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nusu:4_ss:41_cl:41_cl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41_cl : 절(clause) : 100% :

  • 누수어의 절은 크게 대등절, 종속절, 복합절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절과 절 사이에 접속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1)대등절:

-선행절과 후행절이 대조, 선택, 배경, 시간적 선후, 동시의 관계에 놓이면 둘이 대등절이다.

  • 누수어의 대등절 사이에 조사, 접속사, 조사+접속사의 결합이 쓰이는 경우가 있고, 쓰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조사 등은 선행절의 문말에 위치하고, 동사 뒤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조사 ɑ³¹는 동사 혹은 형용사 뒤에 붙어 그들을 문장 술어가 되게 한다. ɑ³¹가 붙은 술어는 객관적 진술이라는 점만 나타내고 시제나 상 정보를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접속사 bɑ³⁵는 선행절의 동작이 일어난 후 후행절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낸다.

(2)종속절:

  • 원인, 조건, 양보, 목적 등을 나타내는 선행절은 보통 종속절이다.
  • 두 절이 인과 관계인 경우 접속사 bɑ³¹dɔ̃³⁵le³¹가 쓰인다.
  • 선행절이 후행절의 조건인 경우 접속사 bɑ⁵³ɑ³¹nɯ³¹가 쓰인다.
  • 선행절이 양보적 조건인 경우, 접속사 bɑ⁵⁵li³⁵ 혹은 ɣɯ³⁵가 쓰인다.
  • 선행절이 후행절의 목적인 경우, 접속사 kʰue³⁵m̩⁵⁵가 쓰인다.
nusu1239 sunhongkai1986:108
vɑ⁵⁵zɑ³¹bɑ³¹dɔ̃³⁵le³¹,ŋɑ³⁵dɯ³¹ɑ⁵⁵ȵi³¹dʐə̃ɹ³⁵do³⁵mɑ⁵⁵ie³⁵dʑɑ³¹.
snowcomedown,CONJ1PLtodaystreetLATNEGgoPROG
눈이 오기 때문에 오늘은 길거리에 가지 않는다.
doc/nusu/4_ss/41_cl/41_cl.148861552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3/04 17:18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