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seediq
»
2_wordclass
»
23_verb : 동사 (verb)
추적:
•
41_cl : 절(clause)
•
23_verb : 동사 (verb)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seediq:2_wordclass:23_verb:23_verb
23_verb : 동사 (verb)
싸이더커어의 동사에는 초점 접사를 가지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사에 있는 초점 접사는 보통 문장의 주어에 호응한다.
초점 체계(焦點系統)란 동사에 결합된 특정 접사가 관련된 명사구를 부각시킴으로써 그 명사구가 문장의 가장 현저한 성분, 즉 주어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런 문법 체계는 양태(語態) 또는 결합가(及物性) 표지 체계라고도 한다.
한 문장의 결합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가 같이 차례대로 나누어진다.
① 명사: 의미관계, 수, 영향을 받는 정도, 한정이나 비한정.
② 동사: 동태동사 또는 정태동사, 타동사 또는 자동사, 동사의 정형 혹은 비정형.
③ 문장: 완망(實現) 또는 비완망(非實現), 상(modality, 語氣/語體), 부정이나 긍정 혹은 명령.
싸이더커어의 동사 초점 체계(焦點系統)에는 동작주태 초점(主事焦點), 피동작주태 초점(受事焦點), 장소 초점(處所焦點), 수혜/도구/참조 초점(受惠/工具/參考焦點)이 포함되며 각기 다른 초점 접사로 표기된다.
초점 접사들은 문장의 서법에 따라 동사에 여러 형태 변이가 일으킨다.
싸이더커어의 동사에는 동태동사와 정태동사, 자동사와 타동사, 정형 동사와 비정형 동사의 구분이 있다.
의미관계와 초점 표지에 따라 긍정 직설법(肯定直述文)과 비긍정 직설법(非肯定直述文)의 초점 접사는 다음과 같다.
초점 부류
긍정 직설법 초점
비긍정 직설법 초점
동작주태 초점
m(V)-, -m-, ø
ø
피동작주태 초점
-un
-i
장소 초점
-an
-i
수혜/도구/참조 초점
s(V)-
-ani
동작주태 초점 접사들은 정태동사, 자동사 등과 결합된다.
피동작주태 초점, 장소 초점, 수혜/도구/참조 초점 접사들은 타동사와 결합됨으로 비동작주태 초점(非主事焦點)으로 묶을 수 있다.
비긍정 직설법에는 명령문, 부정(否定)문 등이 포함된다.
doc/seediq/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5/08 14:52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