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enets:nenets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코드

  • ISO 639-3 : yrk
  • walscode : nen, ntu
  • glottocode : nene1249

언어명

  • 영문 : Nenets language
  • 한글 : 네네츠어
  • 러시아어 : ненецкий язык
  • 툰드라 네네츠어, 삼림 네네츠어: 학자에 따라 방언 또는 개별 언어로 분류.

민족명

  • 네네츠인 ('사람'이라는 의미)

공식적 지위

  • 툰드라 네네츠어는 문서화가 잘 되어 있는 편으로 소수민족 언어의 지위를 가지고 1930년대부터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

인구지리학적 정보

사용인구

  • 네네츠인 인구
    • 23007명(1959년 인구 총조사). 극북 지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인구.
    • 약 44600명(2010년 조사)
  • 네네츠어를 모어로 인식
    • 84.7% (1959년 인구 총조사)
    • 모어 화자: 약 22000명(2010년 조사)

사용지역

  • (북) 북빙양 연안, (남) 삼림, (동) 예니세이강 하류, (서) 백해의 동안

주요연구자 및 연구기관

  • 네네츠어의 철자본과 다양한 초등 교재가 발간되어 있으며 야말-네네츠 민족관구에서는 네네츠어 신문도 발행되고 있다.
  • 툰드라 네네츠어는 문서화가 잘 되어 있는 편으로 소수민족 언어의 지위를 가지고 1930년대부터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하였다.
  • 삼림 네네츠어는 1990년대에 와서야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하였으며 문서화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주요연구자
  • 프로코피예프(G.N. Prokofi’ev), 피레르카(A.P. Pyrerka), 베르보프(G.D. Verbov)
  • 카스트렌(M.A. Kastren): 선교사들이 최초의 문법책과 사전을 만들려는 시도를 한 바 있으나 언어학적 기초 지식의 부족으로 실패하고 러시아학술원의 지시로 카스트렌이 저술함.
주요연구기관
2016/01/30 09:08

02_dialect : 방언 (dialect)

  • 툰드라 네네츠어와 삼림 네네츠어
    • 방언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학자에 따라 개별 언어로 구분하기도 함.
    • 상호 이해도가 낮은 편
    • 툰드라 네네츠어: 툰드라에 사는 대다수의 네네츠인들이 사용.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지만 지역간의 차이는 적은 편.
    • 삼림 네네츠어: 타이가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 약 2천명 정도의 소수의 화자만 존재.
2016/02/22 22:58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 네네츠어는 러시아어의 많은 영향을 받음
  • 툰드라 네네츠어는 코미어와 북부 한티어로부터 영향을 받음
  • 삼림 네네츠어는 동부 한티어로부터 영향을 받음
2016/04/05 09:04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 우랄 (Ural)
    • 사모예드 (Samoyedic)
      • 에네츠-네네츠 (Enets-Nenets)
        • 네네츠 (Nenets)
          • 툰드라 네네츠 (Tundra Nenets)
          • 삼림 네네츠 (Forest Nenets)
2016/04/05 09:04

05_writing : 문자 (writing)

19세기말에 출판된 최초의 네네츠어 책은 러시아어 키릴 문자 중 일부 몇 글자를 제외하고 사용하여 작성되었다.

1931년 라틴 문자에 기반을 둔 네네츠어 문자가 만들어졌으며 교과서, 신문, 문학 작품 등에서 쓰이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장모음을 모음 글자 위에 선을 그어 표시하고 연자음을 자음 글자 뒤에 쉼표로 표시하였다. 나중에는 연자음을 표시하는 쉼표의 위치를 자음 글자 아래로 바꾸었으며 장모음 표시는 사용을 중단하였다.

1937년 소련의 다른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네네츠어 문자는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러시아어 문자에 нг과 ʼ 기호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1950년대 말에 нг을 ӈ로 바꾸었으며 ʼʼ 기호를 도입하였다.

현대 네네츠어에서 사용하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Л л	М м	Н н	Ӈ ӈ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Ш ш	Щ щ	Ъ ъ	Ы ы	Ь ь	Э э
Ю ю	Я я	ʼ	ʼʼ

논문과 문법서 등에서 네네츠어의 용례를 라틴 문자 기반으로 전사하여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Nikolaeva(2014)의 표기와 네네츠어 공식 문자의 대응 관계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Nenets	IPA	TXS	Nikolaeva2014
и	i	i	ʹi, i, ī, ə, °
ы			i, ə, °	확인필요(reduction?)
э	e	e	ǣ,e
э'	ə	@	ə	확인필요
а	a	a	a, ə, °
у	u	u	u,ū,ə,°
о	o	o	o, ə, °
п	p	p	p
пь	pʲ	p'	p'
т	t	t	t
ть	tʲ	t'	t'
к	k	k	k
'	ɧ	x\	h	확인필요(?voiceless palatal-velar fricative)
''	ɦ	h\	q	확인필요(?voiced glottal fricative)
б	b	b	b/p
бь	bʲ	b'	b'
д	d	d	d/t
дь	dʲ	d'	d'
г	g	g	g
м	m	m	m
мь	mʲ	m'	m'
н	n	n	n
нь	nʲ	n'	n'
ng	ŋ	N	ŋ
с	s	s	s
сь	sʲ	s'	s'
х	h	h	x
в	β	B	w
й	j	j	y
ц	c	c	c
ць	cʲ	c'	c'
л	l	l	l
ль	lʲ	l'	l
р	r	r	r
рь	rʲ	r'	r

е			ye, ʹe
ё  			yo, 'o
ь			'
ю			yu, yū
я			ya, yə, y°
2016/02/22 22:58

11_cons : 자음 (consonant)

2016/01/30 09:08

12_vowel : 모음 (vowel)

모음 목록

네네츠어 모음의 목록

(Tereshchenko1963) 네네츠어의 모음은 7개이다.

front central back
и /i/ ы у /u/
э /e/
з
а /a/
네네츠어 모음의 목록

(Nikolaeva2014:17) 네네츠어의 모음은 10개이다.

고저 전후 원순 음소
high front unrounded /ī/ (long), /i/ (short)
high back rounded /ū/ (long), /u/ (short)
mid front unrounded /e/
mid back rounded /o/
low front unrounded /æ/ (long), /а/ (short), /ə/ (over-short), /°/ (reduced)
2016/02/22 22:58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2016/04/05 09:04

supra_length : 장단 (length)

2016/01/30 09:08

supra_pitch : 음조 (pitch)

  • 성조
  • pitch accent
  • 억양
2016/12/10 20:18

supra_stress : 강세 (stress)

2016/12/10 20:18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대지(볼셰지멜스키) 방언, 동부 방언에서, 단어는 반드시 자음으로 시작한다. (어두에는 유성폐쇄음, 치찰음은 나타나지 않는다 (в, й 예외).
  • 음절 구성: CV, CVC, CVCC, CVCCC
  • 강세: 자유강세, 이동강세. 어떤 경우 의미변별기능
    • 강세모음은 대개 장모음
2016/02/22 22:58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모음동화와 자음동화가 있다.
2016/02/22 22:58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동화는 어떤 소리가 인접한 소리와 비슷해지거나 같아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발화시에 필요한 노력이 경감됨.
  • 조음 위치 동화: 해당 언어에 나타나는 주요 조음 위치 동화를 기술. 예) 구개음화
  • 조음 방법 동화: 해당 언어에 나타나는 주요 조음 방법 동화를 기술. 예) 파찰음화
  • 위치 동화의 양상
    • 초성이 동화되는지 또는 종성이 동화되는지 검토할 것.
    • 조음 위치별로 적용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할 것.
2016/12/10 20:18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모음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면 해당 언어에 다음 중 어느 것이 존재하는지 기술할 것.
    • 대치(주로 반모음화)
    • 탈락(모음 탈락)
    • 첨가(반모음 또는 자음의 첨가)
    • 축약
2016/12/10 20:18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 음장, 고저, 강약 등 초분절요소와 관련하여 해당 언어에 어떤 음운과정이 나타나는지 기술.
  • 중국 지역 언어에서는 변조(tone sandhi) 현상과 관련된 사항을 중심으로 기술.
2016/12/10 20:18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 해당 언어에 모음조화 현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존재한다면 다음의 특성(자질) 중 어느 것과 관련된 것인지 기술.
    • 혀의 전후 위치
    • 혀의 높낮이
    • 혀뿌리(설근)의 전진(ATR) 또는 후축(RTR)
2016/12/10 20:18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2016/01/30 09:08

