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qiang:2_wordclass:27_num:27_num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창어의 수사는 크게 기수사와 서수사와 분류된다.

(1) 기수사

1) 한 자릿수

a31 1 J_+_0i55 2 ts_hi55 3
dZɿ33 4 RuA33 5 Xts`u33 6
s\iN33 7 ts`_he33 8 Xgu@33 9

2) 두 자릿수

  • 10~19는 접두사 XA31를 어근에 부가하여 구성된다. 즉, 다음과 같다.
XA31dy33 10 XA31tSɿ33 11 XA31J_+_0i33 12

- 20~90은 어근에 접미사 sA33를 부가하여 구성된다. 즉, 다음과 같다.

ts_hi31sA33 30 dzɿ31sA33] 40

3) 분수와 배수 표현법

  • 분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qian1264 sunhongkai2006:351
dZɿ33Xdz`o33Xte55a31Xdz`o33
fourdivideinonedivide
4분의 1
  • 배수는 수사에 ts\_ha55 ‘배’를 나타내는 성분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ts_hi55ts\_ha55 3배

4) 복합수사

  • ‘백’, ‘천’, ‘만’은 모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수사 ‘1’과 결합해야만 쓰일 수 있다. 이것은 한어의 경우와 동일하다.

a31ts`_hi 일백, a31Xto55 일천

  • 여러 자릿수를 표현할 때는 중간에 na33 ‘와/과’를 삽입하여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qian1264 sunhongkai2006:352
ts_hi31sA33na33RuA33
thirtyandfive
삼십오(35)
qian1264 sunhongkai2006:352
a31ts`_hi55na33XA31dy33na33a31
onehundredandtenandone
백십일(111)

(2) 서수사

  • 창어의 서수사는 모두 한어에서 차용된 것

음력의 날짜를 계산할 때만 창어 고유의 방식으로 나타낸다. 즉, 수사의 뒤에 ts\y33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ts\y33는 한어의 ‘초하루(初)’의 ‘초(初)’에 해당하며 어순은 반대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ts\y31ts\y33 음력 초하루, J_+_0i55ts\y33 음력 초 이튿날.

doc/qiang/2_wordclass/27_num/27_num.148246133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23 11:48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