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말에 출판된 최초의 네네츠어 책은 러시아어 키릴 문자 중 일부 몇 글자를 제외하고 사용하여 작성되었다.
1931년 라틴 문자에 기반을 둔 네네츠어 문자가 만들어졌으며 교과서, 신문, 문학 작품 등에서 쓰이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장모음을 모음 글자 위에 선을 그어 표시하고 연자음을 자음 글자 뒤에 쉼표로 표시하였다. 나중에는 연자음을 표시하는 쉼표의 위치를 자음 글자 아래로 바꾸었으며 장모음 표시는 사용을 중단하였다.
1937년 소련의 다른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네네츠어 문자는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러시아어 문자에 нг과 ʼ 기호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1950년대 말에 нг을 ӈ로 바꾸었으며 ʼʼ 기호를 도입하였다.
현대 네네츠어에서 사용하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Л л М м Н н Ӈ ӈ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Ш ш Щ щ Ъ ъ Ы ы Ь ь Э э Ю ю Я я ʼ ʼʼ
논문과 문법서 등에서 네네츠어의 용례를 라틴 문자 기반으로 전사하여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Nikolaeva(2014)의 표기와 네네츠어 공식 문자의 대응 관계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Nenets IPA TXS Nikolaeva2014 и i i ʹi, i, ī, ə, ° ы i, ə, ° 확인필요(reduction?) э e e ǣ,e э' ə @ ə 확인필요 а a a a, ə, ° у u u u,ū,ə,° о o o o, ə, ° п p p p пь pʲ p' p' т t t t ть tʲ t' t' к k k k ' ɧ x\ h 확인필요(?voiceless palatal-velar fricative) '' ɦ h\ q 확인필요(?voiced glottal fricative) б b b b/p бь bʲ b' b' д d d d/t дь dʲ d' d' г g g g м m m m мь mʲ m' m' н n n n нь nʲ n' n' ng ŋ N ŋ с s s s сь sʲ s' s' х h h x в β B w й j j y ц c c c ць cʲ c' c' л l l l ль lʲ l' l р r r r рь rʲ r' r е ye, ʹe ё yo, 'o ь ' ю yu, yū я ya, yə, y°
(Tereshchenko1963) 네네츠어의 모음은 7개이다.
front | central | back |
и /i/ | ы | у /u/ |
э /e/ | ||
з | ||
а /a/ |
(Nikolaeva2014:17) 네네츠어의 모음은 10개이다.
고저 | 전후 | 원순 | 음소 |
high | front | unrounded | /ī/ (long), /i/ (short) |
high | back | rounded | /ū/ (long), /u/ (short) |
mid | front | unrounded | /e/ |
mid | back | rounded | /o/ |
low | front | unrounded | /æ/ (long), /а/ (short), /ə/ (over-short), /°/ (reduced) |
쌍수는 핵심 문법격인 주격, 대격, 속격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비소유형에서 쌍수 표지는 -x°h로 주격, 대격, 속격에서 동일하다. 소유형에서는 -xəyu- 접미사가 붙고 뒤이어 소유 접미사가 결합한다.
(Nikolaeva2014:57)
-DU | -DU-1SG | -DU-2SG | |
NOM | ŋəno-x°h | ŋəno-xəyu-n° | ŋəno-xəyu-d° |
ACC | ŋəno-x°h | ŋəno-xəyu-n° | ŋəno-xəyu-d° |
GEN | ŋəno-x°h | ŋəno-xəyu-n° | ŋəno-xəyu-t° |
쌍수는 두 개의 개체를 지칭한다. 쌍수의 사용은 제한되어 있는데 한정성 또는 담화 상의 주어진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이미 맥락 상 주어진 대상의 경우에는 쌍수로 지칭이 되나 짝을 이루는 개체가 새로 담화에 등장할 때에는 단수형 명사를 sʹidʹa '둘'이 수식하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Nikolaev2014:59) ŋəno ‘boat’의 복수형의 어형 변화
-PL | PL-1SG | |
NOM | ŋəno-q | ŋənu-n° |
ACC | ŋənu | ŋənu-n° |
GEN | ŋəno-q | ŋənu-qn° |
DAT | ŋəno-x°q | ŋəno-x°q-n° |
LOC | ŋəno-xəqna | ŋəno-xəqna-n° |
ABL | ŋəno-xət° | ŋəno-xətə-n° |
PROL | ŋənu-qməna | ŋənu-qməna-n° |
복수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셀 수 있는 개체를 지칭한다. 네네츠어에서는 다른 우랄제어와는 달리 쌍을 이루는 개체를 복수로 지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쌍을 이루는 신체의 부분을 복수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네츠어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명사의 복수형을 사용할 수 있다. 셀 수 없는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하여 그 양이 많거나 다른 종류의 물질임을 표현하기도 한다.
