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salar
»
4_ss
»
41_cl : 절(clause)
추적:
•
41_cl : 절(clause)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salar:4_ss:41_cl:41_cl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41_cl : 절(clause): 100% :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살라르어의 문장 성분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주어 역할
주격을 가지는 체언(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이 주어 역할을 하며 서술어 앞에 붙는다.
명사구, 동사구 등도 주어가 될 수 있다.
서술어 역할
서술어는 체언 서술어와 동사 서술어로 나눌 수 있다.
체언이 확정 말투를 가지는 조동사와 결합하여 서술어가 된다.
체언이 불확정 말투를 가지는 조동사와 결합하여 서술어가 된다.
체언이 조동사 ‘vol(되다, 이다)’와 결합하여 서술어가 된다.
동사 서술어는 동사의 평서법, 명령법, 원망법, 조건법 등으로 나타난다.
목적어 역할
살라르어의 목적어는 서술어 앞에 있는 직접 목적어와 서술어 뒤에 있는 간접 목적어로 나눌 수 있다.
목적격을 가지는 단어나 구가 직접 목적어가 될 수 있고 여격을 가지는 명사, 대명사나 구가 간접 목적어가 될 수 있다.
관형어 역할
형용사, 수사, 명사, 대명사, 形动词, 구 등이 관형어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사나 수량사구가 수식어 역할을 할 때 피수식어 뒤나 앞에 다 올 수 있다.
부사어 역할
부사, 부동사(副动词), 형용사, 명사, 수사, 대명사, 후치사, 구 등이 부사어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사어가 서술어 뒤에 있다.
부사어는 의미에 따라 시간 부사어, 장소 부사어, 행위방식 부사어, 원인 부사어와 목적 부사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 부사와 처격(位格), 종격(从格)을 가지는 명사, 명사구, 후치사 등이 시간 부사어가 될 수 있다.
장소 부사와 처격(位格), 종격(从格)을 가지는 명사, 명사구, 후치사 등이 장소 부사어가 될 수 있다.
상황 부사, 부동사(副动词), 수사, 의성어, 후치사 등이 행위방식 부사어가 될 수 있다.
원인 부동사(副动词) 혹은 동사구가 원인 부사어가 될 수 있다.
후치사 ‘vulə…(-를 위하여)’로 구성되는 구가 목적어 부사어 역할을 할 수 있다.
doc/salar/4_ss/41_cl/41_cl.152223743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3/28 20:43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