22_noun : 명사 (noun)

  • 수, 격, личи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ть (possessive agreement, person/number of the possessor), личное предназначение (destinative, predestinative).
  • 서술어로 쓰일 때 인칭, 수, 시간이 표시됨
  • 격, 수, 소유 일치(소유자의 인칭/수), 전통적으로 destinative 또는 predestinative라고 불리는 범주가 있다.
  • destinative/predestinative는 소유 명사구에 TAM과 유사한 범주가 표현되는 것이다. (Nikolaeva2014:29)

명사의 수

  • 네네츠어 명사에는 단수, 쌍수, 복수 3가지 수가 있다.
  • 단수는 형태론적으로 무표적이다.
nene1249 Nikolaeva2014:59
  • ty : 사슴
  • ŋəno : 배(보트)
  • xər°: 칼
  • yesʹa : 철, 금속
  • yiq : 물

쌍수

쌍수의 형태

쌍수는 핵심 문법격인 주격, 대격, 속격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비소유형에서 쌍수 표지는 -x°h로 주격, 대격, 속격에서 동일하다. 소유형에서는 -xəyu- 접미사가 붙고 뒤이어 소유 접미사가 결합한다.

(Nikolaeva2014:57)

-DU -DU-1SG -DU-2SG
NOM ŋəno-x°h ŋəno-xəyu-n° ŋəno-xəyu-d°
ACC ŋəno-x°h ŋəno-xəyu-n° ŋəno-xəyu-d°
GEN ŋəno-x°h ŋəno-xəyu-n° ŋəno-xəyu-t°
쌍수의 의미

쌍수는 두 개의 개체를 지칭한다. 쌍수의 사용은 제한되어 있는데 한정성 또는 담화 상의 주어진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이미 맥락 상 주어진 대상의 경우에는 쌍수로 지칭이 되나 짝을 이루는 개체가 새로 담화에 등장할 때에는 단수형 명사를 sʹidʹa '둘'이 수식하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복수

복수의 형태

(Nikolaev2014:59) ŋəno ‘boat’의 복수형의 어형 변화

-PL PL-1SG
NOM ŋəno-q ŋənu-n°
ACC ŋənu ŋənu-n°
GEN ŋəno-q ŋənu-qn°
DAT ŋəno-x°q ŋəno-x°q-n°
LOC ŋəno-xəqna ŋəno-xəqna-n°
ABL ŋəno-xət° ŋəno-xətə-n°
PROL ŋənu-qməna ŋənu-qməna-n°
  • 복수 표지는 비소유형 주격에서는 -q이다.
  • 어간 말음에 따라 두 가지 음성학적 부류로 나뉜다.
    • 첫 번째 부류: 후두음 이외의 모음과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 두 번째 부류: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는 경우
      • 첫 번째 하위부류: 비음화된 성문 파열음
      • 두 번째 하위부류: 비음화되지 않은 성문 파열음
복수의 용법과 의미
쌍을 이루는 개체를 복수로

복수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셀 수 있는 개체를 지칭한다. 네네츠어에서는 다른 우랄제어와는 달리 쌍을 이루는 개체를 복수로 지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쌍을 이루는 신체의 부분을 복수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nene1249 Nikolaeva2014:59
sǣw°-danumke-rəxa-q
eye-PL.3SGstar-SIM-3PL
그의 눈은 별같다.
셀 수 없는 명사의 복수

네네츠어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명사의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다. 셀 수 없는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하여 그 양이 많거나 다른 종류의 물질임을 표현하기도 한다.

nene1249 Nikolaeva2014:60
korowitohmoloka-qsəwa-q
cow.PL.GEN.3PLmilk-PLgood-PL
‘그들의 소들의 우유들은 좋다.’

명사의 격

툰드라 네네츠어에는 다음과 같이 7가지 격이 존재한다.

  • 주격(NOM, nominative) : 또는 어간(основа)
  • 속격(GEN, genitive) : родительный
  • 대격(ACC, accusative) : винительный
  • 여격(DAT, dative) 또는 여격-방향격(DAT-LAT, dative-directive) : дательно-направительный
  • 처격(LOC, locative) 또는 처격-도구격(LOC-INS, locative-instrumental) : местно-творительный
  • 탈격(ABL, ablative) : отложительный
  • 경로격?(PROL, prolative) : prosecutive, продольный

전통적으로는 문법적인 격인 주격, 속격, 대격과 장소격인 여격, 처격, 탈격, prolative격을 구분한다. 문법적인 격은 단수, 쌍수, 복수와 모두 결합하는 데에 비해 장소격은 단수와 복수에서만 나타난다.

격 형태

  • 격 어미는 어간 뒤에 결합한다.
  • 예외로 복수 속격 어미는 복수 대격 어미 뒤에 결합한다.
  • 복수 경로격 어미는 복수 속격 어미 뒤에 결합한다.

명사의 쌍수 처격의 의미는 쌍수 형태 명사와 후치사(주로 nja)와 결합으로 나타난다.

texe nja 'to two deers'

texe' njana 'at two deers'

texe' njad 'from two deers'

texe' njamna 'by two deers'

복수 대격은 다른 격과는 달리 접사를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간을 변화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NOM ACC
ja 'earth' jo 'earth (PL.ACC)'
jabto 'goose' jabtu 'goose (PL.ACC)'
xan xano
xoba xobi

단수 격어미

I class II-1 subclass II-2 subclass
NOM
GEN -' -' -'
ACC -м' -м' -м'
DAT -н' -д' -т'
LOC -х=на -гана -кана
ABL -х=д -гад -кад
PROL -вна, -вана -мна, -мана -мна, -мана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복수 격어미

I class II-1 subclass II-2 subclass
NOM -“ -” -“
GEN Acc. + ” Acc. + “ Acc. + ”
ACC
DAT -х=“ -га(а)” -ка“
LOC -х=“на -га”на -ка”на
ABL -х=т -гат -кат
PROL Gen. + мана Gen. + мана Gen. + мана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주격의 용법

주격은 형태론적으로 무표적이다.

명령문의 목적어의 격 변이

주격은 명령문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어휘적인 명사일 경우에는 주격 또는 대격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명령문의 대명사 목적어는 항상 주격으로 사용된다. 명령문이 아닌 경우에도 목적어가 주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논의도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61
teda/temtaxada-q
reindeer.3SG/reindeer.ACC.3SGkill-IMP.2SG
‘그의 순록을 죽여라.’

여격의 용법

여격의 의미: 이동의 방향
nene1249 Nikolaeva2014:62
lam°pa-n°hxərasʹin°-mxəmta-q
lamp-DATkerosene-ACCpour-IMP.2SG
램프에 기름을 부어라.
여격의 의미: 원인
nene1249 Nikolaeva2014:62
yerw°-ntatʹorə-n°hwenʹakoŋǣ-daməd°rŋa
master-GEN.3SGscream-DATdogleg-PL.ACC.3SGhold
그 주인의 비명에 개가 걸음을 멈추었다.
여격의 의미: 분배
nene1249 Nikolaeva2014:62
toxocʹa-msʹidaya-n°hməda-da
fabric.DIM-ACCtwoplace-DATcut-3SG>SG.OBJ
그는 천을 두 조각으로 자른다.
여격의 의미: 기간
nene1249 Nikolaeva2014:62
nʹax°ryalʹa-n°hxan°təə-d°m
threeday-DATgo-FUT-1SG
나는 3일(동안)에 갈 것이다.

