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치어 자음에는 장단 구분이 있다. 장자음으로 쓰이는 자음을 따로 셀 경우 27개(Avrorin&Boldyrev2001:24), 장단 구분을 제외하면 19개(Girfanova2001:383)의 자음 음소가 있다. 장자음으로 쓰이는 음을 구분하기 위해 아래 표에는 장자음을 자음을 두 번 연달아 적는 Avrorin&Boldyrev(2001:24)의 자음음소 구분을 중심으로 표기하였다.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ipa |
|---|---|---|---|
| bilabial | stop | п, пп, б, бб | p, p:, b, b: |
| labio-dental | fricative | в | v |
| bilabial | nasal | м, мм | m, m: |
| alveolar | stop | т, д | t, d |
| alveolar | fricative | с | s |
| alveolar | nasal | н, нн | n, n: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л | l |
| alveolar | trill | р | r |
| palatal | fricative approximant | й | j |
| palatal | sibilant affricate | ч, чч, ǯ | ʨ, ʨ:, ʥ |
| palatal | nasal | нʹ | ɲ |
| velar | stop | к, кк, г, гг | k, k:, g, g: |
| velar | fricative | х, ɣ | x, ɣ |
| velar | nasal | ӈ, ӈӈ | ŋ, 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