복수로

복수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셀 수 있는 개체를 지칭한다. 네네츠어에서는 다른 우랄제어와는 달리 쌍을 이루는 개체를 복수로 지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쌍을 이루는 신체의 부분을 복수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nene1249 Nikolaeva2014:59
sǣw°-danumke-rəxa-q
eye-PL.3SGstar-SIM-3PL
그의 눈은 별같다.
셀 수 없는 명사의 복수

네네츠어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명사의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다. 셀 수 없는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하여 그 양이 많거나 다른 종류의 물질임을 표현하기도 한다.

nene1249 Nikolaeva2014:60
korowitohmoloka-qsəwa-q
cow.PL.GEN.3PLmilk-PLgood-PL
‘그들의 소들의 우유들은 좋다.’

명사의 격

툰드라 네네츠어에는 다음과 같이 7가지 격이 존재한다.

  • 주격(NOM, nominative) : 또는 어간(основа)
  • 속격(GEN, genitive) : родительный
  • 대격(ACC, accusative) : винительный
  • 여격(DAT, dative) 또는 여격-방향격(DAT-LAT, dative-directive) : дательно-направительный
  • 처격(LOC, locative) 또는 처격-도구격(LOC-INS, locative-instrumental) : местно-творительный
  • 탈격(ABL, ablative) : отложительный
  • 경로격?(PROL, prolative) : prosecutive, продольный

전통적으로는 문법적인 격인 주격, 속격, 대격과 장소격인 여격, 처격, 탈격, prolative격을 구분한다. 문법적인 격은 단수, 쌍수, 복수와 모두 결합하는 데에 비해 장소격은 단수와 복수에서만 나타난다.

격 형태

  • 격 어미는 어간 뒤에 결합한다.
  • 예외로 복수 속격 어미는 복수 대격 어미 뒤에 결합한다.
  • 복수 경로격 어미는 복수 속격 어미 뒤에 결합한다.

명사의 쌍수 처격의 의미는 쌍수 형태 명사와 후치사(주로 nja)와 결합으로 나타난다.

texe nja 'to two deers'

texe' njana 'at two deers'

texe' njad 'from two deers'

texe' njamna 'by two deers'

복수 대격은 다른 격과는 달리 접사를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간을 변화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NOM ACC
ja 'earth' jo 'earth (PL.ACC)'
jabto 'goose' jabtu 'goose (PL.ACC)'
xan xano
xoba xobi

단수 격어미

I class II-1 subclass II-2 subclass
NOM
GEN -' -' -'
ACC -м' -м' -м'
DAT -н' -д' -т'
LOC -х=на -гана -кана
ABL -х=д -гад -кад
PROL -вна, -вана -мна, -мана -мна, -мана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복수 격어미

I class II-1 subclass II-2 subclass
NOM -“ -” -“
GEN Acc. + ” Acc. + “ Acc. + ”
ACC
DAT -х=“ -га(а)” -ка“
LOC -х=“на -га”на -ка”на
ABL -х=т -гат -кат
PROL Gen. + мана Gen. + мана Gen. + мана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주격의 용법

주격은 형태론적으로 무표적이다.

명령문의 목적어의 격 변이

주격은 명령문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어휘적인 명사일 경우에는 주격 또는 대격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명령문의 대명사 목적어는 항상 주격으로 사용된다. 명령문이 아닌 경우에도 목적어가 주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논의도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61
teda/temtaxada-q
reindeer.3SG/reindeer.ACC.3SGkill-IMP.2SG
‘그의 순록을 죽여라.’

여격의 용법

여격의 의미: 이동의 방향
nene1249 Nikolaeva2014:62
lam°pa-n°hxərasʹin°-mxəmta-q
lamp-DATkerosene-ACCpour-IMP.2SG
램프에 기름을 부어라.
여격의 의미: 원인
nene1249 Nikolaeva2014:62
yerw°-ntatʹorə-n°hwenʹakoŋǣ-daməd°rŋa
master-GEN.3SGscream-DATdogleg-PL.ACC.3SGhold
그 주인의 비명에 개가 걸음을 멈추었다.
여격의 의미: 분배
nene1249 Nikolaeva2014:62
toxocʹa-msʹidaya-n°hməda-da
fabric.DIM-ACCtwoplace-DATcut-3SG>SG.OBJ
그는 천을 두 조각으로 자른다.
여격의 의미: 기간
nene1249 Nikolaeva2014:62
nʹax°ryalʹa-n°hxan°təə-d°m
threeday-DATgo-FUT-1SG
나는 3일(동안)에 갈 것이다.

