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seediq:4_ss:43_ctype:ctype_verb

ctype_verb : 동사절 (verbal clause)

  • 동사 서술어 내부의 어순은 초점이나 인칭 대명사의 사용에 따라 달라진다.
1) 동작주 초점 동사 + 주어
  • 동작주 초점이 있는 문장은 문법적으로 자동사가 쓰인다.
  • 동작주가 돋보이는 동태 동사, 기술적인 정태 동사(형용사), 자세 동사 또는 위치 동사가 쓰이면 대부분은 단일 명사와 같이 사용되고 어순은 ‘동사+명사(주어)’이다.
taro1264 huanglimei2018:54
gal-m-ingiskalaqi.
PROGcry-AF-cryNOMchild
아이가 울고 있다.
2) 조동사 + 동작주 초점 동사 + 확장 명사구 + 주어
  • 동작주 초점이 있는 문장에 명사 두 개가 있는 경우 하나는 주어이며 주격 표지와 같이 문장 끝에 나타나나고 다른 하나는 동사 뒤에 나타난다.
  • 이때 동사 뒤에 나타나는 명사를 확장 명사구라고 부르고 격 표지를 붙지 않는다.
taro1264 huanglimei2018:54
gam-heyubtunuxbarokalaqi.
PROGAF-standstonetopNOMchild
아이가 돌 위에 서 있다.
  • btunux baro : 확장 명사구

3) 조동사 + 주어(부착형 대명사) + 동작주 초점 동사 + 확장 명사구

  • 주어가 부착형 대명사인 경우 동사나 조동사 뒤에 결합되고 다른 명사는 그 뒤에 연결된다.
taro1264 huanglimei2018:54
gakum-heyubtunuxbaro.
PROG2SG.NOMAF-standstonetop
내가 돌 위에 서 있다.

4) 조동사 + 비동작주 초점 동사 + 속격 동작주 + 주격 피동작주

  • 비동작주 초점이 있는 문장의 어순이 다르다.
  • 비동작주 초점 문장에는 비동작주 초점, 장소 초점, 수혜/도구/참고 초점 등이 있으며 문법적으로 타동사가 사용된다. 때문에 문장 안에 적어도 명사 두 개가 있다.
  • 피동작주 초점을 예로 들자면, 두 논항이 모두 명사구인 경우 동작주가 피동작주 앞에 나타나고 동작주 뒤에 속격 표지 ‘na’가 붙이고 피동작주 뒤에는 주격 표지 ‘ka’가 결합된다.
taro1264 huanglimei2018:55
wadap-uqi-unnaPawankabungadi.
PFVCAUS-eat-PFGENPawanNOMsweet.potatoPTCL
고구마는 Pawan에게 먹혔다.
  • Pawan : 동작주, bunga : 피동작주

5) 조동사 + 주격 피동작주(부착형 대명사) + 속격 동작주(부착형 대명사) + 비동작주 초점 동사

  • 두 논항이 모두 부착형 대명사인 경우 피동작주는 주격 대명사 의존 형태로 동사나 조동사 뒤에 바로 붙이고 동작주는 속격 대명사로 주격 피동작주 대명사 뒤에 연결된다.
taro1264 huanglimei2018:55
gakunackul-un.
PROG1SG.NOM3SG.GENpush-PF
그가 나를 민다.
  • ku : 주격 피동작주, na : 속격 동작주
  • 주: cikul + un → ckulun

6) 비동작주 초점 동사 + 주격 피동작주(부착형 대명사) + 속격 동작주(부착형 대명사) + 확장 명사구 + ka 동작주

  • 비동작주 초점이 있는 문장에 세 개 논항이 있는 경우, 세 번째 논항은 보통 격 표지를 붙지 않는 확장 명사구이고 두 개 부착형 대명사 뒤에 결합된다.
taro1264 huanglimei2018:56
s-cebukunabtunuxkaUmin.
CF-throw1SG.NOM3SG.GENstoneNOMUmin
Umin이 돌을 나에게 던진다.
  • ku : 주격 피동작주, na : 속격 동작주, btunux : 확장 명사구
doc/seediq/4_ss/43_ctype/ctype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7/11 15:17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