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alar:4_ss:48_tame:tame_mod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살라르어의 서법은 주로 동사의 활용에서 나타난다.
  • 살라르어는 명령법, 평서법, 조건법 등 서법으로 화자가 언급된 행위나 상태에 대한 태도를 나타낸다.
  • 평서법에는 확정법과 불확정법의 구분이 있다.

명령법

  • 명령법에는 원망법, 명령법, 희망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원망법
  • 1인칭 단수, 복수와 결합되어 화자가 어떤 행동을 이루기를 바라거나 어떤 행동과 관련된 사람과 함께 그 행동을 이루기를 바란다.
  • 1인칭 복수에는 청자 포함(我们)과 청자 배제(咱们)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청자를 포함하는 1인칭 복수나 1인칭 단수의 경우
  • 유성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ə/-ɣi’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59
men(piser)vɑ-ʁə.
1SG(1PL.INCL)go-DESI.
나(우리) 가겠다.
jiez1238 linlianyun1985:59
men(piser)ge-ɣi.
1SG(1PL.INCL)come-DESI.
나(우리) 오겠다.
  • 무성자음이나 비음 n, ŋ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ɢə/-gi’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59
men(piser)bərvɑχ-ɢə.
1SG(1PL.INCL)onelook-DESI
나(우리) 좀 보자.
jiez1238 linlianyun1985:59
men(piser)et-gi.
1SG(1PL.INCL)do-DESI
나(우리) 하겠다.
  • 원망법은 호소나 요구, 원망 등도 나타낼 수 있다.
  • 동사 어간 뒤에 문법 요소 ‘-ɢoʁə’가 결합되어 요구, 소망이나 결심을 나타낸다.
jiez1238 linlianyun1985:59
selɑrbərsorəʃminəkeli-simengel-ɢoʁə.
2PLonediscuss1SG.ACCneed-3SG.POSS1SGcome-DESI
너희들이 상의해 봐. 내가 필요하다면 내가 오겠다.
청자를 배제하는 1인칭 복수
  •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ɑl/ɑ’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60
piservɑr-ɑl.
1PL.EXCLgo-DESI.
우리 가자.
  •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ʁɑl/-ɣɑl’ 혹은 ‘-ʁɑ/-ɣɑ’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60
piserojnɑ-ʁɑl.
1PL.EXCLplay-DESI.
우리 놀자.
  • 동사 어간 뒤에 문법 요소 ‘-ɢulɑ’도 결합될 수 있다.
jiez1238 linlianyun1985:60
piseriʃde-ɢulɑ.
1PL.EXCLfind-DESI.
우리 찾자.
  • 원망법은 동명사(VN)와 조동사 ‘gel(오다)’의 결합으로 나타난다.
  • 동명사 뒤에 소유인칭을 나타낼 때 1, 2, 3인칭이라면 보통 ‘-ŋ/-si’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60
menvɑ-ʁuŋgel-ər.
1SGgo-VN.1SG.POSSAUX-PRS
나는 가고 싶다.
jiez1238 linlianyun1985:60
ujɑd-ɢusigel-bɑ.
3SGsleep-VN.3SG.POSSAUX-PROG
그는 자고 싶다.
명령법
  • 2인칭에 쓰여 화자가 청자에 대한 요구나 청자가 어떤 행위를 이루라고 명령함을 나타낸다.
  • 2인칭 단수와 복수의 명령법은 동사 어간을 통해 나타난다.
jiez1238 linlianyun1985:61
sen(selɑr)ɢo-nəɑtʃ!
2SG(2PL)door-ACCopen
너(너희들) 문 열어라!
  • 동사 어간 뒤에 문법 요소 ‘-doʁo/-duʁu’가 결합되어 2인칭화자의 희망, 당부나 요구를 나타낸다.
jiez1238 linlianyun1985:61
sen(selɑr)zoʁzɑ-doʁo!
2SG(2PL)sit.down-IMP
너(너희들) 앉아라.
jiez1238 linlianyun1985:61
senjyrə-duʁu!
2SGgo-IMP
너 가라!
희망법
  • 3인칭에 쓰여 화자가 어떤 행위를 제3자가 이루기를 희망하거나 결정한다.
  • 희망법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가 원망법의 첫 번째 형태와 같다.
  • 즉 동사 어간 뒤에 문법 요소 ‘-ʁə/-ɢə/-ɣi/-gi’ 혹은 ‘-ɢoʁə/-ɢuʁə’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62
u(ulɑr)vɑχ-ɢə/vɑχ-ɢoʁə.
3SG(3PL)look-DESI/look-DESI.
그(그들)가 보게 해라.

