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에는 한정성, 수, 격의 범주가 있다. (클래스나 성 구분은 없다)
오세트어의 강세는 일종의 정관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서, 2음절 강세를 지닌 명사가 한정적 대상을 지칭할 때는 강세가 1음절로 이동한다. 이것은 고대오세트어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좀 더 고대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디고르 방언에는 정관사의 흔적이 남아있다.
1) 어간이 자음군으로 끝나는 경우 2) - ӕг, -ыг로 끝나는 2음절 이상의 어간 뒤
격 | 격 접미사 | 단수 활용 예 | 복수 활용 예 |
---|---|---|---|
주격 | -∅ (단수), -ӕ (복수) | бӕх-∅ 'horse' | бӕх-т-ӕ |
속격 | -ы | бӕх-ы | бӕх-т-ы |
여격 | -ӕн | бӕх-ӕн | бӕх-т-ӕн |
향격 | -мӕ (단수), -ӕм (복수) | бӕх-мӕ | бӕх-т-ӕм |
탈격 | -ӕй, -йӕ (모음 뒤) | бӕх-ӕй | бӕх-т-ӕй |
재내격 | -ы | бӕх-ы | бӕх-т-ы |
지점격 | -ыл, уыл | бӕх-ыл | бӕх-т-ыл |
유사격 | -ау | бӕх-ау | бӕх-т-ау |
공동격 | -имӕ | бӕх-имӕ | бӕх-т-им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