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ganasan:2_wordclass:23_verb:23_verb

23_verb : 동사 (verb)

응가나산어에서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에 따라 활용형태가 나타난다.

활용부류 (conjugation class)

  • 5 가지의 활용부류가 있다: 1) 주체적 (subjective), 2) 단수 객체적 (objective with singular object), 3) 쌍수 객체적 (objective with dual object), 4) 복수 객체적 (objective with plural object), 5) 무객체적 (objectless) 혹은 재귀적 활용
  • 타동사 구문: 만약 목적어가 비한정적이라면 주체적 활용, 재귀적이면 무객체적/재귀적 활용, 하지만 한정적 의미의 목적어가 있다면 객체의 수에 따라 단수/쌍수 혹은 복수 객체적 활용을 할 수 있다.
  • 자동사 구문: 무객체적 또는 주체적 활용을 취하는 동사군(재귀적, 상호적, 피동 동사와 다수의 기동동사 및 완료동사가 이에 속함)과 오직 주체적 활용만 하는 동사 군으로 나뉜다.
  • 동사 활용은 주어의 3가지 인칭과 3가지 수에 따라 이루어진다. 주체적 활용에서 동사 활용 인칭어미는 명사 서술사 패러다임과 유사하며 객체적 활용에서는 명사의 소유격 어미와 비슷하다. 명령문에 사용되는 인칭 어말어미는 다른 태에서 사용되는 어미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복수 객체적 및 무객체적 활용의 어말어미를 직접 선행하는 서법 및 시제 어미는 어간 3/S3 유형(15 참조)에서와 비슷한 형태음운적 변화를 겪는다. - 동사 인칭 어말어미

1 어간 2(S2)에 직접 결합 2 어간 1(S1)에 직접 결합 3 어간 3(S3)에 직접 결합 4 동사 어간에 직접 결합: 통상적으로 어간 1, 그러나 자음 어간 1을 가진 몇몇 동사의 경우 어간 2나 어간 3에 결합됨. 다른 형태들에서 이 인칭 어미들은 서법 및 시제 어미 뒤에 결합된다.

정형성 (finiteness):

  • 정형동사: 어간 타입, 수, 인칭, 서법/시제에 따라 곡용한다.
  • 비정형 형태

a. 동사파생 명사, 동사파생 형용사, 동사파생 부사, connegative: 대부분의 동사파생 비정형 범주들은 행위주를 지칭하는 소유격 어미를 취한다. 동사파생 명사는 또한 격어미를, 분사는 수, 격어미를 취한다. Connegative 형태는 부정 동사 nji-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조동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 njisïə kuəʔ ‘그/녀는 죽지 않았다.’ cf. kuədjüə ‘그/녀는 죽었다.’
b. 부동사(converb): 2가지의 부동사가 있음. 비한정(-sa/-dja); 조건적(-bü/-hü)

c. 분사(participle): 5가지의 분사가 있음. 진행분사 (어미 -to/-tuo/-tjo/-tjüо); 완료분사(-dje, 과거시제 형태소에 부가); 완료되어야 하는 행위 분사(-suδə/-sutə); 결격분사(-metumaja/-məzumaja, 미완료 행위); 피동분사(-mə, 타동사로부터만 파생). d. 동사상 명사(Supine): 행위의 목적 표현(-nagə/-nakə)

doc/nganasan/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6:26 저자 안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