처격

처격의 의미: 장소
nene1249 Nikolaeva2014:63
tʹiki°ya-x°napʹa-qŋəmted°-qsəwa-w°nawadʹurŋa-q
thisplace-LOCtree-PLgrass-PLgood-PROLgrow-3PL
이 곳에서 나무 풀 잘 자란다.
처격의 의미: 시간이나 상황
nene1249 Nikolaeva2014:63
xayeryalʹa-xənayader-cʹ°səwa
sunday-LOCwalk-MODgood
맑은 날에 걷기 좋다.
처격의 의미: 도구
nene1249 Nikolaeva2014:63
tira-xənaladə°-da
fist-LOChit-3SG>SG.OBJ
그는 그것을 주먹으로 쳤다.
처격의 의미: 운송 수단
nene1249 Nikolaeva2014:63
te-x°qnatənʹahyerʹemyitayəŋku
reindeer-PL.LOCto.therepossibility.of.getting.3SGno
순록들로 거기에 갈 수 없다.
처격의 의미: 원인
nene1249 Nikolaeva2014:63
sə-tamʹercʹa-xənayamp°-qyaxo-qxər°-tohwiyebti-q
strong-IMPF.PTCPwind-LOCtall-AUGbirch-PLREFL-3PLbend-3PL
센 바람에 커다란 자작나무들 저절로들 휜다.
처격의 의미: 동반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가 처격으로 동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63
Wera-xənato°
Wera-LOCcome
그는 베라와 함께 왔다.

탈격

탈격의 의미: 이탈
nene1249 Nikolaeva2014:64
nʹemʹa-kəd°pʹīn°hwelkadə°
womantent-ABLoutslip.out
여자는 텐트에서 미끄려져 나왔다.
탈격의 의미: 기간의 시작
nene1249 Nikolaeva2014:64
xūb°ta-xəd°xuni
morning-ABLsleep
아침부터 잔다
탈격의 의미: 원인
nene1249 Nikolaeva2014:65
wenʹakosə-tatʹecʹ°-da-xəd°wədʹely°-q
dogstrong-IMPF.PTCPcold-IMPF.PTCP-ABLbend-REFL.3SG
개가 강한 추위에 몸을 움추렸다.
탈격의 의미: 원천
nene1249 Nikolaeva2014:65
tʹuku°xər°xurkayesʹa-xəd°sʹerta-wi°?
thisknifewhichmetal-ABLdo-PERF.PTCP
이 칼 어떤 금속으로 만든 거야?
탈격의 의미: 비교
nene1249 Nikolaeva2014:65
mənc°ya-waqsʹenʹey°xəd°ntasəŋkowo-rŋa
work-1PLbefore.ABLdifficult-FREQ
우리 일 전보다 어렵곤 하다.

경로격

경로격의 의미: 무엇을 따라서
nene1249 Nikolaeva2014:65
yəxa-w°nabuksirmʹiŋa
river-PROLtugboatgo
강을 따라 끌배가 간다.
경로격의 의미: 무엇을 가로질러
nene1249 Nikolaeva2014:66
nʹo-hsʹī-w°nʹapuxacʹaweqləmy°-q
door-GENhole-PROLold.womanlook.out-REFL.3SG
문의 구멍을 통해서 노부인은 내다보았다.
경로격의 의미: 방법
nene1249 Nikolaeva2014:66
sʹaq-m°na-ntanʹa-x°tətasəwa
face-PROL-3SGcompanion-PL.ABL.3SGgood
그녀는 얼굴로 그녀의 동료들보다 예쁘다.

명사의 소유범주

  • 네네츠어에는 명사의 격 형태 뒤에 결합하여 인칭 소유를 표시하는 어미가 있다.
  • 네네츠어에 인칭은 3개, 각 인칭은 3개의 수가 있으로 각 격 형태는 9가지 인칭 소유 형태를 가진다.
  • 친족 관계, 신체 일부, 집안 물건 등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 лично-претяжательный (possessive agreement, person/number of the possessor),
  • 접미사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 단수 명사에 결합하는 경우
    • 쌍수와 복수 명사에 결합하는 경우
  • '-d' 어미 앞에 'n'이 개입한다. 예) xan (썰매?) + xana (로)+ n + da (그) '그의 썰매로'
  • 친족 명사. 명사와 접미사 사이에 '-na-'가 개입. 예) nebjanana 'our mother', nisjanana 'other father'
  • 2인칭 접사는 한정성 또는 강조를 표현한다.
nene1249 Nikolaeva2014:66
Nebjavmjakanandajangu'나의어머니는집에없다.'
-Nebjanmanzajadasatsnoka'나의어머니는일이많다.'
- Xusuvexed nebjav njadabavan' xarvadm' '나는 항상 나의 어머니를 돕고 싶다.'
3인칭 단수 소유 어미의 의미: 한정성
nene1249 Nikolaeva2014:69
xǣbʹidʹato-x°naxalʹa-daŋoka
holylake-LOCfish-3SGmany
성스런 호수에 물고기가 많다
2인칭 단수 소유 어미의 용법: 담화 내 지시 기능