처격

처격의 의미: 장소
nene1249 Nikolaeva2014:63
tʹiki°ya-x°napʹa-qŋəmted°-qsəwa-w°nawadʹurŋa-q
thisplace-LOCtree-PLgrass-PLgood-PROLgrow-3PL
이 곳에서 나무 풀 잘 자란다.
처격의 의미: 시간이나 상황
nene1249 Nikolaeva2014:63
xayeryalʹa-xənayader-cʹ°səwa
sunday-LOCwalk-MODgood
맑은 날에 걷기 좋다.
처격의 의미: 도구
nene1249 Nikolaeva2014:63
tira-xənaladə°-da
fist-LOChit-3SG>SG.OBJ
그는 그것을 주먹으로 쳤다.
처격의 의미: 운송 수단
nene1249 Nikolaeva2014:63
te-x°qnatənʹahyerʹemyitayəŋku
reindeer-PL.LOCto.therepossibility.of.getting.3SGno
순록들로 거기에 갈 수 없다.
처격의 의미: 원인
nene1249 Nikolaeva2014:63
sə-tamʹercʹa-xənayamp°-qyaxo-qxər°-tohwiyebti-q
strong-IMPF.PTCPwind-LOCtall-AUGbirch-PLREFL-3PLbend-3PL
센 바람에 커다란 자작나무들 저절로들 휜다.
처격의 의미: 동반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가 처격으로 동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63
Wera-xənato°
Wera-LOCcome
그는 베라와 함께 왔다.

탈격

탈격의 의미: 이탈
nene1249 Nikolaeva2014:64
nʹemʹa-kəd°pʹīn°hwelkadə°
womantent-ABLoutslip.out
여자는 텐트에서 미끄려져 나왔다.
탈격의 의미: 기간의 시작
nene1249 Nikolaeva2014:64
xūb°ta-xəd°xuni
morning-ABLsleep
아침부터 잔다
탈격의 의미: 원인
nene1249 Nikolaeva2014:65
wenʹakosə-tatʹecʹ°-da-xəd°wədʹely°-q
dogstrong-IMPF.PTCPcold-IMPF.PTCP-ABLbend-REFL.3SG
개가 강한 추위에 몸을 움추렸다.
탈격의 의미: 원천
nene1249 Nikolaeva2014:65
tʹuku°xər°xurkayesʹa-xəd°sʹerta-wi°?
thisknifewhichmetal-ABLdo-PERF.PTCP
이 칼 어떤 금속으로 만든 거야?
탈격의 의미: 비교
nene1249 Nikolaeva2014:65
mənc°ya-waqsʹenʹey°xəd°ntasəŋkowo-rŋa
work-1PLbefore.ABLdifficult-FREQ
우리 일 전보다 어렵곤 하다.

경로격

경로격의 의미: 무엇을 따라서
nene1249 Nikolaeva2014:65
yəxa-w°nabuksirmʹiŋa
river-PROLtugboatgo
강을 따라 끌배가 간다.
경로격의 의미: 무엇을 가로질러
nene1249 Nikolaeva2014:66
nʹo-hsʹī-w°nʹapuxacʹaweqləmy°-q
door-GENhole-PROLold.womanlook.out-REFL.3SG
문의 구멍을 통해서 노부인은 내다보았다.
경로격의 의미: 방법
nene1249 Nikolaeva2014:66
sʹaq-m°na-ntanʹa-x°tətasəwa
face-PROL-3SGcompanion-PL.ABL.3SGgood
그녀는 얼굴로 그녀의 동료들보다 예쁘다.

명사의 소유범주

  • 네네츠어에는 명사의 격 형태 뒤에 결합하여 인칭 소유를 표시하는 어미가 있다.
  • 네네츠어에 인칭은 3개, 각 인칭은 3개의 수가 있으로 각 격 형태는 9가지 인칭 소유 형태를 가진다.
  • 친족 관계, 신체 일부, 집안 물건 등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 лично-претяжательный (possessive agreement, person/number of the possessor),
  • 접미사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 단수 명사에 결합하는 경우
    • 쌍수와 복수 명사에 결합하는 경우
  • '-d' 어미 앞에 'n'이 개입한다. 예) xan (썰매?) + xana (로)+ n + da (그) '그의 썰매로'
  • 친족 명사. 명사와 접미사 사이에 '-na-'가 개입. 예) nebjanana 'our mother', nisjanana 'other father'
  • 2인칭 접사는 한정성 또는 강조를 표현한다.
nene1249 Nikolaeva2014:66
Nebjavmjakanandajangu'나의어머니는집에없다.'
-Nebjanmanzajadasatsnoka'나의어머니는일이많다.'
- Xusuvexed nebjav njadabavan' xarvadm' '나는 항상 나의 어머니를 돕고 싶다.'
3인칭 단수 소유 어미의 의미: 한정성
nene1249 Nikolaeva2014:69
xǣbʹidʹato-x°naxalʹa-daŋoka
holylake-LOCfish-3SGmany
성스런 호수에 물고기가 많다
2인칭 단수 소유 어미의 용법: 담화 내 지시 기능

2인칭 단수 소유 어미는 이전 담화에서 도입된 지시 대상에 붙어서 그 대상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음을 강조하고 청자에게 감정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담화 내 지시 기능이 일차적인 기능이므로 처음 등장하는 지시 대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

nene1249 Nikolaeva2014:69
puxacʹa-koyilʹe-wi°.puxacʹa-ko-nt°sʹidʹasəwanʹu-da
old.woman-DIMlive-INFRold.woman-DIM-GEN.2SGtwogoodchild-3SG
한 할머니가 살았다. 이것이 그 할머니의 두 착한 아이이다.
인칭 소유 어미의 의미: 부분

인칭 소유 어미는 부분사(partitive)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ŋob-mʹih(one-1DU)는 우리 둘 중의 하나라는 의미가 된다.

nene1249 Nikolaeva2014:69
Wera-hte-xət°ŋarka-dohsəwa
Wera-GENreindeer-PL.ABLbig-3PLgood
베라의 순록들 중에서 큰 것이 좋다.
인칭 소유 어미의 용법: 연관성

담화 상에서 관련이 있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소유의 의미와는 무관하다. 다음 예에서 '늑대'에 결합한 3인칭 단수 소유 표지는 '그 개의 늑대'라는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그 개와 싸우고 있는 늑대'라는 점에서 그 개와의 연관성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nene1249 Nikolaeva2014:70
wari°nix°-mtame-cʹ°wenʹakoŋanʹihsarmʹikə-x°ntasəney°-q
laststrength-ACC.3SGuse-MODdogmorewolf-DAT.3SGattack-REFL.3SG
마지막 힘을 사용해 개는 또 늑대에게 공격을 가했다.

noun_predestinative

predestinative는 TAM과 같은 범주를 표현한다. 소유 관계에 있어 미래시제 또는 비현실서법(irrealis modality)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 личное предназначение (destinative, predestinative).

predestinative의 형태

predestinative 형태는 소유 어미 앞에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이다. predestinative형 명사는 소유구의 핵으로 기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predestinative와 소유 어미의 결합

(Nikolaeva2014:72)

-1SG -2SG -3SG 어휘적 소유자
NOM ŋəno-də-mʹi ŋəno-də-r° ŋəno-də-da ŋəno-d°/ŋəno-də-da
ACC ŋəno-də-mʹi ŋəno-də-mt° ŋəno-də-mta ŋəno-d°/ŋəno-də-da
GEN ŋəno-də-n° ŋəno-də-nt° ŋəno-də-nta

주격 predestinative의 용법

새로운 등장의 주어

주격형은 주로 등장을 나타내는 자동사와 같은 특정한 부류의 동사의 주어를 나타낼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73
xasawanʹū-də-mʹisoya
manchild-PREDES-1SGbe.born
남자 아이가 나에게 태어났다.
명령문의 목적어

네네츠어에서 명령문의 어휘 목적어는 주격으로 나타나며 주격 predestinative로 나타날 수도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73
ŋəmke-xəwapad°r-tə-mʹita°-daq
what-AFFpaper-PREDES-1SGbring-IMP.2PL
무엇이든 종이 나를 위해 가져와라.

