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pumi:4_ss:41_cl:41_cl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41_cl : 절(clause)

(1)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 푸미어에서는 단문의 주어나 목적어 같은 핵심 논항은 어순과 구조 조사를 통해 구별한다. 문장 성분 사이에 어순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 푸미어의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이다.

① 보통 행위주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pumi lushaozun2009:567
lAu13s@55tS@~55mie55t_h@13-lo13-si55.
teacherhomePREF-go-SUF
선생님이 집으로 돌아갔다.
  • 주어가 명사나 대명사의 수식을 받을 때 관형어가 주어 앞에 배치된다.
pumi lushaozun2009:567
t@55gA55tsy55t_h@13-lo13-si55.
3SGPTCLsunPREF-go-SUF
그의 아들이 갔다.
  •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주로 명사, 대명사(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의문 대명사), 형용사 등이 있다.

② 피행위주가 보통 주어 뒤, 서술어 앞에 위치하여 목적어가 된다.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와 이중목적어로 나뉘고 이중 목적어 뒤에 보통 구조 조사가 수반된다. 직접 목적어는 보통 이중 목적어 뒤에 위치한다.

pumi lushaozun2009:567
t@55gM55dZ@13dZ@13sto55-z`Mu55.
3SGbooklook-SUF
그는 책을 보고 있다.
pumi lushaozun2009:567
t@55gue55iE13lAU13s@55ts\i55dZ@13dZ@ti13pu13t_h@13-k_huE~13-si55.
3SGPTCLteacherPTCLletterNUMCLPREF-give-SUF
그는 선생님에게 편지 한 통을 주었다.
  •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목적어를 주어 앞에 배치할 수도 있다.
pumi lushaozun2009:567
mi55z`A55Ky13dzi55gM13nE13da13k_hu55.
peoplethingPTCL2SGNEGwant
너는 남의 물건을 원하지 마.
  • 목적어가 될 수 있는 것은 주로 명사, 대명사(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의문 대명사), 형용사, 수사 혹은 수량사구 등이 있다.

(2)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 푸미어의 문장 성분은 주어, 목적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보어 등 6가지로 나뉘고 이 중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는 주요 성분이고 관형어, 부사어, 보어는 이차적인 성분이다.
  • 서술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주로 동사, 형용사가 있다.
  • 관형어가 될 수 있는 수사나 수량사구, 형용사가 핵심어 뒤에 위치한다. 대명사(인칭 대명사, 의문 대명사, 지시 대명사)가 관형어일 때 핵심어 앞에 위치하명서 대명사 재차에 변화가 일어난다. 명사가 관형어일 때 핵심어 앞에 위치하면서 뒤에 구조 조사가 필요하다.
  • 부사어는 보통 핵심어 앞에 위치한다. 부사어가 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보통 부사, 형용사, 시간 명사가 있다.
  • 보어는 서술어에 대한 보충 설명의 역할을 한다. 수량사구가 보어일 때 서술어 앞에 위치하고 형용사가 보어일 때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doc/pumi/4_ss/41_cl/41_cl.15142035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12/25 21:05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