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pumi: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 푸미어의 수사에는 기수사, 합성수사, 어림수, 배수, 분수, 서수사 등이 있다.

(1) 기수사

  • 기수가 푸미어 중 가장 기본적인 수사이고 ‘1’부터 ‘9’ 그리고 백, 천, 만까지는 다 단음절 단어이다.
ti13 하나 ni13 sAu~13 ZE55
GuA~55 다섯 ts_hu13 여섯 xiE~13 일곱 s`uE13 여덟
sgiM55 아홉 s`@55 sti~55 ma55

(2) 합성수사

  • 합성수사는 두 개 기수사로 결합된다. 십 자리와 일 자리 사이에 접속사가 없으나 백 자리 이상의 수사가 결합할 때 그 사이에 접속사 n@55 ‘와/과’가 필요하다.
    ts`_hu13sqo55 ts`_hu13 육십 육
    ts`_hu13s`@55 n@55 ts`_hu13 육백 육
  • 일수와 연도를 계산할 때 접속사를 쓰지 않는다.
pumi1242 lushaozun1983:37
ti13ko55Gu13sAu12s`@55ts`_hu13sqo55GuA~55n_013s`i13.
oneyearPTCLthree.hundredsixtyfivedayEXIST.
일 년은 삼백육십오 일이다.
  • 10부터 99까지 그 앞에 추가된 qa55qo55 그리고 20부터 90뒤에 추가된 7o55sqo55 등이 모두 ‘십’의 어근과 관련되어 있으나 이들은 단독으로 쓰일 수 없다.

(3) 어림수

  • 어림수는 이웃하는 두 숫자로 표시된다.

(4) 배수

  • 배수는 한어 차용어 ‘배(倍)’를 이용해서 표시된다.

(5) 분수

  • 분수는 by55 ‘분’으로 표시된다. by55가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수사와 결합해야 한다.
pumi1242 lushaozun1983:38
sA~u13by55gA55Gu13nA~u13ti13by55.
threeCLPTCLCONJoneCL
삼분의 일.

(6) 서수사

  • 푸미어의 서수사는 한어 차용어, 예를 들면 ti13i13 ‘제일’, ti12sA~55 ‘제삼’, ti13Gu55 ‘제오’ 등을 이용해서 표현된다.
  • 푸미어의 수사가 분류사와 결합하지 않아도 되고 명사 뒤에 바로 붙어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p_hZA13 sA~u13 돼지 세 마리
    p613ts@55 ni13 꽃 두 송이
  • 수식을 받을 성분이 인칭대명사일 때 반드시 분류사 ts@55 ‘개’와 결합해야 한다.
pumi1242 lushaozun1983:39
t@55gA55tS@~13ni13ts@55Z255.
3SGchildrentwoCLhave
그는 자식이 둘이다.
doc/pumi/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