툰드라 네네츠어에는 다음과 같이 7가지 격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는 문법적인 격인 주격, 속격, 대격과 장소격인 여격, 처격, 탈격, prolative격을 구분한다. 문법적인 격은 단수, 쌍수, 복수와 모두 결합하는 데에 비해 장소격은 단수와 복수에서만 나타난다.
명사의 쌍수 처격의 의미는 쌍수 형태 명사와 후치사(주로 nja)와 결합으로 나타난다.
texe nja 'to two deers'
texe' njana 'at two deers'
texe' njad 'from two deers'
texe' njamna 'by two deers'
복수 대격은 다른 격과는 달리 접사를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간을 변화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NOM | ACC |
ja 'earth' | jo 'earth (PL.ACC)' |
jabto 'goose' | jabtu 'goose (PL.ACC)' |
xan | xano |
xoba | xobi |
I class | II-1 subclass | II-2 subclass | |
NOM | |||
GEN | -' | -' | -' |
ACC | -м' | -м' | -м' |
DAT | -н' | -д' | -т' |
LOC | -х=на | -гана | -кана |
ABL | -х=д | -гад | -кад |
PROL | -вна, -вана | -мна, -мана | -мна, -мана |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I class | II-1 subclass | II-2 subclass | |
NOM | -“ | -” | -“ |
GEN | Acc. + ” | Acc. + “ | Acc. + ” |
ACC | |||
DAT | -х=“ | -га(а)” | -ка“ |
LOC | -х=“на | -га”на | -ка”на |
ABL | -х=т | -гат | -кат |
PROL | Gen. + мана | Gen. + мана | Gen. + мана |
- 표에서 =기호는 앞의 어간의 마지막 모음과 동일한 것이 나타남을 뜻한다.
주격은 형태론적으로 무표적이다.
주격은 명령문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어휘적인 명사일 경우에는 주격 또는 대격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명령문의 대명사 목적어는 항상 주격으로 사용된다. 명령문이 아닌 경우에도 목적어가 주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논의도 있다.
yerw°-nta | tʹorə-n°h | wenʹako | ŋǣ-da | məd°rŋa |
master-GEN.3SG | scream-DAT | dog | leg-PL.ACC.3SG | hold |
toxocʹa-m | sʹida | ya-n°h | məda-da |
fabric.DIM-ACC | two | place-DAT | cut-3SG>SG.OBJ |
tʹiki° | ya-x°na | pʹa-q | ŋəmted°-q | səwa-w°na | wadʹurŋa-q |
this | place-LOC | tree-PL | grass-PL | good-PROL | grow-3PL |
te-x°qna | tənʹah | yerʹemyita | yəŋku |
reindeer-PL.LOC | to.there | possibility.of.getting.3SG | no |
sə-ta | mʹercʹa-xəna | yamp°-qya | xo-q | xər°-toh | wiyebti-q |
strong-IMPF.PTCP | wind-LOC | tall-AUG | birch-PL | REFL-3PL | bend-3PL |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가 처격으로 동반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wenʹako | sə-ta | tʹecʹ°-da-xəd° | wədʹely°-q |
dog | strong-IMPF.PTCP | cold-IMPF.PTCP-ABL | bend-REFL.3SG |
tʹuku° | xər° | xurka | yesʹa-xəd° | sʹerta-wi°? |
this | knife | which | metal-ABL | do-PERF.PTCP |
mənc°ya-waq | sʹenʹey°xəd°nta | səŋkowo-rŋa |
work-1PL | before.ABL | difficult-FREQ |
nʹo-h | sʹī-w°nʹa | puxacʹa | weqləmy°-q |
door-GEN | hole-PROL | old.woman | look.out-REFL.3SG |
sʹaq-m°na-nta | nʹa-x°təta | səwa |
face-PROL-3SG | companion-PL.ABL.3SG | good |
Nebjav | mjakananda | jangu | '나의 | 어머니는 | 집에 | 없다.' | ||
- | Nebjan | manzajada | sats | noka | '나의 | 어머니는 | 일이 | 많다.' |
2인칭 단수 소유 어미는 이전 담화에서 도입된 지시 대상에 붙어서 그 대상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음을 강조하고 청자에게 감정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담화 내 지시 기능이 일차적인 기능이므로 처음 등장하는 지시 대상에는 사용할 수 없다.
puxacʹa-ko | yilʹe-wi°. | puxacʹa-ko-nt° | sʹidʹa | səwa | nʹu-da |
old.woman-DIM | live-INFR | old.woman-DIM-GEN.2SG | two | good | child-3SG |
인칭 소유 어미는 부분사(partitive)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ŋob-mʹih(one-1DU)는 우리 둘 중의 하나라는 의미가 된다.