대격 predestinative의 용법

생성 동사의 목적어

대격 predestinative는 모든 타동사와 자유롭게 사용될 수 없다. 생성을 의미하는 동사의 목적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74
kniga‐də‐mt°padə-d°m
book‐PREDES‐ACC.2SGwrite-1SG
나는 책을 너를 위해 썼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목적어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이동의 지향점과 predestinative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redestinative가 이동의 지향점을 의미하지는 않다. 이동의 방향은 여격으로 표현되며 predestinative는 이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nene1249 Nikolaeva2014:75
Maša‐n°hkniga‐də‐mt°mʹiŋa‐d°m
Masha‐DATbook‐PREDES‐ACC.2SGgive‐1SG
마샤에게 너를 위한 책을 주었다.
대상에게 새로운 것을 표현

엄격한 의미의 생성은 아니더라도 predestinative가 지칭하는 대상에게 새로운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nene1249 Nikolaeva2014:75
Weraŋəno-də-mʹiŋolʹepʹada°
Weraboat-PREDES-ACC.1SGpaint
베라는 보트를 나를 위해 칠했다.

속격 predestinative

조동사와 함께 이차 술어로 기능
nene1249 Nikolaeva2014:76
tʹuku°wenʹakomənʹaqwenʹako‐d°‐naqxəya
thisdogwedog‐PREDES‐GEN.1PLgo
이 개 우리 개가 되었다
부가적인 의미
nene1249 Nikolaeva2014:76
tʹuku°pad°rxayobcʹən-tə-n°ta-d°
thisbookmemory-PREDES-GEN.1SGgive-IMP.2SG>SG.OBJ
이 책 기념으로 나에게 줘.
2016/01/30 09:08

23_verb : 동사 (verb)

  • 문법범주: 인칭, 수, 시제, 법, 활용유형
  • 동사어간말음에 따라 명사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음성적 부류로 나뉜다.
  • 동사어간의 구성은 체언어간의 구성과 유사하다.
  • 동사어간의 음성적 구조의 특징은 파생과, 어형변화에 나타난다.
  • 동사어간의 음성적 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기본 형태는 부정보조동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형태이다.
    • 이 형태의 표지인 접미사(비음화하지 않은 구강후두폐쇄음(‘’))을 떼고 그 영향으로 변화된 소리를 복원하면 동사 어간을 얻을 수 있다.

conjugation

일치

  • 동사활용 유형. 3가지. subjective, objective, objectless
  • Subjective 활용 인칭접미사:자동사, 타동사 중 문장내 논리강세가 없는 타동사에
  • Objective 활용 인칭접미사: 논리강세가 떨어지는 타동사의 경우만
  • Objectless 활용 인칭접미사: 타동사. 동사의 행동이 행위주 자신에게 이전되는 경우,
    • 특정 자동사, 주로 행위의 시작이나 끝을 의미하는 동사

주어 일치

subjective conjugation의 예

(Nikolaeva2014:78) mənc°ra- ‘일하다’ 동사의 활용예

SG DU PL
1 mənc°raə-d°m mənc°ra°-n′ih mənc°ra°-waq
2 mənc°raə-n° mənc°ra°-d′ih mənc°ra°-daq
3 mənc°ra° mənc°raə-x°h mənc°ra°-q
reflexive conjugation의 예

(Nikolaeva2014:79) te- ‘흐르다’ 동사의 활용예

SG DU PL
1 teyə-w°q tey°-nʹih tey°-naq
2 teyə-n° tey°-dʹih tey°-daq
3 tey°-q teyə-x°h teyə-d°q

목적어 일치

목적어 일치는 목적어의 수를 표시하고 인칭은 표시하지 않는다. 목적어 일치 접사는 주격에서 단수 및 복수 소유 접사와 대개 동일하다. 명사의 소유 표지의 경우에는 명사의 어간에 결합되나 동사의 목적어 일치 표지는 정형 어간(finite stem)에 결합한다는 차이가 있다.

Objective conjugation의 예: 단수 목적어

(Nikolaeva2014:79) me- ‘하다’

SG DU PL
1 meə-w° me°-m′ih me°-waq
2 meə-r° me°-r′ih me°-daq
3 me°-da me°-d′ih me°-doh
Objective conjugation의 예: 쌍수 목적어

(Nikolaeva2014:79) me- ‘하다’

SG DU PL
1 meŋa-xəyu-n° meŋa-xəyu-n′ih meŋa-xəyu-naq
2 meŋa-xəyu-d° meŋa-xəyu-d′ih meŋa-xəyu-daq
3 meŋa-xəyu-da meŋa-xəyu-d′ih meŋa-xəyu-doh
Objective conjugation의 예: 복수 목적어

(Nikolaeva2014:80) me- ‘하다’

SG DU PL
1 me-yə-n° me-y°-n′ih me-y°-naq
2 me-yə-d° me-y°-d′ih me-y°-daq
3 me-y°-da me-y°-d′ih me-y°-doh

법 활용

명령법 활용

(Nikolaeva2014:68) xada- ‘죽이다’와 te- ‘흐르다’의 명령법 활용의 예

SG.OBJ DU.OBJ PL.OBJ REFL
2SG xada-q xada-d° xada-xəyu-n°q xada-n°q te-d°q
2DU xadaə-dʹih xadaə-rʹih xadaŋa-xəyu-dʹih xadaə-y°-dʹih tey°-dʹih
2PL xadaə-daq xadaə-raq xadaŋa-xəyu-daq xadaə-y°-daq tey°-daq
  • 법: 직설법, 명령법, 청유법, 접속법, 예상법, 예상의무법
  • 직설법 동사는 3개의 인칭, 3개의 수(단수, 쌍수, 복수),
    1. 시제(미정시제-indefinite, 과거시제, 미래시제)에 따라 변화한다.
    2. 미정형은 특별한 표지가 없다.
    3. 과거시제: 행위가 상대적으로 이전임을 표현. 과거시제 표지 -сь는 미정시제의 인칭형에 붙는다.
      1. ileni’ - 우리(둘)는 살고 있다.
      2. ileninz’ - 우리(둘)는 살고 있었다.
      3. ileva’’ - 우리(여럿)는 살고 있다.
      4. ilevats’ - 우리(여럿)는 살고 있었다.
      5. 의문문은 동사 어간과 미정시제 인칭접미사 사이에 접미사 -c를 끼워넣어 만든다.

    - 미래시제는 동사어간에 접미사 -н.го, -д(а), -т(а)를 붙여서 만든다.

