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수는 핵심 문법격인 주격, 대격, 속격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비소유형에서 쌍수 표지는 -x°h로 주격, 대격, 속격에서 동일하다. 소유형에서는 -xəyu- 접미사가 붙고 뒤이어 소유 접미사가 결합한다.
(Nikolaeva2014:57)
| -DU | -DU-1SG | -DU-2SG | |
| NOM | ŋəno-x°h | ŋəno-xəyu-n° | ŋəno-xəyu-d° |
| ACC | ŋəno-x°h | ŋəno-xəyu-n° | ŋəno-xəyu-d° |
| GEN | ŋəno-x°h | ŋəno-xəyu-n° | ŋəno-xəyu-t° |
쌍수는 두 개의 개체를 지칭한다. 쌍수의 사용은 제한되어 있는데 한정성 또는 담화 상의 주어진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이미 맥락 상 주어진 대상의 경우에는 쌍수로 지칭이 되나 짝을 이루는 개체가 새로 담화에 등장할 때에는 단수형 명사를 sʹidʹa '둘'이 수식하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Nikolaev2014:59) ŋəno ‘boat’의 복수형의 어형 변화
| -PL | PL-1SG | |
| NOM | ŋəno-q | ŋənu-n° |
| ACC | ŋənu | ŋənu-n° |
| GEN | ŋəno-q | ŋənu-qn° |
| DAT | ŋəno-x°q | ŋəno-x°q-n° |
| LOC | ŋəno-xəqna | ŋəno-xəqna-n° |
| ABL | ŋəno-xət° | ŋəno-xətə-n° |
| PROL | ŋənu-qməna | ŋənu-qməna-n° |
복수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셀 수 있는 개체를 지칭한다. 네네츠어에서는 다른 우랄제어와는 달리 쌍을 이루는 개체를 복수로 지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쌍을 이루는 신체의 부분을 복수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네츠어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명사의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다. 셀 수 없는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하여 그 양이 많거나 다른 종류의 물질임을 표현하기도 한다.
툰드라 네네츠어에는 다음과 같이 7가지 격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는 문법적인 격인 주격, 속격, 대격과 장소격인 여격, 처격, 탈격, prolative격을 구분한다. 문법적인 격은 단수, 쌍수, 복수와 모두 결합하는 데에 비해 장소격은 단수와 복수에서만 나타난다.
명사의 쌍수 처격의 의미는 쌍수 형태 명사와 후치사(주로 nja)와 결합으로 나타난다.
texe nja 'to two deers'
texe' njana 'at two deers'
texe' njad 'from two deers'
texe' njamna 'by two deers'
복수 대격은 다른 격과는 달리 접사를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간을 변화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 NOM | ACC |
| ja 'earth' | jo 'earth (PL.ACC)' |
| jabto 'goose' | jabtu 'goose (PL.ACC)' |
| xan | xano |
| xoba | xobi |
| I class | II-1 subclass | II-2 subclass | |
| NOM | |||
| GEN | -' | -' | -' |
| ACC | -м' | -м' | -м' |
| DAT | -н' | -д' | -т' |
| LOC | -х=на | -гана | -кана |
| ABL | -х=д | -гад | -кад |
| PROL | -вна, -вана | -мна, -мана | -мна, -мана |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 I class | II-1 subclass | II-2 subclass | |
| NOM | -“ | -” | -“ |
| GEN | Acc. + ” | Acc. + “ | Acc. + ” |
| ACC | |||
| DAT | -х=“ | -га(а)” | -ка“ |
| LOC | -х=“на | -га”на | -ка”на |
| ABL | -х=т | -гат | -кат |
| PROL | Gen. + мана | Gen. + мана | Gen. + мана |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주격은 형태론적으로 무표적이다.
주격은 명령문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어휘적인 명사일 경우에는 주격 또는 대격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명령문의 대명사 목적어는 항상 주격으로 사용된다. 명령문이 아닌 경우에도 목적어가 주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논의도 있다.
