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내부 혹은 단어와 문법형태소 간에 모음조화가 일어난다. 아래 표의 왼쪽은 첫음절 모음이고 위쪽은 첫음절 외에 모음이다.
| a | ɪ | ɔ | ʊ | ᴇᴇ | ə | i | o | u | ee | y | |
| a | + | + | - | + | + | - | - | - | - | - | - |
| ɪ | + | + | - | + | + | - | - | - | - | - | - |
| ɔ | + | + | + | + | + | - | - | - | - | - | - |
| ʊ | + | + | - | + | + | - | - | - | - | - | - |
| ᴇᴇ | + | + | - | + | + | - | - | - | - | - | - |
| ə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u | - | - | - | - | - | + | + | + | + | + | - |
| ee | - | - | - | - | - | + | + | - | + | - | - |
| y | - | - | - | - | - | + | + | - | + | + | + |
a계열 모음은 양성모음이고 ə계열 모음은 음성모음이기 때문에 ‘a, ɪ, ɔ, ʊ, ᴇᴇ’와 ‘ə, i, o, u, ee, y’는 같은 단어에서 나타나지 못한다.
| k+w > kp > pk | ʤuuduk(집에서) + wi(재귀소유인칭표지) → ʤuudukwi(ʧuːtuphkhi)(자기 집에서) |
‘모음 + ɣ + 모음’이 장모음으로 융합된다.
| əməgəl(안장) | əməɣəɚ > əmɐːɚ |
| təgəkə(네가 앉아라.) | thəɣəkhəɚ > thəːkhəɚ |
| mɔgɔrɔn(고생하다) | mɔɣɔrɔn > mɔːrɔn |
| bʊgalaa(곳에서) | pʊɣalaː > pɔːlaː |
| nʊganɪn(그 사람) | nʊɣanɪn > nɔːnɪ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