  • 미래시제 표지와 행위의 점진성을 표현하는 접미사가 일치하는 것은 이 시제형태가 상 형태에서 나온 것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표. 직설법 동사의 인칭접사

  •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인칭접미사가 바로 어간에 붙는다. (예외: 3인칭 쌍수)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인칭접미사가 매개모음을 사이에 두고 어간에 연결된다.
  • 어간 말음이 비음화된 후두폐쇄음이 н으로 교체된 것이라면, 인칭형은 접미사 -н,а가 붙고, 마지막 후두폐쇄음은 없어진다.
  • 어간 말음이 -м’인 동사: 인칭접미사는 매개모음 а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후두폐쇄음은 사라진다.
  • 어간말음인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폐쇄음이 р, л 뒤에 오면, 인칭형은 접미사 -н,а가 붙는다.
  • 어간말음인 후두폐쇄음이 с와 교체되는 경우, 대부분의 방언에서 동사의 어간과 인칭접미사 사이에 접미사 -н,а가 들어가고, 이때 어간말음 후두폐쇄음은 유지된다.
  • 인칭활용형의 가장 큰 특징이 나타나는 동사는 хэсь (가다, 출발하다)
    • 어간 хэ - 미정시제, 과거시제는 어간 хая에서
    • 미래시제는 어간 хан’’에 접미사 -та를 붙여서 만든다.

표. 직설법. 동사활용의 예

  • 명령법: 2인칭 명령, 3인칭 명령. 수(단수, 쌍수, 복수)에 따라 특별한 접미사 붙여서 만든다.

표.

  • 접미사 -xрт (-гарт, -карт)를 동사어간과 명령법 인칭형 사이에 넣으면 명령이 아니라 부탁이나 원망(희망)을 표현한다. - 청유법: 접미사 -х (-га, -ка)
  • 접속법: 접미사 -и
  • 예측법: 접미사 -кы. 동사 어간에 형동사 형태로 붙는다.
  • 예측의무법: 접미사 -бцу (-су, -цу): 화자의 예측에 따라 누군가가 해야할 일을 표현.
  • 행위나 상태의 부정은 부정동사를 써서 표현한다. 부전동사는 독립부정동사와 보조부정동사가 있다.
    • 독립부정동사: 부정이 그 어휘의미에 들어있는 경우
      1. ян,го(сь) (없다), ухэра(сь) (모른다, 할줄모른다)
      2. 보조부정동사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нись.
      3. 이 동사를 쓰면 그 어떤 동사도 부정 형태를 만들 수 있다.
      4. 이 때 동사 нись는 인칭, 수, 시제, 법에 따라 변하고,
      5. 기본형은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폐쇄음이 붙는 어간 형태로 나타난다.

      표.

negation

  • 부정소사(particle) -ся(сь)을 써서 부정의미의 동사를 만드는 것도 매우 일반적인 방법이다.
  • 문장 전체의 부정의미를 표현하는 데에 동사에 표현된 부정의미로 충분하다.

nonverval_ptcp

분사에는 4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미완료 분사, 완료 분사, 미래 분사, 부정 분사로 구분된다.

  • 미완료 분사는 행해지고 있는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на, -да, -та로 표시된다.
  • 완료 분사는 행해진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вы로 표시된다.
  • 미래 분사는 행해질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в(а)нда, -м(а)нда로 표시된다.
  • 부정 분사는 아직 행해지지 않은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в(а)давэй, -м(а)давэй로 표시된다.

추가 설명:

  • 접미사 -на, -да, та가 붙는 형동사는 미정시제 형태와 똑같은 특징을 같는다.
  • 즉, 미완료의 의미를 가지는 비파생(?) 동사와 파생동사의 경우, 이 형태는 행동이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완료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의 경우, 이 형태는 머지않은 과거에 일어난 행위를 의미한다.
분사 형태의 예

(Nikolaeva2014:107) xada- '죽이다' 동사의 분사형

  • xada-na ‘죽이는 (kill-IMPF.PART)’
  • xada-wi° ‘죽인 (kill-PERF.PART)’
  • xada-wənta ‘죽일 (kill-FUT.PART)’
  • xada-wədawey° ‘죽이지 않은 (kill-NEG.PART)’;
분사의 명사화의 예

일부 분사는 명사화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목적어를 가지지 못하고 소유자의 형태로 결합한다.

nene1249 Nikolaeva2014:107
mənʹ°Wera-hnʹada-ŋko-da-d°m
IWera-GENhelp-IMPF-IMPF.PART-1SG
나는 베라의 도움이(조수)다.

nonverbal_cvb

네네츠어의 부동사는 역사적으로는 동사에서 파생한 명사의 굳어진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격 어미를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행위 명사류(action nominals)와는 다르다.

  • 부동사 미정형. 접미사 -сь, -зъ, -ць.
    1. 기본적인 부동사의 의미와 함께 (미정형과 같이) 행위의 가장 일반적인 개념을 표현한다.
    2. 성질부사의 의미로 사용된다

    - 부동사 조건형. 접미사 -б’’ / -п’’

    • 모든 인칭, 모든 수의 형태. 부동사의 인칭형은 인간소유 접미사와 같다.

verb_derivation

  • 동사 파생은 명사 파생과 마찬가지로 접미사 첨가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두 가지 종류.
    1. a) 동사에서 파생되는 동사
    2. b) 다른품사에서 파생되는 동사

    - 상의 의미도 접미사로 표현된다.

    1. 지속상: 접미사. -мба, -ба, -па
    2. 다회상: 접미사. -р’’
    3. 단절상: 접미사 -н,ги
    4. 일반상?: 접미사 -сеты / -зеты / -цеты
    5. 점진상?: 접미사 -н(а), -д(а), -т(а), -н,го
    6. 기동상: 접미사 -л, -л’’
    7. 불완전상: 접미사 -йбте
    8. 일회상. хал’’
  • 단어의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방법으로 분석적인(analytic) 방법은 극히 드물게 사용된다.
    1. sjurmba tos’ 뛰어오다 (직역. 뛰어서 오다)
    2. sjurmba xes’ 뛰어떠나다 (직역. 뛰어서 떠나다)
2016/02/22 22:58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명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부정형은 부정 동사의 분사형(причастие; participle) nis 'not be'의 도움으로
  • 비교급: 비교 대상이 탈격으로 사용되는 문장 구조로 비교급을 표현한다.
    • 예) Sexery sarpjaxad lata '도로 오솔길(탈격) 넓다'
  • 동사의 분사형
    • 예) njarjana 'red', narja(s) 'to be red'; tetsda 'cold', tettsja(s) 'to be cold'
  • 러시아에서 차용어는 '-oj' 형태를 가진다.
    • 예) sistoj 'чистый'

양화 형용사 (quantification adjective)

다음 형용사들은 의미적으로는 양화사나 한정사와 유사하나 피수식 명사에 복수나 쌍수 표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유사하다. 명사구 내 어순에 있어서도 한정사와는 다르며 형용사처럼 행동한다.

  • sʹan° ‘how many, how much; some’
  • tʹanʹo ‘few, little’
  • xǝnʹaŋi° ‘what, which’
  • xurka ‘what kind’
  • xusuwey° ‘each, every, all kind of’
  • ŋǝmkexǝw° ‘some’,
  • xurkaxǝrt° ‘any, no kind’,
  • xurkarʹi ‘any, any kind’,
  • sʹan°xǝwa ‘some, a few, several’
2016/01/30 09:08

25_adv : 부사 (adverb)

  • 장소, 시간, 행위의 성질 및 방식을 표현한다
  • 대부분의 장소 부사는 처소격의 굳어진 형태이다.
  • 시간 부사와 성질 부사는 대부분 명사, 수사, 대명사의 다양한 격(주로 생격과 연격?? prolative), 동사에서 나온 것이다.
  • 공간, 시간 관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 행위의 성질은 명사의 생격이나 연격 형태, 부동사의 미정형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많다.
2016/02/22 22:58

26_exclam : 감탄사(interjection, exclamation)

감탄사는 주로 감탄 또는 감탄의 일부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전형적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표현하며 통사적으로 다른 동반 표현과 관계를 맺지 않는다. 해당 언어에 발견되지 않는 음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 영어의 psst, ugh, excellent, well

참고: http://www-01.sil.org/linguistics/GlossaryOfLinguisticTerms/WhatIsAnInterjection.htm

2016/04/05 09:04

27_num : 수사 (numeral)

  • 양, 순서, 배분, 집합
  • 기수사: nob, sidja, njaxar, tet, samljang, mat, sijv, sidndet (8은 two eight), xasuju (9는 10에서), ju'' (10)
  • 기수사는 명사처럼 곡용
2016/02/22 22:5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양사 아래 중국 지역은 내용이 자세함. 문서를 어떻게 분할할지 중국팀에서 논의.

