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미어의 시제는 미래시제, 현재시제, 과거시제로 나뉜다. 시제는 어떤 성분을 추가하는 것과 동사 어근의 굴절 변화로 표시된다.
- 동사 뒤에 다른 성분이 추가되고 어근에 변화가 없다. - 동사 뒤에 Se55가 추가되면 동작을 곧 시작한다는 것과 1인칭 단수를 나타낸다. - 동사 뒤에 Z`U@~55가 추가되면 동작을 하고 있다는 것과 1, 2인칭의 복수를 나타낸다. - 제3인칭의 동사는 시제를 구분하는 추가 성분만 있고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다. - 제1인칭과 제2인칭의 복수 형태가 동일하다. dz@55 먹다
| 수 | 인칭 | 미래시제 | 현재시제 | 과거시제 |
| 단수 | 1 | dz@55Se55 | dz@55zo~55 |k_h@13dziE~55sa~55 |
|단수 |2 |dz@55So55 |dz@55zu55 | kh@13dziMu55si55 |
|단수 |3 |dz@55qa55 |dz@55zMu55 |k_h@13dzy55si55 |
|복수 |1 |dz@55S@~55 |dz@55zu@~55 |kh@13dzi~55si55 |
| 복수 | 2 | dz@55S@~55 | dz@55zu@~55 |k_h@13dzi~55si55 |
|복수 |3 |dz@55qa55 |dz@55zMu55 | k_h@13dzy55si55 |
- 1인칭 단수 동사 뒤에 sa~55가 추가되고 나머지 경우일 때 동사 뒤에 si55가 추가될 뿐만 아니라 어근 자체도 굴절 변화가 일어난다.
| 원래 단모음 | 변화된 모음 |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 i | i | i~ | Mu | i~ | iu | iu | ||||||
| y | o | u@~ | u | u@~ | ua | ua | ||||||
| 2 | io | y@~ | iu | y@~ | ua | ua | ||||||
| E | E | E | E | E | uE | uE | ||||||
| @ | iE~/E~| i~ | iMu | i~ | y | y | | [A | A | yE~ | u | yE~ | A | A | ||||||
| o | o | yE~ | u | yE~ | o | o | ||||||
| 7 | 7 | @~ | Mu | @~ | y | y | ||||||
| M | M | @~ | Mu | @~ | u | u |
- 동사의 모음이 i, @일 때는 위 표에 따라 변화하는데 예외적인 단어가 있다. ni13(듣다)라는 동사가 과거시제일 때 1인칭 단수가 nA~U13로 바뀌고 복수에 변화가 없다. 2인칭 단수일 때 NIaU13로 바뀌고 다른 인칭일 때는 위 표와 같은 변화를 가진다.
| nE13 | z`@55 | pAu13kAu55 | ts\i55 | t_h@13niAu13si55. |
| 2SG | too | report | PTCL | PREF-listen-SU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