평서법

  • 평서법에는 시제와 상의 구분이 있다.
  • 평서법의 시제에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이 있다.
  • 평서법의 상에는 진행상과 완료상이 있다.
  • 구체적은 내용은 ‘48_tame : 시제-상’ 참고.
평서법의 능동문(能动式)
  •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il/-əl’가 결합되고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l’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70
menpidi-l-dʒi.
1SGwrite-ACTV-PST.DIREVID
나 쓸 수 있었다.
jiez1238 linlianyun1985:70
menvɑr-əl-ʁur.
1SGgo-ACTV-FUT
난 갈 수 있을 것이다.
평서법의 비능동문(非能动式)
  • 능동식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 ‘-me/-mɑ’, ‘-mes/-mɑs’ 혹은 ‘-mər’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70
meniʃ-il-me-dʒi.
1SGdrink-ACTV-NEG-PST.DIREVID
나는 마실 수 없었다.
  • 능동식 뒤에 조동사 ‘joχdər(없다)/joχɑ(없다)’가 결합되어 평서법의 비능동식을 나타내기도 한다.
jiez1238 linlianyun1985:70
menjumɑχojnɑ-ljoχdər.
1SGballplay-ACTVAUX
나는 공을 칠 줄 모른다.
평서법의 의문문
  • 평서법의 의문식은 동사 어간 뒤에 시제나 상을 나타낸 후에 다시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 조사나 문법 요소가 결합됨으로 나타난다.
동사 어간 + 과거시제 + 의문 어기사 ‘mu/mo/mi/u’
  • 과거시제 동사의 의문식은 동사 어간 뒤에 과거시제를 붙인 후 다시 의문 어기 조사를 붙임으로써 드러난다.
jiez1238 linlianyun1985:71
gedʒesengel-dʒimu?
yesterday2SGcome-PST.DIREVIDQ
어제 네가 왔어?
jiez1238 linlianyun1985:71
uge-miʃu?
3SGcome-PST.INDIREVIDQ
그가 왔어?
  • 동사 어간 뒤에 문법 요소 ‘-du/-do’가 결합되어 청자가 하던 동작의 완료를 화자가 직접 목격함을 나타낸다.
jiez1238 linlianyun1985:71
seniʃ-du?
2SGdrink-PST
네가 마셨어?
  • 문장에서 의문대명사를 이용할 때 보통 시제나 상을 나타낸 동사 어간 뒤에 어기조사 ‘i’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71
senɢɑlɑvɑ-ʁuri?
2SGwherego-FUTQ
너는 어디로 갈 것인가?

조건법

  • 어떤 행위가 일어날 때의 조건, 시간 및 가정, 가상 등 말투를 나타낸다.
동사의 조건법
  • 살라르어 동사의 조건법은 동사 어간 뒤에 조건법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 ‘-sɑ/-se’가 결합됨으로 나타낸다.
jiez1238 linlianyun1985:71
ɑsmɑnnenejɑʁ-sɑ,selenge-ɣɑ.
skycontinuouslyfall-CONDflooddowncome-FUT
비가 계속 내리면, 홍수가 날 것이다.
동사 조건법의 부정
  • 동사 어간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 ‘-mɑ/-me’가 결합된 후에 조건법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 ‘-sɑ/-se’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72
edejɑʁmurjɑʁ-mɑ-sɑ,menge-ɣi.
tomorrowrainfall-NEG-COND1SGcome-FUT
내일 비가 내리지 않으면, 내가 올 것이다.
조건법의 능동문(能动式)
  • 조건법의 능동문과 비능동문은 평서법과 거의 같다.
  • 즉 동사 어간 뒤에 ‘-il/-əl/-l’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72
menvɑr-əl-sɑ,menvɑ-ʁə.
1SGgo-ACTV-COND1SGgo-DESI
내가 갈 수 있다면, 내가 가겠다.
조건법의 비능동문(非能动式)
  • 능동식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 ‘-me/-mɑ’가 결합된다.
jiez1238 linlianyun1985:72
menvɑr-əl-mɑ-sɑ,sɑŋɑjɑʃɑ-ʁə.
1SGgo-ACTV-NEG-COND2SG.DATsay-DESI
내가 갈 수 없다면 너에게 알려 주겠다.
  • 살라르어의 조건법은 양보의 말투도 나타낼 수 있다.
doc/salar/4_ss/48_tame/tame_mod.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2/28 20:31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