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qiang:2_wordclass:28_clf:28_clf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창어의 분류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된다.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명량사

  • 창어 桃坪话의 명량사는 의미와 용법 및 내원을 근거로 10개로 분류할 수 있다.
1) 사물의 개체단위를 나타냄

a31 Xgy33 一个, 一块 a31 zia33 一只, 一条, 一头, 一匹

2) 사물의 형태를 나타냄

a31 bzɿ33 一片, 一张, 一页 a31 bz\i241 一条,一根

3) 사물의 일부분으로 사물의 양을 나타냄

a31 dzuA33 一节(骨头) a31 Xdz\o33 一份(口粮)

4) 사용 도구로 양을 나타냄, 이것은 한어에서 차용된 것임

a31 pie33 一笔(字) a31 tAu33 一刀(肉)

5) 차용 용기 명사로 양을 나타냄

Ru241 碗, a31 Ru241 一碗

6)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유형은 종종 동작의 양을 나타내는데 쓰임

a31 p@33 一年, a55 s`ɿ31 一月, a31 sie33 一天

7) 화폐단위를 나타냄

a31 Xgya33 一元, a31 dz`i33 一角, a31 Xye33 一分

8) 도량형의 단위를 나타냄

a31 pu55一升, a31 dzie33 一钱

9) 동작 용언으로 양을 나타냄

Xtu33抱, a31 Xtu33 一抱

10) 전문적으로 집단, 단체를 나타내는 양사 있음

a31 Xbu33一窝, a31 bo241一队/一群/一些

  • 창어의 대부분의 양사는 한어에서 차용된 것. 창어 고유의 것 중에서 대부분의 명량사는 Xgy33 个(무생물의 사물의 양을 나타냄)와 zia33 条(사람이외의 모든 동물의 양을 나타냄)로 대체할 수 있다.
  • 한어에서는 명량사 중첩 후 ‘모든(每x)’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창어에서는 중첩의 방식이 아니라, 수량사의 뒤에 m@55q@33 또는 NA55NA31를 부가하여 ‘모든’의 의미를 나타낸다. m@55q@33는 일반적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수량사의 뒤에 부가하며, NA55NA31는 반대이다.

(2) 동량사

  • 동량사는 수량은 많지 않으나 그 용도는 비교적 광범위하다. 명량사를 차용하여 동작의 양을 나타내는 것 외에 전문적으로 동작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는 a31 t@33 一点儿, a31 ts`_h@33 一次, a31 tue33 一阵, a31 Xdye33 一觉 이 있다.

(3) 문법역할

1) 명사의 관형어로 쓰임.
qian1264 sunhongkai2006:355
ts_hu@55q@33m@33RuA33sa33l@33dio241Zɿ241
mountainonpeopleFiftyCLmorehave
산에는 오십여 명의 사람이 있다.
2) 용언의 보어로 쓰이며, 용언의 바로 앞에 놓임
qian1264 sunhongkai2006:355
no55tue13s`AN13zA241ti33a31t@33@`55ba31
2SGteamfoodstuffPTCLalittleback
당신은 한 무더기의 양식을 좀 지고 내려가세요.
3) 부사어로 쓰이며, 행위동작의 시간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량사구의 뒤에 조사가 쓰임.
qian1264 sunhongkai2006:355
t_ha55l@55ts_hi55p@33ko33pA31pA31t@31Sɿ51i31
3SGthreeCLPTCLfatherdie
그는 세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doc/qiang/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6:30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