  • 수 분류사/양사
  • 명사 분류사
  • 소유 분류사
  • 동사 분류사
  • 사모예드어의 predestinative를 소유 분류사로 보는 소수 견해도 있음. 소유 분류사는 소유의 방식 또는 소유물/소유주 관계에 따라 다른 접사가 사용.
  • 동사 분류사란 논항의 의미 부류에 따라 어간 형태 또는 접사가 달라지는 현상. 분류사는 단어 또는 접사로서 명사의 분류를 표현한다.

참조

2016/04/05 09:04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인칭대명사, 인칭정대명사, 무인칭정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
  • 부정대명사(negative), 부정대명사(indefinite)
  • 인칭대명사와 인칭대명사의 곡용은 없음
  • 인칭대명사의 대격: 어간 si’’ (sid)에서 만들어지는 인간소유 형태이다.
    • 같은 어간에서 생격도 만들어지고, 이는 주로 후치사와 결합한다.
  • 처소격의 의미로 인칭대명사와 후치대명사의 결합 형태가 사용된다.
  • 인칭대명사는 기본격(주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 인간소유, 인간목적 형태와 결합하여 소유의미를 나타낸다.
    • manja’’ nisjava’’ - 우리 아버지
  • 동사의 인칭형과 결합하여 직접적인 인칭의미로 사용된다.
    1. manja’’ tova’’ - 우리는 왔다.

    - 3인칭 대명사를 비롯한 모든 인칭대명사는 불활동체를 가리킬 수 없다.

  • 불활동체를 가리키기 위해서는 인칭대명사 대신 지시대명사를 쓰거나 같은 명사를 반복한다.
    • 때로 이 경우 후치대명사가 쓰이기도 한다.
  • 인칭정대명사 형태는 인칭대명사 형태와 마찬가지로 만들어진다.
  • 무인칭정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 부정대명사, 부정대명사는 명사와 똑같이 곡용한다.
  • 부정대명사(indefinite)는 의문대명사에 접미사 -хва를 붙여서 만들고 - 의문대명사는 접미사 -хрт를 붙여서 만든다.
  • 부정대명사(negative)는 대개 부정 동사와 함께, 부정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모든 대명사(의문대명사 포함)가 격뿐 아니라, 수에 따라 변화하고, 인간소유, 인간목적 형태를 가진다.
    • Tikar mal’tsja? 이게 네 사슴가죽 웃옷이냐?
  • 이외에도 인칭재귀대명사도 있다. 방언에 따라 다르다.
2016/01/30 09:08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 화자 영역, 청자 영역, 중립 영역
  • 문맥 지시, 상맥 지시
2016/12/10 20:18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 거리 중심 체계
  • 인칭 중심 체계
  • 거리 중심 대 인칭 중심
2016/12/10 20:18

pro_indf : 비한정사 (indefinite, indefinite pronoun)

  • 특정 비한정사
  • 불특정 비한정사
  • 자유선택
  • 부정극성
2016/12/10 20:18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 두인칭 대 세인칭
  • 2인칭 단수의 분화
  • 1인칭 복수 포괄 대 배제
2016/06/16 13:11

pro_q : 의문사 (interrogative)

  • 의문사의 분화 양상
  • 數와의 상호작용
  • 의문사의 위치, 초점과의 관계
2016/12/10 20:18

pro_recp : 상호사 (reciprocal)

  • 상호사의 용법의 범위
2016/12/10 20:18

pro_refl : 재귀사 (reflexive, reflexive pronoun)

  • 재귀사 발생 동기: 재귀적 행위 표시 대 중의성 해소
  • 재귀사의 인칭 제약
  • 재귀사 선행사 제약
  • 재귀사의 국소성
2016/12/10 20:18

32_det : 한정사 (determiner)

네네츠어에는 전형적인 관사(article)은 존재하지 않으며 한정성은 소유 어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한정사로 파악될 수 있는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tʹuku° ‘this’
  • tǝrcʹa ‘such’
  • tʹiki° ‘that’ (대개의 경우 조응사적)
  • tʹexa ‘that, distant or behind something’
  • taki° ‘that (지시사적)’
  • tay°kuy° ‘that one over there (보이는 것)’
2016/06/16 13:11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전치사(preposition), 후치사(postposition), 환치사(circumposition)
  • 후치사: 공간, 시간 관계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가장 빈도가 높은 후치사. ни’ (~로-방향), ниня (~위에), нид (~로부터), нимня (~표면을 따라)
  • 후치사가 붙는 명사는 똑같은 불변형태, 주로 생격형태를 가진다.
  • 인간소유 형태가 붙으면 후치사는 후치대명사로 변한다.
    1. Нини пи’’ вэба’’ ха’’морн,а’’ 내 위로 나뭇잎이 떨어진다.

    - 맥락에 따라 같은 단어가 후치사로도, 부사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2016/02/22 22:58

34_conj : 접속사 (conjunction)

  • 접속사: 별로 발달하지 않았다.
  • 접속어: 접속 의미로 사용되는 대명사, 부사
2016/02/22 22:58

35_aux : 보조사(auxiliary)

  • 주로 조동사(auxiliary verb)이나 동사적인 성격이 아닌 것도 있음.
  • 보조동사는 어휘적인 동사나 동사구와 동반하여 어휘 동사가 가지지 않는 문법적인 차이를 표현한다. 인칭, 수, 시제, 상, 태 등이 있다.

참조

2016/12/10 20:18

36_ptcl : 첨사(particle)

독립적인 단어로, 또는 독립어에 붙여서 접미소사의 형태로 사용된다.

2016/02/22 22:58

39_func : 기타 기능어 (function word)

2016/06/16 13:11

41_cl : 절(clause)

2016/02/22 22:58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핵심 주제: 단순절의 핵심 논항들을 어떻게 구별하는가?

절의 내부 구조. 주어나 목적어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중국어는 어순, 한국어는 조사, 코카서스제어는 명사에 표지가 없지만 동사에 붙은 표지를 보고 안다. 논항에 표지를 붙이는 것을 플래깅, 술어에 표지를 붙이는 것을 인덱싱. 어순, 플래깅, 인덱싱. 이것이 해당 언어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핵심이다.

논항의 문법역할 표시 대표적인 3가지 방법:

  • flagging(격표지, 부치사). 예) 한국어
  • indexing. 예) 코카서스어
  • 어순. 예) 영어

자동사의 논항 S, 타동사의 논항 A(gent), P(atient). 이 세가지가 어떻게 취급되는가를 정렬(줄서기)이라고 한다.

정렬(alignment):

  • 주격/대격 정렬: A=S != P. 예) 한국어. 철수가(S) 왔다. 철수가(A) 영희를(P) 때렸다.
  • 절대격/능격 정렬: A != S=P. 예) 코카서스어
  • Active/Stative (Split S Alignment): SA=A != SP=P. 예) 코카서스어?
  • 3분 정렬 : A != S != P.

