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트어에서 고정된 어순 관련 규칙은 아래와 같다. (이하 어순의 내용은 Abaev 1970:712)
위의 경우를 제외하면 오세트어의 어순은 비교적 자유롭다. 아래는 어순의 법칙이 아닌 경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 Иухатт | зӕронд | Уырызмӕг | нарт-ы | ныхас-ы | иунӕгӕй | дур-ыл | рӕдзӕ-мӕдзӕ | кодта |
| once.ADV | old | Urizmag | Nart-GEN | square-GEN | UNK | stone-ELA | alone-alone | doze.UNK |
| ӕвзонг | хохаг | лӕппу | хъӕлдзӕг-ӕй | ра-уад-∅ | йе | мбӕлтт-ӕм |
| young.ADJ | mountain.ADJ | youth | happiness-ABL | UNK.PFV-run-PST.3SG | POSS.PRON.3SG | comrade-ALL.PL |
그 외에 어순은 뉘앙스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어서, 문장의 logical stress를 가진 단어가 문장의 끝이나 때로는 제일 앞에 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