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enets:4_ss:43_ctype:ctype_cop

ctype_cop : 계사절/명사절 (copular clause)

nene1249 nikolaeva2014:29
xanʹena-dəm-cʹ°
hunter-1SG-PAST
I was a hunter.
nene1249 nikolaeva2014:30
xanʹenaŋǣ-ŋu-d°m
hunterbe-FUT-1SG
I will be a hunter.

A는 B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절. 이런 문장은 동사가 사용되는 절과는 상당히 다를 수 있음. 예를 들어, 시제가 수의적이라든지. 계사를 쓰는데 동사처럼 형태론을 가지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고. 생략이 잘 되는 경우도 있고. A가 어떤 격, B가 어떤 격 등이 언어마다 다름. 계사가 2가지가 있는데 쓰이는 상황이 다르다든지.

  • 계사의 개수
  • 계사 교체 조건
  • 항상성, 일시성
  • 시제, 상
  • 계사의 품사 지위
  • 계사의 생략 가능성
  • 계사 사용의 범위

지침:

  • 계사절, 명사절을 설명
  • 어떤 언어의 경우에는 명사가 술어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음.
  • 예) 러시아어의 경우는 명사가 술어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시제에서 계사 생략임.
  • 중국어의 “나는 학생” 같은 구문에 대해서도 여기에서 설명.
doc/nenets/4_ss/43_ctype/ctype_co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