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이중모음 음운 ( ia, ua )이 존재하며 빠른 발화 등에서 (핵모음 앞의) 활음이 탈락하기도 한다.
Helimski는 이중모음과 장모음을 모음열(vocalic sequence)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
또한 i, ü, u, a, ia, (그리고 고모음 다음에서만 가능한) ə가 이중모음의 두 번째(하향) 자리에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축약은 - 통상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약화모음인 ə는 이중모음의 첫번째 모음에 의해 중간높이의 모음으로 동화되기도 하며 이에서 더 나아가 중간높이의 장모음으로 축약되기도 한다.
예) sʲiə sʲie ~ sʲee ‘구멍’; hüə hʲüö~ hʲöö ‘year’
doc/nganasan/1_phonology/12_vowel/12_vowe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