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alar: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살라르어에는 약화, 탈락, 첨가, 동화와 모음조화 등 음운과정이 있다.

약화

  • 살라르어에서 음운의 약화에는 자음의 약화와 모음의 약화가 있다.

자음의 약화

  • 살라르어에서 자음의 약화 현상은 다음과 같다.
x / χ → ɣ / ʁ
  • 다음절 어간 말에 있는 연구개 무성 마찰음x와 구개수 무성 마찰음χ가 두 모음 사이에 있을 때(뒤에 문법 요소가 올 때) 유성음ɣ, ʁ로 약화된다.
단어 (+) 문법 요소 발음 의미
dʒidʒix 꽃 -im(혹은 -əm) dʒidʒiɣim(혹은 dʒidʒiɣəm) 나(혹은 우리)의 꽃.
ɢulɑχ 귀 ɢulɑʁə 그(그들)의 귀.
g → ɣ
  • 연구개 무기 폐쇄음 g가 두 모음 사이에서 같은 조음위치에 있는 유성 마찰음ɣ로 약화된다.
단어 (+) 문법 요소 / 단어 발음 의미
bu 이(this) gun 날(day) buɣun 오늘
ili 예전 -gi(-의) iliɣi 예전의~.
dʒ, tʃ → ʃ / ʂ
  • 무성 마찰음dʒ, tʃ가 어간말에 있을 때 무성음ʃ로 약화되는데 개별단어에서는 권설음인 무성 마찰음ʂ로 약화된다.
단어 의미 발음
sɑdʒ 머리카락 sɑʃ
udʒ 셋(three) uʃ 혹은 uʂ

모음의 약화

ɑ → ə
  • 모음ɑ로 끝나는 다음절 단어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문법 요소가 결합될 때 ɑ가 ə로 약화된다.
단어 (+) 문법 요소 발음 의미
gɑgɑ 오빠(형) -m gɑgəm 나(우리)의 오빠(형)
bɑlɑ 아이 -lɑr bɑləlɑr 아이들

탈락

  • 살라르어의 음운 탈락은 개별 음소의 탈락 현상과 음절의 탈락 현상이 있다.

개별 음소의 탈락

  • 개별 음소의 탈락에는 주로 자음 r, l의 탈락 현상이 있다.
자음r의 탈락
  • 살라르어의 동사 vɑr-(가다), ver-(주다),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lɑr/-ler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요소가 결합되면 r가 탈락된다.
단어 (+) 문법 요소 발음 의미
vɑr- 가다 -ʁur vɑʁur 갈 것이다.(미래시제)
ver- 주다 -mes vemes 줬다.(과거지제)
bɑləlɑr 아이들 -niɣi bɑləlɑniɣi 아이들의~.
  • 살라르어 단어에서 하나의 음절 내에 두 개의 자음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없다.
  • 고대 투르크어에서 하나의 음절 내에 자음r과 다른 자음이 이어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살라르어에서는 r가 탈락된다.
살라르어 의미 고대 투르크어
diot 넷(four) tört
bɑs 호랑이 pɑrs
dɑt- 끌다 tɑrt-
  • 미래시제의 불확실한 말투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ʁɑr, -ɣɑr, -ɢɑr, -gɑr과 진행상의 불확실한 말투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bɑr에서의 r가 음절말에 있을 때 탈락된다.(멍다 살라르어에서는 탈락하지 않는다.)
의미
u vɑ-ʁɑ. 그는 갈 것이다.
u ge-ɣɑ. 그는 올 것이다.
u vɑχ-ɢɑ. 그는 볼 것이다.
u et-gɑ. 그는 할 것이다.
u jɑʁmur jɑʁ-bɑ. 비가 내리고 있다.
자음l의 탈락
  • 동사 gel-(오다), vol(이다, 되다, 있다)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요소가 결합될 때 l가 탈락된다.
단어 (+) 문법 요소 발음 의미
gel- 오다 -ɣur geɣur 올 것이다.
gel- 오다 -bər gebər 오고 있다.
vol 이다, 되다, 있다 -miʃ vo-miʃ 생겼다.
vol 이다, 되다, 있다 -ʁɑr vo-ʁɑ 될 것이다.

음절의 탈락

  • 두 모음 사이에 있는 자음이 탈락되면서 단모음의 보충적 장음화가 일어난다.
  • 같은 어족에 속하는 언어와 비교할 때 살라르어에서는 다음절에서의 vɑ, bɑ음절은 탈락된다.
살라르어 발음 의미 위구르어 발음 의미
doχ dōχ < dovɑχ 뚜껑 tuwɑk tʰuvɑqʰ 솥뚜껑
don dōn < dovən 민속엿 topɑn tʰopʰɑn 사탕
  • 살라르어에서 단어 중의 음절ji가 탈락되는 경우도 있다.
살라르어 의미 고대 투르크어 의미
kiχ 야생 양 < kijiχ kejik 사슴
dʒyn 파리 <dʒijin čibin 파리, 모기

첨가

  • 살라르어에서 한 음절 안에는 두 개의 자음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없다.
  • 같은 어족에 속하는 언어에서 두 개의 자음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데 살라르어에서는 앞에 있는 자음이 탈락된다.
  • 동시에 음절 마지막 자음 뒤에 모음i나 ə가 첨가됨으로써 새로운 음절을 이룬다.
살르르어 의미 다른 언어 발음
iʃdʒi 위 < yst 위구르어, 터키어: üst yst
ɑldə 앞, 먼저 < ɑld 위구르어: ald ɑlt
dosdʒi 친구 < dost 페르시아어
doc/salar/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9:00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