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eediq:4_ss:44_stype:stype_q

stype_q : 의문문 (interrogative sentence)

  • 싸이더커의 의문문은 크게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과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으로 나눈다.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다시 판정 의문문과 선택 의문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판정 의문문

  • 판정 의문문의 실현 방법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나눈다.
① 문장의 억양과 강세에 의한 판정 의문문
  • 의문사나 조사 없이 문장의 억양은 오름내리기로 하고 문장의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주어진다.
taro1264 huanglimei2018:121
tamasukahéya↘?
fahter2SG.GENNOM3SG
그 분이 너의 아버지셔?
② 평서문과 문장 끝에 결합되는 여러 조사(wa, ha, di, ga)로 실현된 판정 의문문
  • 문장의 억양도 오름내리기로 하고 문장의 강세 역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주어진다.
taro1264 huanglimei2018:122
m-n-ekanmudukaWatangádi↘?
AF-PFV-eatorangeNOMWatanPTCLPTCL
Watan이 귤을 먹었어?
③ 평서문과 문두에 결합되는 판정 의문사‘ye’로 실현된 판정 의문문
  • 이때 문장 끝에 조사(wa, ha, di, ga)가 결합될 수도 있다.
  • 문장의 억양도 오름내리기로 하고 문장의 강세 역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주어진다.
taro1264 huanglimei2018:122
yetamasukahéya↘?
Qfahter2SG.GENNOM3SG
그 분이 너의 아버지셔?

(2) 선택 의문문

  • 선택 의문문은 두 개의 문장을 병렬하고 문두에 판정 의문사 ‘ye’가 결합됨으로 이루어진다.
  • 이때 두 문장의 억양은 오름내리기로 하고 두 문장의 강세는 두 문장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주어진다.
taro1264 huanglimei2018:123
yesutamakahéya↘,yesusensekahéya↘?
Q2SG.GENfatherNOM3SGQ2SG.GENteacherNOM3SG
그 분이 너의 아빠셔, 아니면 선생님이셔?

(3)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그 의문사의 품사에 따라 다시 명사성을 가지는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과 동사성을 가지는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으로 나뉜다.

1) 명사성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 사람, 사물, 선택, 수량, 장소, 시간 등을 나타내는 의문사가 다음과 같다.
taro1264 huanglimei2018:124
  • ima : 누구, 누가
  • maanu : 무엇
  • kenu : 어느
  • piya : 몇, 얼마
  • inu : 어디
  • knuwan, sknuwan : 언제
taro1264 huanglimei2018:124
Imakaheya?
QNOM3SG
그가 누구야?

2) 동사성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 싸이더커어의 동사성 의문사가 많고 주로 ‘huwa’을 어근으로 하는 의문사이다.
  • ‘huwa’가 단독적으로 쓰일 수 없고 다른 단어나 초점 등과 결합해야 한다.
  • 상태, 내용, 방법, 원인, 결과 등을 물어볼 때 쓰인다.
taro1264 huanglimei2018:131
  • huwa kesun, kuwa mesa : 어떻게 되다
  • hmuwa, hmnuwa : 어떻게 하다
  • hwaun : 무엇으로 하다
  • hunwun, hnwaan : 무엇을 어떻게 처리하다
  • malux, ma : 왜
taro1264 huanglimei2018:133
Masuiniekankaisu?
Q2SG.NOMNEGeatNOM2SG
너 왜 안 먹어?
doc/seediq/4_ss/44_stype/stype_q.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20 20:49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