어떤 언어는 인덱싱에서는 절대격/능격 정렬, 플래깅에서는 주격/대격 정렬을 하는 언어도 있음.

기술 예: 아창어

  • 플래깅과 어순을 사용한다.
  • 주격/대격 정렬로 기술한다.
2016/09/08 17:30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 주어의 범위
  • 목적어의 범위.
    • 절의 핵심 논항 중에서 제2논항, patient, undergoer 등을 의미적 타동성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길 수 있다. 이 점수가 매우 높은 요소만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고 이 점수가 꽤 낮은 요소까지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다. 따라서 해당 언어에서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것들의 범위가 어디까지 가능한지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예) 중국어의 경우에 agent(의미적)가 object(문법역할. 협의의 목적어. accusative 또는 부치사를 동반하지 않는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다. 장소도 목적어가 된다. “학교를 간다” 한국어의 경우 심리동사, 지각동사의 대상도 목적어로 표현된다. “~을 사랑하다”, “~을 보다”, “~를 돕다”.
2016/12/10 20:18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네네츠어의 명사구는 핵이 가장 뒤에 위치한다. 부가적인 요소에는 한정사, 소유주, 비소유 명사 부가어, 성질 형용사, 양화사가 있다.

한정사

한정사의 어순

소유주가 있을 때 형용사는 소유주와 명사 사이에 위치하지만 한정사는 소유주 앞에 위치한다.

nene1249 Nikolaeva2014:141
Wera-hŋarkati
Wera-GENbigreindeer
베라의 큰 사슴
nene1249 Nikolaeva2014:141
tʹuku°Wera-hti
thisWera-GENreindeer
이 베라의 사슴

소유 구성

대명사 소유주

대명사 소유주는 소유 인칭 어미와 일치하며 대개의 경우 대명사는 사용되지 않는다. 소유 인칭 어미가 소유주의 인칭과 수를 표시한다. 다음 예에서 1인칭 쌍수 대명사 mənʹih는 필수적이지 않다.

nene1249 Nikolaeva2014:143
mənʹihwenʹaku-nʹih
we.DUdog.PL-1DU
우리 둘의 개들
어휘적 소유주

소유주아 어휘 명사일 때에는 소유 인칭 어미가 필수적이지 않다. 다음에서 ti '사슴'에는 소유 인칭 어미가 결합하지 않았다.

nene1249 Nikolaeva2014:143
tʹuku°Wera-hti
thisWera-GENreindeer
이 베라의 사슴
소유 인칭 어미의 결합 여부와 소유주 명사의 통사적 위치

어휘 명사에 소유 인칭 어미가 결합하여 te-da '그의 사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소유주에 해당하는 어휘 명사의 통사적 위치가 다름을 다음 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143
Wera-htʹuku°te-da
Wera-GENthisreindeer-3SG
베라의 이 사슴
Predestinative 소유 구성

predestinative 소유 구성은 일반 소유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nene1249 Nikolaeva2014:150
Wera-hŋəno-d°
Wera-GENboat-PRED
베라를 위한 보트

속성 수식어

성질, 수,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 수사, 동사의 굴절형 등이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수식어와 피수식 명사의 수의 일치

수식어와 명사의 수의 일치 표시는 부가적이다. 일부 화자는 의미적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수식어에 복수 표지가 붙었을 때는 개별적인 특성이고 복수 표지가 붙지 않았을 때는 집단적 특성이라는 것이다.

nene1249 Nikolaeva2014:152
ŋarka-qti-q
big-PLreindeer-PL
큰 순록들
수식어의 수 일치 표시의 한정성

복수 명사를 수식할 때 수식어에 붙는 복수 일치 표지는 일종의 한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복수 일치 표지가 없을 때에는 총칭적 해석을 가진다.

nene1249 Nikolaeva2014:152
mūno-tanoxa-q
make.noise-IMPF.PARTpolar.fox-PL
울부짖는 북극여우들 (일반적인 의미)
nene1249 Nikolaeva2014:152
mūno-ta-qnoxa-q
make.noise-IMPF.PART-PLpolar.fox-PL
울부짖는 북극여우들 (특정한 집단을 지칭)
양화 형용사의 어순

양화 형용사들은 의미적으로는 양화사나 한정사와 유사하나 복수나 쌍수 표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유사하다. 어순에 있어서 한정사와는 다르며 형용사처럼 행동한다. 소유주 명사가 있을 때 소유주 뒤 피수식 명사 앞에 결합한다.

  • sʹan° ‘how many, how much; some’
  • tʹanʹo ‘few, little’
  • xǝnʹaŋi° ‘what, which’
  • xurka ‘what kind’
  • xusuwey° ‘each, every, all kind of’
  • ŋǝmkexǝw° ‘some’,
  • xurkaxǝrt° ‘any, no kind’,
  • xurkarʹi ‘any, any kind’,
  • sʹan°xǝwa ‘some, a few, several’

양화사

양화사들은 일반적으로 핵의 앞에 위치하나 일부 일반양화사들은 명사구 주변에서 유동 현상을 보인다.

일반양화사 mal°h

일반양화사 mal°h는 '모두' 또는 '온'의 의미를 가진다. '모두'의 의미로 사용될 때 피수식 명사에 복수형 표지가 붙는다.

nene1249 Nikolaeva2014:159
mal°hwenʹakuxade-yǝ-n°
alldog.PL.ACCkill-PL.OBJ-1SG
‘I killed all the dogs.’
일반양화사 mal°h의 어순

일반양화사 mal°h은 명사구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nene1249 Nikolaeva2014:159
nʹīnaqmal°hmǝlʹe°mǝq°leyǝ-d°q
companion.PL.1PLallalreadycollect-REFL.3PL
우리 친구들 모두 벌써 모였다.
nene1249 Nikolaeva2014:160
tʹedahmǝnʹaqmʹaq-naqtʹer°-qxada-naqxaw°namal°htoxodǝnǝ°-q
nowwetent-GEN.1PLcontent-PLgrandmother-GEN.1PLexceptallstudy-3PL
이제 우리들 집안은 우리 할머니 빼고 모두 공부한다.
2016/04/05 09:04

43_ctype : 절 유형 (clause type)

2016/04/05 09:04

ctype_adj : 형용사절 (adjectival clause)

동사절과 시제 형식이 다를 수 있음. 시제의 개수가 더 적다든지. 주어와 일치 문제.

2016/01/30 09:08

ctype_cop : 계사절/명사절 (copular clause)

nene1249 nikolaeva2014:29
xanʹena-dəm-cʹ°
hunter-1SG-PAST
I was a hunter.
nene1249 nikolaeva2014:30
xanʹenaŋǣ-ŋu-d°m
hunterbe-FUT-1SG
I will be a hunter.

A는 B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절. 이런 문장은 동사가 사용되는 절과는 상당히 다를 수 있음. 예를 들어, 시제가 수의적이라든지. 계사를 쓰는데 동사처럼 형태론을 가지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고. 생략이 잘 되는 경우도 있고. A가 어떤 격, B가 어떤 격 등이 언어마다 다름. 계사가 2가지가 있는데 쓰이는 상황이 다르다든지.

  • 계사의 개수
  • 계사 교체 조건
  • 항상성, 일시성
  • 시제, 상
  • 계사의 품사 지위
  • 계사의 생략 가능성
  • 계사 사용의 범위

지침:

  • 계사절, 명사절을 설명
  • 어떤 언어의 경우에는 명사가 술어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음.
  • 예) 러시아어의 경우는 명사가 술어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시제에서 계사 생략임.
  • 중국어의 “나는 학생” 같은 구문에 대해서도 여기에서 설명.
2016/02/22 22:58

ctype_verb : 동사절 (verbal clause)

  • 자동사절
  • 타동사절
    • 이중타동사절
      • 어순
      • 정렬
        • flagging
        • indexing
2016/12/10 20:18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2016/04/05 09:04

stype_exclam : 감탄문 (exclamative sentence)

2016/12/10 20:18

stype_imp :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명령문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문법표지, 통사 구조 등을 설명.

