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pumi: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단모음에서 가장 흔한 음운 변화는 역행동화와 순행동화이다.

(1) 역행동화

두 음절이 결합할 때 앞 음절의 모음이 저모음이고 뒤 음절의 모음이 고모음인 경우, 이어서 발음하면 앞 음절의 모음이 뒤 음절의 모음에 의해 동화되어 고모음이 된다. [a] → [E]로 동화된다.
  • a55puE55pu55 할아버지
앞 음절이 이중모음이고 뒤 음절이 단모음인 경우, 이어서 발음하면 앞 음절이 늘 단모음으로 바뀐다.

- sAu13 삼 + bz`@~(줄) → s613bz`@~13 삼밧줄

두 개의 이중모음이 중첩적으로 나타날 때, 앞 음절이 단모음으로 바뀐다.
  • sgiA55 사랑 + sgiA55sgA55sgiA55 서로 사랑하다

(2) 순행동화

앞 음절의 모음이 뒤 음절의 모음을 동화시킨다. 이런 현상이 많지 않다.
  • to55 위 + ʂy55 이 → to55ʂu55 윗니

phonproc_vowel nasalization : 비모음화(vowel nasalization)

  • 첫 번째 음절이 두 번째 음절 모음(비모음)의 영향을 받아 비모음화가 일어난다.

ma55 이름
ma55 + k_hE~13 (주다) → ma~55k_hE~13 이름을 지어주다

  • 두 번째 음절이 앞 음절의 비모음의 영향을 받아 비모음화가 일어난다.

u@~55
u@~55 + ts@55(쓸개) → u@~ts@~55 곰쓸개

doc/pumi/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