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nusu:4_ss:44_stype:44_stype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 100% :

(1)서술문

-sɑ⁵⁵, hɑ⁵⁵, lɑ⁵⁵, le³¹는 모두 서술문 문말에 쓰이는 어기 조사이다.

(2)의문문

- 누수어의 의문문은 크게 네 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 의문 대명사가 사용하는 의문문
  • 의문 대명사와 의문 조사가 함께 쓰이는 의문문
  • 부정소와 의문 조사가 함께 쓰이는 의문문
  • 두 사물이나 동작을 열거하고 문말에 의문 조사가 쓰이는 의문문

(3)청유문

누수어의 청유문에 청유를 나타내는 조사 nɤ³¹ 혹은 pɹɑ⁵⁵가 쓰인다

(4)명령문

누수어의 명령문은 다음과 같은 조사를 토해서 나타난다.

1) 조사 e³¹와 o⁵⁵

조사 e³¹와 o⁵⁵는 모두 청유, 명령을 나타낸다. 조사 o⁵⁵가 조사 e³¹보다 더 세고 절박하다.

nusu1239 sunhongkai1986:60
kʰɹɑ³⁵pʰɹɔ̃³⁵ɕi³¹kʰɹɑ⁵³bɑ³¹i³¹ie³⁵o⁵⁵bo⁵⁵!
rodathis양사조사goMOD조사
얼른 이 길로 가거라!

2) 조사 ke³¹와 ko³¹

ke³¹와 ko³¹는 e³¹와 o⁵⁵가 나타내는 의미를 제외하고 행동의 방향을 또한 나타낸다. 즉 상대방이 원래 있는 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3) 조사 nɤ̃³¹와 lo³¹:

nɤ̃³¹와 lo³¹는 모두 1인칭 복수형에게 명령을 내리는 조사이다. 조사 nɤ̃³¹는 부드럽고 상의하는 말투이고 조사 lo³¹는 절박하고 바로 행동 하는 것을 요구하는 말투이다.

4) 조사 li³¹와 lɑ⁵³

청유와 명령이라는 서법의 의미 이외에도 방향성을 띠고 있다. lɑɹ⁵³는 아래로, li³¹는 위로 이동함을 나타낸다.

nusu1239 sunhongkai1986:61
ȵo⁵⁵lɑ³⁵li³⁵!
2SGcomeup
너 올라와!

(5)감탄문

누수어의 감탄문은 감탄사(ɣo³⁵o³¹ 등), 혹은 감탄 조사(ˀɯ̃⁵⁵ 등)를 통해서 나타난다.

(6)추측문

누수어의 추측문은 문말에 확인(vi⁵⁵ 등) 혹은 추축(( mɑ⁵⁵ 등)을 나타내는 조사를 붙는 식으로 표현된다.

(7)판정문

누수어의 판정문에 계사 uɑɹ53, ˀne⁵³ 그리고 tɑ³¹가 쓰인다. 계사는 생략될 수 있다.

doc/nusu/4_ss/44_stype/44_styp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