Wera-h | te-xət° | ŋarka-doh | səwa |
Wera-GEN | reindeer-PL.ABL | big-3PL | good |
담화 상에서 관련이 있는 대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소유의 의미와는 무관하다. 다음 예에서 '늑대'에 결합한 3인칭 단수 소유 표지는 '그 개의 늑대'라는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그 개와 싸우고 있는 늑대'라는 점에서 그 개와의 연관성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wari° | nix°-mta | me-cʹ° | wenʹako | ŋanʹih | sarmʹikə-x°nta | səney°-q |
last | strength-ACC.3SG | use-MOD | dog | more | wolf-DAT.3SG | attack-REFL.3SG |
predestinative는 TAM과 같은 범주를 표현한다. 소유 관계에 있어 미래시제 또는 비현실서법(irrealis modality)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predestinative 형태는 소유 어미 앞에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이다. predestinative형 명사는 소유구의 핵으로 기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Nikolaeva2014:72)
-1SG | -2SG | -3SG | 어휘적 소유자 | |
NOM | ŋəno-də-mʹi | ŋəno-də-r° | ŋəno-də-da | ŋəno-d°/ŋəno-də-da |
ACC | ŋəno-də-mʹi | ŋəno-də-mt° | ŋəno-də-mta | ŋəno-d°/ŋəno-də-da |
GEN | ŋəno-də-n° | ŋəno-də-nt° | ŋəno-də-nta |
주격형은 주로 등장을 나타내는 자동사와 같은 특정한 부류의 동사의 주어를 나타낼 수 있다.
네네츠어에서 명령문의 어휘 목적어는 주격으로 나타나며 주격 predestinative로 나타날 수도 있다.
ŋəmke-xəwa | pad°r-tə-mʹi | ta°-daq |
what-AFF | paper-PREDES-1SG | bring-IMP.2PL |
대격 predestinative는 모든 타동사와 자유롭게 사용될 수 없다. 생성을 의미하는 동사의 목적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 이동의 지향점과 predestinative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redestinative가 이동의 지향점을 의미하지는 않다. 이동의 방향은 여격으로 표현되며 predestinative는 이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Maša‐n°h | kniga‐də‐mt° | mʹiŋa‐d°m |
Masha‐DAT | book‐PREDES‐ACC.2SG | give‐1SG |
엄격한 의미의 생성은 아니더라도 predestinative가 지칭하는 대상에게 새로운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tʹuku° | wenʹako | mənʹaq | wenʹako‐d°‐naq | xəya |
this | dog | we | dog‐PREDES‐GEN.1PL | go |
tʹuku° | pad°r | xayobcʹən-tə-n° | ta-d° |
this | book | memory-PREDES-GEN.1SG | give-IMP.2SG>SG.OBJ |
(Nikolaeva2014:78) mənc°ra- ‘일하다’ 동사의 활용예
SG | DU | PL | |
1 | mənc°raə-d°m | mənc°ra°-n′ih | mənc°ra°-waq |
2 | mənc°raə-n° | mənc°ra°-d′ih | mənc°ra°-daq |
3 | mənc°ra° | mənc°raə-x°h | mənc°ra°-q |
(Nikolaeva2014:79) te- ‘흐르다’ 동사의 활용예
SG | DU | PL | |
1 | teyə-w°q | tey°-nʹih | tey°-naq |
2 | teyə-n° | tey°-dʹih | tey°-daq |
3 | tey°-q | teyə-x°h | teyə-d°q |
목적어 일치는 목적어의 수를 표시하고 인칭은 표시하지 않는다. 목적어 일치 접사는 주격에서 단수 및 복수 소유 접사와 대개 동일하다. 명사의 소유 표지의 경우에는 명사의 어간에 결합되나 동사의 목적어 일치 표지는 정형 어간(finite stem)에 결합한다는 차이가 있다.