기본적으로는 인칭에 따른 실현 방식의 차이가 중요. 다음 인칭에 유의하여 기술.

  • 2인칭 명령. 단수/복수도 있을 수 있음.
  • 3인칭 명령. 단수/복수도 있을 수 있음.
  • 1인칭 명령. 단수/복수도 있을 수 있음.
  • 1+2인칭 명령. 청유문에 해당.

의미적인 차이를 구별하는지도 주요한 문제. 다음과 같은 의미들을 다른 방식으로 실현하는 언어도 있음.

  • 명령(order)
  • 요청(request)
  • 희망(optative)
2016/12/10 20:18

stype_q : 의문문 (interrogative sentence)

각 의문문의 유형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설명하고 예시.

  • 판정 의문문 (yes-no question) : 어제 너 학교 갔어?
    • 긍정 의문문과 부정 의문문 (negative question)에 대한 응답의 양상도 기술?
    • 긍정 질문에 대한 긍정/부정 대답의 형태
    • 부정 질문에 대한 긍정/부정 대답의 형태
    • 네 가지를 모두 구별하는 언어도 있고. 세 가지로 구별하는 언어도 있고. 두 가지로 구별하는 언어도 있음.
  • 설명 의문문 (wh-question) : 뭐 먹을래?
  • 선택 의문문 (alternative question) : 밥 먹을래, 국수 먹을래?
  • 정반 의문문 () : 어제 너 학교 갔어, 안 갔어?
  • 수사 의문문 (rhetorical question)
2016/12/10 20:18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2016/04/05 09:04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2016/12/10 20:18

val_appl : 추가태 (applicative)

  • 표지
  • 승격성분의미역할

논항이 아닌 것, 사격 성분을 동사의 목적어로 승격시키고 동사에 표지를 붙이기도 함.

2016/12/10 20:18

val_caus : 사동 (causative)

  • 사동 표지
  • 피사동주(causee)의 실현 방식

지침:

  • 문법적으로 사동이 표현된 경우.
  • 형식적인 사동표현 기능동사가 사용된 경우만 사동으로 다룸. “담-obj 밀다 무너지다” (담을 밀어 무너지게 했다) : 이와 같은 경우는 사동이 아니라 serial verb construction으로 다룰 것.
  • 중국어학계의 겸어문(두 술어가 연결되면서 목적어와 주어가 일치), 연동문(두 술어의 주어가 일치) 등은 serial verb construction로 다룸.
2016/12/10 20:18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direct
  • inverse

북아메리카 언어에 많음.

2016/12/10 20:18

val_pass : 피동 (passive)

  • 피동 표지
  • 동작주의 실현 방식
  • 특수 피동
    • 비인칭 피동
    • 타동 피동
    • 피해 피동
2016/12/10 20:18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 동사에 붙는 verbal reciprocal clitic/affix
2016/12/10 20:18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 동사에 붙는 verbal reflexive clitic/affix
2016/12/10 20:18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2016/12/10 20:18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2016/04/05 09:04

tame_aspect : 상 (aspect)

  • 관점상
    • perfective(유표) 대 imperfective(무표)
    • performative/factative/completive(무표) 대 incompletive/progressive(유표)
    • 담화 기능: 전경 대 배경
  • 국면상
    • inchoative/inceptive
    • progressive, continuous
    • perfect
    • resultative
  • 양화상
    • 잠시상
    • 반복상
    • 빈번상
    • 습관상
2016/06/16 13:11

tame_evid : 증거성 (evidentiality)

  • 지각
    • 시각
    • 청각
    • 기타
  • 내성(introspection)
  • 전문(hearsay)
  • 추리(reasoning): 머리 속에 가지고 있는 전제
  • 추론(inference): 지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결론

티벳어족의 경우 증거성이 발달했음. 그러나 참고문헌에 이러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을 수 있음.

2016/12/10 20:18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2016/12/10 20:18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인식양태
    • 가능성
    • 필연성
    • 개연성/추측
  • 당위양태
    • 의무
    • 허락
  • 동적양태
    • 바람
    • 능력
  • 양태표지의 다의양상
2016/12/10 20:18

tame_tense : 시제 (tense)

  • 절대시제
  • 상대시제
2016/12/10 20:18

51_neg : 부정 (negation)

2016/12/10 20:18

52_poss : 소유 (possession)

2016/12/10 20:18

poss_adnom : 관형 소유 구성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adnominal possession)

  • head marking 대 dependent marking 대 double marking 대 neutral marking
  • 누구의 무엇을 명사구 내에서 표현하는 방법. 예) 나의 책.
  • 명사 형태론 등에서 관련 내용이 있을 수 있음. 소유에 관련된 내용을 여기에 모아서 기술.
2016/12/10 20:18

poss_pred : 술어 소유 구성 (predicative possessive construction, predicative possession)

  • have possessive
  • locative possessive
  • with possessive
  • topic possessive
  • adnominal possessive

누가 무엇을 가지고 있다는 표현을 절 구조 내에서 표현하는 방법. 예) 나는 책이 있다.

2016/12/10 20:18

53_comp : 비교 (comparison)

비교 구문의 표준적인 예

비교 및 최상급 구성에서 형용사는 비교 표지와 결합할 수도 있지만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비교의 표준 형태는 탈격이다. 어순은 엄격하게 지켜지는데 탈격 명사구가 형용사 또는 부사 앞에 나타난다.

nene1249 Nikolaeva2014:174
tʹuku°pəni°taki°pəne-xəd°səwa
thiscoatthatcoat-ABLgood
이 외투 저 외투보다 좋다.
비교 구문이 비교 대상을 수식할 때 어순
nene1249 Nikolaeva2014:174
nʹad°nʹipʹircʹanʹenecʹ°to
ABL.1SGtallpersoncome
나보다 큰 사람이 왔다
2016/06/16 13:11

62_subr : 내포 (embedding, subordination)

2016/06/16 13:11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 시간절
    • 계기
    • 동시
  • 이유/원인절
  • 목적절
    • 이동 목적절
  • 조건절
    • 반사실적 조건절
  • 양보절
    • 양보적 조건절

지침:

  • converb 등은 부사절에서
2016/06/16 13:11

subr_nmlz : 명사화 (nominalization) / 명사절 (nominalized clause)

2016/12/10 20:18

subr_quot : 인용절 (quotative clause)

  • 직접인용
  • 간접인용
  • 기타
2016/12/10 20:18

subr_rel : 관계화 (relativization) / 관계절 (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 공백 방책
        • 부치사의 처리 방식
      • 재현대명사 방책
      • 관계대명사 방책
    •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
  • 관계화 제약
    • 관계절 내 문법역할의 제약
    • 주절 내 문법역할의 제약
  • 제한적-비제한적 구분
2016/12/10 20:18

63_svc : 연동 구문 (serial verb construction)

2016/12/10 20:18

64_control : 통제 구문 (control construction)

2016/12/10 20:18

71_semantics : 의미(semantics)

2016/06/16 13:11

72_pragmatics : 화용 (pragmatics)

2016/12/10 20:18

81_voca : 어휘 체계 (lexis, lexicon, vocabulary)

2016/06/16 13:11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2016/12/10 20:18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2016/12/10 20:18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2016/12/10 20:18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2016/12/10 20:18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2016/12/10 20:18

A1_text : 텍스트 (text)

외부 링크

2016/04/05 09:04

B_biblio : 참고문헌 (reference, bibliography)

2016/04/05 09:04
doc/nenets/nenets.148137259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10 21:23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