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kolaeva2014:78) mənc°ra- ‘일하다’ 동사의 활용예
| SG | DU | PL | |
| 1 | mənc°raə-d°m | mənc°ra°-n′ih | mənc°ra°-waq |
| 2 | mənc°raə-n° | mənc°ra°-d′ih | mənc°ra°-daq |
| 3 | mənc°ra° | mənc°raə-x°h | mənc°ra°-q |
(Nikolaeva2014:79) te- ‘흐르다’ 동사의 활용예
| SG | DU | PL | |
| 1 | teyə-w°q | tey°-nʹih | tey°-naq |
| 2 | teyə-n° | tey°-dʹih | tey°-daq |
| 3 | tey°-q | teyə-x°h | teyə-d°q |
목적어 일치는 목적어의 수를 표시하고 인칭은 표시하지 않는다. 목적어 일치 접사는 주격에서 단수 및 복수 소유 접사와 대개 동일하다. 명사의 소유 표지의 경우에는 명사의 어간에 결합되나 동사의 목적어 일치 표지는 정형 어간(finite stem)에 결합한다는 차이가 있다.
(Nikolaeva2014:79) me- ‘하다’
| SG | DU | PL | |
| 1 | meə-w° | me°-m′ih | me°-waq |
| 2 | meə-r° | me°-r′ih | me°-daq |
| 3 | me°-da | me°-d′ih | me°-doh |
(Nikolaeva2014:79) me- ‘하다’
| SG | DU | PL | |
| 1 | meŋa-xəyu-n° | meŋa-xəyu-n′ih | meŋa-xəyu-naq |
| 2 | meŋa-xəyu-d° | meŋa-xəyu-d′ih | meŋa-xəyu-daq |
| 3 | meŋa-xəyu-da | meŋa-xəyu-d′ih | meŋa-xəyu-doh |
(Nikolaeva2014:80) me- ‘하다’
| SG | DU | PL | |
| 1 | me-yə-n° | me-y°-n′ih | me-y°-naq |
| 2 | me-yə-d° | me-y°-d′ih | me-y°-daq |
| 3 | me-y°-da | me-y°-d′ih | me-y°-doh |
(Nikolaeva2014:68) xada- ‘죽이다’와 te- ‘흐르다’의 명령법 활용의 예
| SG.OBJ | DU.OBJ | PL.OBJ | REFL | ||
| 2SG | xada-q | xada-d° | xada-xəyu-n°q | xada-n°q | te-d°q |
| 2DU | xadaə-dʹih | xadaə-rʹih | xadaŋa-xəyu-dʹih | xadaə-y°-dʹih | tey°-dʹih |
| 2PL | xadaə-daq | xadaə-raq | xadaŋa-xəyu-daq | xadaə-y°-daq | tey°-daq |
- 미래시제는 동사어간에 접미사 -н.го, -д(а), -т(а)를 붙여서 만든다.
표. 직설법 동사의 인칭접사
- 미정시제, 과거시제는 어간 хая에서표. 직설법. 동사활용의 예
표.
рт (-гарт, -карт)를 동사어간과 명령법 인칭형 사이에 넣으면 명령이 아니라 부탁이나 원망(희망)을 표현한다.
- 청유법: 접미사 -х (-га, -ка)
표.
분사에는 4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미완료 분사, 완료 분사, 미래 분사, 부정 분사로 구분된다.
추가 설명:
(Nikolaeva2014:107) xada- '죽이다' 동사의 분사형
일부 분사는 명사화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목적어를 가지지 못하고 소유자의 형태로 결합한다.
| mənʹ° | Wera-h | nʹada-ŋko-da-d°m |
| I | Wera-GEN | help-IMPF-IMPF.PART-1SG |
네네츠어의 부동사는 역사적으로는 동사에서 파생한 명사의 굳어진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격 어미를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행위 명사류(action nominals)와는 다르다.
- 부동사 조건형. 접미사 -б’’ / -п’’
- 상의 의미도 접미사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