(Nikolaeva2014:79) me- ‘하다’
SG | DU | PL | |
1 | meə-w° | me°-m′ih | me°-waq |
2 | meə-r° | me°-r′ih | me°-daq |
3 | me°-da | me°-d′ih | me°-doh |
(Nikolaeva2014:79) me- ‘하다’
SG | DU | PL | |
1 | meŋa-xəyu-n° | meŋa-xəyu-n′ih | meŋa-xəyu-naq |
2 | meŋa-xəyu-d° | meŋa-xəyu-d′ih | meŋa-xəyu-daq |
3 | meŋa-xəyu-da | meŋa-xəyu-d′ih | meŋa-xəyu-doh |
(Nikolaeva2014:80) me- ‘하다’
SG | DU | PL | |
1 | me-yə-n° | me-y°-n′ih | me-y°-naq |
2 | me-yə-d° | me-y°-d′ih | me-y°-daq |
3 | me-y°-da | me-y°-d′ih | me-y°-doh |
(Nikolaeva2014:68) xada- ‘죽이다’와 te- ‘흐르다’의 명령법 활용의 예
SG.OBJ | DU.OBJ | PL.OBJ | REFL | ||
2SG | xada-q | xada-d° | xada-xəyu-n°q | xada-n°q | te-d°q |
2DU | xadaə-dʹih | xadaə-rʹih | xadaŋa-xəyu-dʹih | xadaə-y°-dʹih | tey°-dʹih |
2PL | xadaə-daq | xadaə-raq | xadaŋa-xəyu-daq | xadaə-y°-daq | tey°-daq |
- 미래시제는 동사어간에 접미사 -н.го, -д(а), -т(а)를 붙여서 만든다.
표. 직설법 동사의 인칭접사
- 미정시제, 과거시제는 어간 хая
에서표. 직설법. 동사활용의 예
표.
рт (-гарт, -карт)를 동사어간과 명령법 인칭형 사이에 넣으면 명령이 아니라 부탁이나 원망(희망)을 표현한다.
- 청유법: 접미사 -х
(-га, -ка)
표.
분사에는 4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미완료 분사, 완료 분사, 미래 분사, 부정 분사로 구분된다.
추가 설명:
(Nikolaeva2014:107) xada- '죽이다' 동사의 분사형
일부 분사는 명사화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목적어를 가지지 못하고 소유자의 형태로 결합한다.
mənʹ° | Wera-h | nʹada-ŋko-da-d°m |
I | Wera-GEN | help-IMPF-IMPF.PART-1SG |
네네츠어의 부동사는 역사적으로는 동사에서 파생한 명사의 굳어진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격 어미를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행위 명사류(action nominals)와는 다르다.
- 부동사 조건형. 접미사 -б’’ / -п’’
- 상의 의미도 접미사로 표현된다.
다음 형용사들은 의미적으로는 양화사나 한정사와 유사하나 피수식 명사에 복수나 쌍수 표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유사하다. 명사구 내 어순에 있어서도 한정사와는 다르며 형용사처럼 행동한다.
감탄사는 주로 감탄 또는 감탄의 일부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전형적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표현하며 통사적으로 다른 동반 표현과 관계를 맺지 않는다. 해당 언어에 발견되지 않는 음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 영어의 psst, ugh, excellent, well
참고: http://www-01.sil.org/linguistics/GlossaryOfLinguisticTerms/WhatIsAnInterjection.htm
jv, sidndet (8은 two eight), xasuju
(9는 10에서), ju'' (10)양사 아래 중국 지역은 내용이 자세함. 문서를 어떻게 분할할지 중국팀에서 논의.
참조
- 3인칭 대명사를 비롯한 모든 인칭대명사는 불활동체를 가리킬 수 없다.
네네츠어에는 전형적인 관사(article)은 존재하지 않으며 한정성은 소유 어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한정사로 파악될 수 있는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맥락에 따라 같은 단어가 후치사로도, 부사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참조
독립적인 단어로, 또는 독립어에 붙여서 접미소사의 형태로 사용된다.
핵심 주제: 단순절의 핵심 논항들을 어떻게 구별하는가?
절의 내부 구조. 주어나 목적어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중국어는 어순, 한국어는 조사, 코카서스제어는 명사에 표지가 없지만 동사에 붙은 표지를 보고 안다. 논항에 표지를 붙이는 것을 플래깅, 술어에 표지를 붙이는 것을 인덱싱. 어순, 플래깅, 인덱싱. 이것이 해당 언어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핵심이다.
논항의 문법역할 표시 대표적인 3가지 방법:
자동사의 논항 S, 타동사의 논항 A(gent), P(atient). 이 세가지가 어떻게 취급되는가를 정렬(줄서기)이라고 한다.