2인칭 단수 소유 어미는 이전 담화에서 도입된 지시 대상에 붙어서 그 대상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음을 강조하고 청자에게 감정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담화 내 지시 기능이 일차적인 기능이므로 처음 등장하는 지시 대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

nene1249 Nikolaeva2014:69
puxacʹa-koyilʹe-wi°.puxacʹa-ko-nt°sʹidʹasəwanʹu-da
old.woman-DIMlive-INFRold.woman-DIM-GEN.2SGtwogoodchild-3SG
한 할머니가 살았다. 이것이 그 할머니의 두 착한 아이이다.
인칭 소유 어미의 의미: 부분

인칭 소유 어미는 부분사(partitive)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ŋob-mʹih(one-1DU)는 우리 둘 중의 하나라는 의미가 된다.

nene1249 Nikolaeva2014:69
Wera-hte-xət°ŋarka-dohsəwa
Wera-GENreindeer-PL.ABLbig-3PLgood
베라의 순록들 중에서 큰 것이 좋다.
인칭 소유 어미의 용법: 연관성

담화 상에서 관련이 있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소유의 의미와는 무관하다. 다음 예에서 '늑대'에 결합한 3인칭 단수 소유 표지는 '그 개의 늑대'라는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그 개와 싸우고 있는 늑대'라는 점에서 그 개와의 연관성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nene1249 Nikolaeva2014:70
wari°nix°-mtame-cʹ°wenʹakoŋanʹihsarmʹikə-x°ntasəney°-q
laststrength-ACC.3SGuse-MODdogmorewolf-DAT.3SGattack-REFL.3SG
마지막 힘을 사용해 개는 또 늑대에게 공격을 가했다.

noun_predestinative

predestinative는 TAM과 같은 범주를 표현한다. 소유 관계에 있어 미래시제 또는 비현실서법(irrealis modality)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 личное предназначение (destinative, predestinative).

predestinative의 형태

predestinative 형태는 소유 어미 앞에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이다. predestinative형 명사는 소유구의 핵으로 기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predestinative와 소유 어미의 결합

(Nikolaeva2014:72)

-1SG -2SG -3SG 어휘적 소유자
NOM ŋəno-də-mʹi ŋəno-də-r° ŋəno-də-da ŋəno-d°/ŋəno-də-da
ACC ŋəno-də-mʹi ŋəno-də-mt° ŋəno-də-mta ŋəno-d°/ŋəno-də-da
GEN ŋəno-də-n° ŋəno-də-nt° ŋəno-də-nta

주격 predestinative의 용법

새로운 등장의 주어

주격형은 주로 등장을 나타내는 자동사와 같은 특정한 부류의 동사의 주어를 나타낼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73
xasawanʹū-də-mʹisoya
manchild-PREDES-1SGbe.born
남자 아이가 나에게 태어났다.
명령문의 목적어

네네츠어에서 명령문의 어휘 목적어는 주격으로 나타나며 주격 predestinative로 나타날 수도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73
ŋəmke-xəwapad°r-tə-mʹita°-daq
what-AFFpaper-PREDES-1SGbring-IMP.2PL
무엇이든 종이 나를 위해 가져와라.

대격 predestinative의 용법

생성 동사의 목적어

대격 predestinative는 모든 타동사와 자유롭게 사용될 수 없다. 생성을 의미하는 동사의 목적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74
kniga‐də‐mt°padə-d°m
book‐PREDES‐ACC.2SGwrite-1SG
나는 책을 너를 위해 썼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목적어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이동의 지향점과 predestinative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redestinative가 이동의 지향점을 의미하지는 않다. 이동의 방향은 여격으로 표현되며 predestinative는 이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nene1249 Nikolaeva2014:75
Maša‐n°hkniga‐də‐mt°mʹiŋa‐d°m
Masha‐DATbook‐PREDES‐ACC.2SGgive‐1SG
마샤에게 너를 위한 책을 주었다.
대상에게 새로운 것을 표현

엄격한 의미의 생성은 아니더라도 predestinative가 지칭하는 대상에게 새로운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nene1249 Nikolaeva2014:75
Weraŋəno-də-mʹiŋolʹepʹada°
Weraboat-PREDES-ACC.1SGpaint
베라는 보트를 나를 위해 칠했다.

속격 predestinative

조동사와 함께 이차 술어로 기능
nene1249 Nikolaeva2014:76
tʹuku°wenʹakomənʹaqwenʹako‐d°‐naqxəya
thisdogwedog‐PREDES‐GEN.1PLgo
이 개 우리 개가 되었다
부가적인 의미
nene1249 Nikolaeva2014:76
tʹuku°pad°rxayobcʹən-tə-n°ta-d°
thisbookmemory-PREDES-GEN.1SGgive-IMP.2SG>SG.OBJ
이 책 기념으로 나에게 줘.
doc/nenets/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1 10:30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