| yerw°-nta | tʹorə-n°h | wenʹako | ŋǣ-da | məd°rŋa |
| master-GEN.3SG | scream-DAT | dog | leg-PL.ACC.3SG | hold |
| toxocʹa-m | sʹida | ya-n°h | məda-da |
| fabric.DIM-ACC | two | place-DAT | cut-3SG>SG.OBJ |
| tʹiki° | ya-x°na | pʹa-q | ŋəmted°-q | səwa-w°na | wadʹurŋa-q |
| this | place-LOC | tree-PL | grass-PL | good-PROL | grow-3PL |
| te-x°qna | tənʹah | yerʹemyita | yəŋku |
| reindeer-PL.LOC | to.there | possibility.of.getting.3SG | no |
| sə-ta | mʹercʹa-xəna | yamp°-qya | xo-q | xər°-toh | wiyebti-q |
| strong-IMPF.PTCP | wind-LOC | tall-AUG | birch-PL | REFL-3PL | bend-3PL |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가 처격으로 동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wenʹako | sə-ta | tʹecʹ°-da-xəd° | wədʹely°-q |
| dog | strong-IMPF.PTCP | cold-IMPF.PTCP-ABL | bend-REFL.3SG |
| tʹuku° | xər° | xurka | yesʹa-xəd° | sʹerta-wi°? |
| this | knife | which | metal-ABL | do-PERF.PTCP |
| mənc°ya-waq | sʹenʹey°xəd°nta | səŋkowo-rŋa |
| work-1PL | before.ABL | difficult-FREQ |
| nʹo-h | sʹī-w°nʹa | puxacʹa | weqləmy°-q |
| door-GEN | hole-PROL | old.woman | look.out-REFL.3SG |
| sʹaq-m°na-nta | nʹa-x°təta | səwa |
| face-PROL-3SG | companion-PL.ABL.3SG | good |
| Nebjav | mjakananda | jangu | '나의 | 어머니는 | 집에 | 없다.' | ||
| - | Nebjan | manzajada | sats | noka | '나의 | 어머니는 | 일이 | 많다.' |
2인칭 단수 소유 어미는 이전 담화에서 도입된 지시 대상에 붙어서 그 대상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음을 강조하고 청자에게 감정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담화 내 지시 기능이 일차적인 기능이므로 처음 등장하는 지시 대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
| puxacʹa-ko | yilʹe-wi°. | puxacʹa-ko-nt° | sʹidʹa | səwa | nʹu-da |
| old.woman-DIM | live-INFR | old.woman-DIM-GEN.2SG | two | good | child-3SG |
인칭 소유 어미는 부분사(partitive)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ŋob-mʹih(one-1DU)는 우리 둘 중의 하나라는 의미가 된다.
| Wera-h | te-xət° | ŋarka-doh | səwa |
| Wera-GEN | reindeer-PL.ABL | big-3PL | good |
담화 상에서 관련이 있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소유의 의미와는 무관하다. 다음 예에서 '늑대'에 결합한 3인칭 단수 소유 표지는 '그 개의 늑대'라는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그 개와 싸우고 있는 늑대'라는 점에서 그 개와의 연관성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 wari° | nix°-mta | me-cʹ° | wenʹako | ŋanʹih | sarmʹikə-x°nta | səney°-q |
| last | strength-ACC.3SG | use-MOD | dog | more | wolf-DAT.3SG | attack-REFL.3SG |
predestinative는 TAM과 같은 범주를 표현한다. 소유 관계에 있어 미래시제 또는 비현실서법(irrealis modality)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predestinative 형태는 소유 어미 앞에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이다. predestinative형 명사는 소유구의 핵으로 기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Nikolaeva2014:72)
| -1SG | -2SG | -3SG | 어휘적 소유자 | |
| NOM | ŋəno-də-mʹi | ŋəno-də-r° | ŋəno-də-da | ŋəno-d°/ŋəno-də-da |
| ACC | ŋəno-də-mʹi | ŋəno-də-mt° | ŋəno-də-mta | ŋəno-d°/ŋəno-də-da |
| GEN | ŋəno-də-n° | ŋəno-də-nt° | ŋəno-də-nta |
주격형은 주로 등장을 나타내는 자동사와 같은 특정한 부류의 동사의 주어를 나타낼 수 있다.
네네츠어에서 명령문의 어휘 목적어는 주격으로 나타나며 주격 predestinative로 나타날 수도 있다.
| ŋəmke-xəwa | pad°r-tə-mʹi | ta°-daq |
| what-AFF | paper-PREDES-1SG | bring-IMP.2PL |
대격 predestinative는 모든 타동사와 자유롭게 사용될 수 없다. 생성을 의미하는 동사의 목적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이동의 지향점과 predestinative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redestinative가 이동의 지향점을 의미하지는 않다. 이동의 방향은 여격으로 표현되며 predestinative는 이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 Maša‐n°h | kniga‐də‐mt° | mʹiŋa‐d°m |
| Masha‐DAT | book‐PREDES‐ACC.2SG | give‐1SG |
엄격한 의미의 생성은 아니더라도 predestinative가 지칭하는 대상에게 새로운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 tʹuku° | wenʹako | mənʹaq | wenʹako‐d°‐naq | xəya |
| this | dog | we | dog‐PREDES‐GEN.1PL | go |
| tʹuku° | pad°r | xayobcʹən-tə-n° | ta-d° |
| this | book | memory-PREDES-GEN.1SG | give-IMP.2SG>SG.OBJ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