정렬(alignment):
어떤 언어는 인덱싱에서는 절대격/능격 정렬, 플래깅에서는 주격/대격 정렬을 하는 언어도 있음.
기술 예: 아창어
네네츠어의 명사구는 핵이 가장 뒤에 위치한다. 부가적인 요소에는 한정사, 소유주, 비소유 명사 부가어, 성질 형용사, 양화사가 있다.
소유주가 있을 때 형용사는 소유주와 명사 사이에 위치하지만 한정사는 소유주 앞에 위치한다.
대명사 소유주는 소유 인칭 어미와 일치하며 대개의 경우 대명사는 사용되지 않는다. 소유 인칭 어미가 소유주의 인칭과 수를 표시한다. 다음 예에서 1인칭 쌍수 대명사 mənʹih는 필수적이지 않다.
소유주아 어휘 명사일 때에는 소유 인칭 어미가 필수적이지 않다. 다음에서 ti '사슴'에는 소유 인칭 어미가 결합하지 않았다.
어휘 명사에 소유 인칭 어미가 결합하여 te-da '그의 사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소유주에 해당하는 어휘 명사의 통사적 위치가 다름을 다음 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edestinative 소유 구성은 일반 소유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성질, 수,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 수사, 동사의 굴절형 등이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수식어와 명사의 수의 일치 표시는 부가적이다. 일부 화자는 의미적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수식어에 복수 표지가 붙었을 때는 개별적인 특성이고 복수 표지가 붙지 않았을 때는 집단적 특성이라는 것이다.
복수 명사를 수식할 때 수식어에 붙는 복수 일치 표지는 일종의 한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복수 일치 표지가 없을 때에는 총칭적 해석을 가진다.
mūno-ta-q | noxa-q |
make.noise-IMPF.PART-PL | polar.fox-PL |
양화 형용사들은 의미적으로는 양화사나 한정사와 유사하나 복수나 쌍수 표지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용사와 유사하다. 어순에 있어서 한정사와는 다르며 형용사처럼 행동한다. 소유주 명사가 있을 때 소유주 뒤 피수식 명사 앞에 결합한다.
양화사들은 일반적으로 핵의 앞에 위치하나 일부 일반양화사들은 명사구 주변에서 유동 현상을 보인다.
일반양화사 mal°h는 '모두' 또는 '온'의 의미를 가진다. '모두'의 의미로 사용될 때 피수식 명사에 복수형 표지가 붙는다.
mal°h | wenʹaku | xade-yǝ-n° |
all | dog.PL.ACC | kill-PL.OBJ-1SG |
일반양화사 mal°h은 명사구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nʹīnaq | mal°h | mǝlʹe° | mǝq°leyǝ-d°q |
companion.PL.1PL | all | already | collect-REFL.3PL |
tʹedah | mǝnʹaq | mʹaq-naq | tʹer°-q | xada-naq | xaw°na | mal°h | toxodǝnǝ°-q |
now | we | tent-GEN.1PL | content-PL | grandmother-GEN.1PL | except | all | study-3PL |
동사절과 시제 형식이 다를 수 있음. 시제의 개수가 더 적다든지. 주어와 일치 문제.
A는 B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절. 이런 문장은 동사가 사용되는 절과는 상당히 다를 수 있음. 예를 들어, 시제가 수의적이라든지. 계사를 쓰는데 동사처럼 형태론을 가지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고. 생략이 잘 되는 경우도 있고. A가 어떤 격, B가 어떤 격 등이 언어마다 다름. 계사가 2가지가 있는데 쓰이는 상황이 다르다든지.
지침:
명령문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문법표지, 통사 구조 등을 설명.
기본적으로는 인칭에 따른 실현 방식의 차이가 중요. 다음 인칭에 유의하여 기술.
의미적인 차이를 구별하는지도 주요한 문제. 다음과 같은 의미들을 다른 방식으로 실현하는 언어도 있음.
각 의문문의 유형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설명하고 예시.
논항이 아닌 것, 사격 성분을 동사의 목적어로 승격시키고 동사에 표지를 붙이기도 함.
지침:
북아메리카 언어에 많음.
티벳어족의 경우 증거성이 발달했음. 그러나 참고문헌에 이러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을 수 있음.
누가 무엇을 가지고 있다는 표현을 절 구조 내에서 표현하는 방법. 예) 나는 책이 있다.
비교 및 최상급 구성에서 형용사는 비교 표지와 결합할 수도 있지만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비교의 표준 형태는 탈격이다. 어순은 엄격하게 지켜지는데 탈격 명사구가 형용사 또는 부사 앞에 나타난다.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