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salar: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살라르어에서의 동화는 주로 역행동화현상이지만 순행동화현상도 있다.

역행동화

e + i → i + i
  • 단음절 혹은 다음절 단어의 마지막 음절 중의 모음 e가 뒤 음절의 모음i에 의해 동화되어 i로 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8
  • ve- : 주다 + ɣi: DESI → vi-ɣi : 내가 ~주다
  • de- : 말하다 + -dʒi : PST → di-dʒi : 말했다
  • et- : 하다 + -iʃ: VN → it-iʃ : 일하다, 노동하다
d / ʁ / x + g / ɢ → g / ɢ + g / ɢ
  • 무성 폐쇄음d, 연구개 유성 마찰음ʁ, 연구개 무성 마찰음x로 끝나는 어간 뒤에 무성자음 g, ɢ로 시작하는 문법요소가 오면 g, ɢ음으로 동화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3
  • jɑd- : 눕다 + -ɢɑn : PST → jɑɢ-ɢɑn : 누운 적이 있다
  • kod- : 업다 + -gen : PTCP → kog-gen : 업은 것
  • dɑʁ : 산 + -ɢɑ : DAT → dɑɢ-ɢɑ : 산 위로
  • ex- : 심다 + -gur : FUT → eg-gur : 심을 것이다
n + '–lɑ' / '-le' → l + lɑ / le
  • 치조 비음n로 끝나는 단음절 동사 어간 뒤에, 접미사 –lɑ나 -le가 결합되면 n이 l로 동화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4
  • don- : 들다(端) + –lɑ → dollɑ- : 의미는 앞의 동사와 같다
  • tʃyen- : 권하다 + -le → tʃelle- : 의미는 앞의 동사와 같다
n + b → m + b
  • 치조 비음n로 끝나는 구나 복합어인 경우, 선행 음절말의 n가 후행 음절 초의 자음b에 의해 같은 조음위치에 있는 자음m로 동화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4
  • onbeʃ : 십오 → ombeʃ : 십오 (<on : 십, beʃ : 오)
  • onbər : 십일 → ombər : 십일 (<on : 십, bər : 일)

순행동화

  • 주로 문법 요소(주로 동사 뒤에 오는 문법 요소)의 음운 구조가 어간말 뒤에 있는 음절의 모음과 자음의 영양을 받는다.
모음 / 유성자음 + 유성자음 / 모음
  • 모음 혹은 유성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요소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4
  • ojnɑ- : 놀다 + -ʁur : FUT → ojnɑ-ʁur : 놀 것이다
  • jyr- : 걷다 + -ɣen : PTCP → jyr-ɣen : 온…
무성자음 + 무성자음
  • 무성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무성자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요소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4
  • vɑχ- : 보다 + -ɢur : FUT → vɑχ-ɢur : 볼 것이다
  • ex- : 심다 + -guntʃux : CVB → ex-guntʃux : 심기 전에
ŋ + '–lɑ' → ŋ + nɑ
  • 동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 –lɑ가 연구개 비음ŋ로 끝나는 어간 뒤에 결합될 때 l가 비음n로 동화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15
  • dʒoŋ : 담다 + -lɑ → dʒoŋnɑ : 의미는 앞 동사와 같다
  • bɑŋ : 돕다 + -lɑ → bɑŋnɑ : 의미는 앞 동사와 같다
  • tʃiŋ : 성장하다 + -lɑ → tʃiŋnɑ : 의미는 앞 동사와 같다
doc/salar/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assimi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6 16:50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