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sangkong
»
1_phonology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추적:
•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supra_pitch : 음조 (pitch)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sangkong: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합음(合音)
sang1320
Li2003
:91
mo³⁵ ( ← muŋ³¹ '하늘' + ho⁵⁵ '(비가) 오다') : 비가 오다
qhaŋ⁵⁵ ( ← qhe⁵⁵ 'that' + (ʑ)aŋ⁵⁵ : CL : 그것
비음 운미의 탈락
동일한 운모와 동일한 성조를 가진 두 음절을 연독(連讀)할 때 첫 번째 음절의 비음 운미가 탈락된다.
sang1320
li2003
:91
qhoŋ⁵⁵loŋ⁵⁵ ~ qho⁵⁵loŋ⁵⁵ : (집) 안
moŋ³³moŋ³³mba³³ ~ mo³³moŋ³³mba³³ : 높디높다
hom⁵⁵hom⁵⁵mba³³ ~ ho⁵⁵hom⁵⁵mba³³ : 향긋하다
파열음 운미가 비음 운미로 자유변독(自由變讀)하는 현상
이러한 현상의 예로 '-p ~ -m', '-t ~ -n', '-k ~ -ŋ'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sang1320
li2003
:91
aŋ³³pap³¹ ~ aŋ³³pam³¹ : 발굽
nap³¹ ~ nam³¹ : 콧물
lut³³ ~ lun³³ : 차(車)
set³³ ~ sen³³ : 야수
hak³³ ~ haŋ³³ : 칠(漆)
mok³³ ~ moŋ³³ : 포(炮)
이러한 자유변독은 입성(入聲)을 가진 단어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dazk > ) tsoŋ³¹이 그 예다. 그리고 타이어로부터의 차용어인 maŋ⁵⁵tom⁵⁵ '단추' 중 maŋ⁵⁵이 원래 mak⁹이었다.
이러한 자유변독이 존재하는 것은 현재 상콩어에 존재하는 파열음 운미도 점점 사라질 것임을 보여주는 듯하다.
자유변독으로 인해 파열음 운미가 그와 조음위치가 동일한 비음 운미에 대체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이른 시기에 파열음 운미가 사라지면서 그의 앞에 오는 이완모음이 긴장모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과 차별된다.
doc/sangkong/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7 20:09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