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eediq:6_cs:61_clink:61_clink

61_clink : 접속 (clause linking)

  • 싸이더커어의 접속에는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이 있다.

(1) 대등 접속

  • 대등 접속은 주로 접속사 ‘ma’로 두 문장을 연결시킨다.
taro1264 huanglimei2018:169
s-m-eruskubaiskayakumaisuserusgakac.
mop-AF-mop1SG.NOMwindowNOM1SGand2SGmopchair
내가 창문을 닦고 네가 의자를 닦는다.

(2) 종속 접속

  • 종속 접속은 주로 접속사로 두 문장을 연결시킨다.
  • 종속문은 시간, 조건, 원인, 결과, 양보 등 여러 사건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종속문 끝에 늘 조사(첨사) ‘we, ge, ho, dige, de’ 등이 쓰인다.

1) 시간 종속문

  • 시간의 틀을 제시해 주는데 주요 사건이 다른 사건 앞이나 뒤에 혹은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낸다.
  • 주요 사건이 종속 사건 앞에 일어나는 것은 주로 부정문을 통해 시간 틀을 나타내며 주로 선행절에 쓰인다.
  • 종속 사건이 이미 일어났거나 아직 일어나지 않았거나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건이 될 수 있다.
taro1264 huanglimei2018:158
inikudehuknanawe,tenawadakaheyadi.
NEG1SG.NOMarriveyetPTCLPFVgoNOM3SGPTCL
내가 도착하기 전에 그가 이미 갔다.
  • 선행절의 부정이 ‘-전에’를 나타낸다.
  • 처격조사 ‘bobo(-위에)’가 시간 접속사로 쓰여 ‘-뒤에, -다음에’를 나타낸다.
  • ‘bobo na’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 종속 사건이 주요 사건 뒤에 일어남을 나타낸다.
  • 종속 사건은 이미 일어났거나 아직 일어나지 않았거나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건이 될 수 있다.
taro1264 huanglimei2018:158
bobo.nadehukmiyanhiyade,asimiyanpradingmeepahdi.
afterarrive1PL.EXCL.NOMtherePTCLright.away1PL.EXCL.NOMstartAF.workPTCL
우리가 거기에 도착한 뒤에 바로 일하기 시작했다.
  • 시간 종속문 끝에 오는 조사(첨사) ‘de/dige(de가 제일 흔하다)’는 어느 정도의 휴지가 수반되며 ‘-할 때’의 의미로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낸다.
taro1264 huanglimei2018:159
dehukhiikarisokiide,tenamhedumeepahkadheyadi.
arrivethereNOMyoung.manthatPTCLPFVAF.finishAF.workNOM3SGPTCL
그 청년이 거기에 도착했을 때 그들이 이미 일을 끝냈다.

2) 조건 종속문

  • 조건 종속문에 접속사 ‘netun, nasi(-으면, -었으면)’가 쓰인다.
  • 종속 사건이 주요 사건이 일어나는 조건임을 타나낸다.
  • ‘netun’는 일반적인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에 쓰인다.
taro1264 huanglimei2018:160
netunkume-eyahalangkusunde,me-eyahkutheyaqsapahsu.
if1SG.NOMAF-comevillagetomorrowPTCLAF-come1SG.NOMplayhome2SG.GEN
내가 내일 부락에 돌아간다면 너의 집에 놀러 갈 것이다.
  • ‘nasi’는 강한 불확정성이나 가정 또는 사실과 상위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문장에 쓰인다.
taro1264 huanglimei2018:160
nasibubumudinamahaanik-n-kanaseyangna
ifmother1SG.GENPTCLAF.gowhateverall-PFV-allangry3SG.GEN
나의 엄마였다면 엄마가 화 많이 냈을 것이다.

3) 원인 종속문(결과 종속문)

  • 원인 종속문에 접속사 ‘ado, ado ka(-때문에)’가 쓰이며 ‘ka’는 보통 생략된다.
  • 결과를 나타낼 때 ‘kiya ya(혹은 준말 kika, 그래서)’, ‘maku’, ‘asi maku’ 등이 쓰인다.
  • ‘ado ka’ 및 ‘kiya ya’는 문장에 단독적으로 쓰일 수 있고 ‘ado ka…kiya ya…’식으로 쓰일 수도 있다. 선행절과 후행절 또는 두 사건의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taro1264 huanglimei2018:161
adoq-m-uyuxmam-dheriqkaeluwkikam-oadkusdheriqdi.
becauserain-AF-rainandAF-slipNOMroadsoAF-pass1SG.NOMCF.slipPTCL
비가 와서 길이 미끄럽기 때문에 내가 넘어졌다.
  • ‘ado’는 ‘so(그래서, 이렇게 해야…)’와 함께 사용되고 보통 후행절에 쓰임으로 두 문장이나 두 사건의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taro1264 huanglimei2018:162
stklang-ipusuerucnahling-anga,Cili,adosomkere.
tamp-PF.IMProotpillar3SG.GENhang-PFthatCilisuchsohard
Cili, 이 빨래 너는 기둥의 뿌리 부분을 다져 놔라, 이렇게 해야 튼튼하다.
  • 주: stkelang + i → stklangi, heluy + an → hlingan

4) 양보 종속문

  • 접속사 ‘ani(…라 하더라도)’, ‘ani naq(비록…)’, ‘ani si(-지만)’ 등이 쓰임으로 양보 또는 역전을 나타낸다.
  • 두 문장 또는 두 사건이 대립되거나 역전되는 관계를 나타낸다.
taro1264 huanglimei2018:162
ani.naqiniqitadoriqnapaimurudanwe,inik-rbunikabiracna.
even.ifNEGlookeye3SG.GENgrand.mother1SG.GENold.womanPTCLNEGSTAT-a.deaf.personNOMear3SG.GEN
나의 할머니는 비록 눈이 안 보이지만 귀먹지 않는다.
doc/seediq/6_cs/61_clink/61_clink.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9/21 21:35 저자 최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