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oroqen:1_phonology:11_cons:11_cons

11_cons : 자음 (consonant)

자음체계

자음(19개): b, p, ɸ, m, w, d, t, n, l, r, ʤ, ʧ, ʃ, ȵ, j, g, k, x, ŋ

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무성 무기 파열음 b d g
무성 유기 파열음 p t k
무성 무기 파찰음 ʤ
무성 유기 파찰음 ʧ
무성 마찰음 ɸ x h
유성 마찰음 w
비음 m n ȵ ŋ
설측음 l
탄설음 r j ɣ

자음의 특징

  • ɸ, x는 한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초기 한어 차용어에서의 p는 현대 한어의 f에 해당한다. puu伏(天)
  • 유성 파열음과 유성 파찰음이 없다. b, d, g, ʤ와 p, t, k, ʧ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이다.
  • l은 음절말에서 ɚ로 읽는다. kʊgaka(n)-ʃal(아이들) khʊɣaxahaɚ
  • ŋ은 어두에 나타날 수 있다.
  • r은 어두에 올 수 없다.
  • b, p, m, n, l, r, g, k, ŋ, ʃ, j, w 등 자음은 음절말에 올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 19개의 자음 외에 고유어에서는 자음 x, ɣ, h가 있다. 이들이 나타나는 환경은 k, g, ʃ와는 상보적이다.

(1) k/x

어두 자음 뒤 음절말 모음 사이
k + + + -
x - - - +

ŋəəkə(언덕) ŋɐ:xə; nɪmŋakaan(스토리) ȵɪmŋaxa:n

(2) g/ɣ

어두 자음 뒤 음절말 모음 사이
g + + - -
ɣ - - + +

mᴇᴇgan(신장) mjᴇ:ɣan; katagan(소금) khathaɣan; bʊg(수사슴) bʊɣ

(3) ʃ/h

어두 자음 뒤 모음 사이
ʃ + + -
h - - +

aʃɪɪ(아내) ahɪ:; ʧaaʃʊn(종이) ʧa:hʊn

doc/oroqen/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12:11 저자 ka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