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트어 동사에는 시제 (현재, 미래, 과거)와 서법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범주가 있다. 동사의 원형은 -ын 형태를 지닌다.
1) 어휘적 방식 (서로 다른 어간 사용)
2) 어간의 모음교체 : 강모음은 타동사, 약모음은 자동사
3) 자동사와 타동사 형태가 같은 동사도 있다
(규칙 활용법에 대해서는 48_시제-상-법-증거성 문서를 참조하라)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дӕн | стӕм |
| 2 | дӕ | стут |
| 3 | у, ис, и | сты |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вӕййын | вӕййӕм |
| 2 | вӕййыс | вӕййут |
| 3 | вӕййы | вӕййынц |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уыдтӕн | уыдыстӕм |
| 2 | уыдтӕ | уыдыстут |
| 3 | уыд(ис) | уыдысты |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уыдзынӕн | уыдзыстӕм |
| 2 | уыдзынӕ | уыдзыстут |
| 3 | уыдзӕн(ис) | уыдзысты |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уаин | уаиккам |
| 2 | уаис | уаиккат |
| 3 | уаид | уаиккой |
уын 동사의 조건법 현재시제는 이중모음 аи 형태 (уаин, уаис, уаид…) 와 단모음 и 형태 (уин, уис, уид)가 있는데 의미는 동일하다(Isaev1966:248).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уыдаин | уыдаиккам |
| 2 | уыдаис | уыдаиккат |
| 3 | уыдаид | уыдаиккой |
| 인칭 | 단수 | 복수 |
|---|---|---|
| 1 | уон | уӕм |
| 2 | уай | уат |
| 3 | уа | уой |
| 인칭 | 단수 | 복수 |
|---|---|---|
| 2 | у | ут |
| 3 | уӕд | уӕнт |
| 분사의 시제 | 형태 | 의미 |
|---|---|---|
| 현재-과거시제 | -ӕг | 주로 능동 |
| 과거시제 | -т, -д | 주로 피동 |
| 미래시제 | -инаг | 문맥에 따라 능동이나 피동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