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usu: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100% :

  • 누수어는 구어 발화에서 음운 변화가 많이 일어나다. 음운변화 중, 조건에 지어진 변화도 있고, 자유로운 변화도 있다.

(1) 모음 동화

  • 사용빈도가 굉장히 높은 어미 ɑ⁵⁵와 조사 ɑ³¹는 실제 발화에서 앞 음절 운모의 영향을 받아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난다.

    예: tɕɯ⁵³+ɑ⁵⁵ → tɕɯ⁵³ɑ³⁵ '인색하다'

(2) 모음 탈락

  • 고모음 i, u는 일부 비음 뒤에 나타날 때 실제 발화에서 종종 탈락된다.
  • 이러한 탈락은 다음절 단어의 첫 음절, 단어의 중간, 마지막 음절에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예: ŋu³⁵ɹi³⁵ɑ⁵⁵ →ŋ³⁵ɹi³⁵ɑ⁵⁵ '큰 산'

(3) 전모음화, 고모음화

  • 일부 u를 개음 혹은 주요 모음으로 삼는 음절 뒤에 파생 요소 혹은 굴절 요소 ɑ⁵⁵(ɑ³¹), ɡɑ³¹를가 붙을 때, u가 y로 변한다.

    예: tʰue⁵³+ɑ⁵⁵ → thyi⁵³+ɑ³¹ '조각하다'

(4) 자유 변독(變讀)

  • 흔히 볼 수 있는 자유 변독(變讀)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일부 단어 중 ɑ와 u, u와 ɔ, 그리고 ɑ와ɔ가 자유롭게 변조할 수 있다.

예: tʰu³⁵ ↔ tʰɑ³⁵ : 밑

일부 비음화 모음이 비-비음화 모음과 자유롭게 변독(變讀)할 수 있다.
  • 이러한 변독은 주로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에서 나타나고 고유어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예: tʂʰue(~)³¹ mɔ(~)⁵⁵ ↔ tʂʰue(~)³¹mɔ⁵⁵: 구름

반모음 ɹ가 고모음 i와 결합할 때 ɹ는 탈락될 수 있다.

예: ɹi³¹ɡɹɑ⁵³ ↔ i³¹ɡɹɑ⁵³: 물

doc/nusu/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4:44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