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seediq
»
8_lexicology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추적:
•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seediq:8_lexicology:82_wform:wform_deriv
목차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1) 접두사
(2) 접미사
(3) 접요사
(4) 이중접사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싸이더커어의 접사는 접두사, 접미사, 접요사와 이중접사로 나눌 수 있다.
(1) 접두사
싸이더커어에서 접두사의 양이 가장 많다.
접두사에 의해 파생된 단어의 품사가 바뀌는 경우와 바뀌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두사가 결합될 때 원래 어근이나 어간에서 어떤 자음이나 모음이 탈락되는 경우가 있다.
1) 품사가 바뀌는 경우
주로 ‘명사’에서 ‘동사나 서술어’로 바뀌는 경우이다.
① k-(자라다, 입다/끼다, -으로)
taro1264
huanglimei2018
:30
k- : 자라다 + hei : 열매 → k-hei : 열매를 맺다
k- : 끼다 + bunch : 모자 → k-bunch : 모자를 끼다
k- : 입다 + kucu(일본어) : 신발 → k-kucu : 신발을 신다
k- : 으로 + truma : 안 → k-truma : 깊이 들어가다
② t-(낳다)
taro1264
huanglimei2018
:30
t- : 낳다 + laqi : 아이 → t-laqi : 아이를 낳다
t- : 낳다 + hido : 태양 → t-hido : 해가 나오다
③ p-(입다/끼다, 하다, 동사화 문법요소)
taro1264
huanglimei2018
:31
p- : 입다 + lukus : 옷 → p-lukus : 옷을 입다
p- : 하다 + sasing : 사진 → p-sasing : 사진을 찍다
p- : 하다 + daping : 발자국 → p-daping : 짓밟다
p- : 동사화 문법요소 + gaya : 규범 → p-gaya → 규범을 지키다
④ s-(어떤 냄새가 나다, 있다(동사화 문법요소), 때)
taro1264
huanglimei2018
:31
s- : 냄새가 나다 + rebu : 오줌 → s-r-rebu : 오줌 냄새가 나다
s- : 있다 + beyax : 힘 → s-beyax : 힘이 있다
s- : 때 + riso : 청년 → s-riso : 젊었을 때
⑤ mg-(처럼/같다, 되다)
taro1264
huanglimei2018
:31
mg- : 처럼 + laqi : 아이 → mg-laqi : 아이처럼
mg- : 되다 + riso : 청년 → mg-riso : 청년이 되다
⑥ ms-/mt-(서로 친척관계나 대인관계가 되다)
taro1264
huanglimei2018
:31
ms- : 서로 어떤 관계가 되다 + dangi : 친구 → ms-dangi : 서로 친구가 되다
mt- : 서로 어떤 관계가 되다 + swai : 동생 → mt-swai : 서로 형제가 되다
2) 품사가 바뀌지 않는 경우
① sk-(이미 돌아가신 사람)
taro1264
huanglimei2018
:31
sk- : 돌아가신 사람 + Pawan : 사람 이름 → sk-Pawan : 돌아가신 Pawan
② tn-(어떤 물건의 소유주, 어떤 사람과의 관계)
taro1264
huanglimei2018
:31
tn- : 어떤 물건의 소유주 + cakus : 장목/녹나무 → tn-cakus : 장목의 소유주
tn- : 어떤 물건의 소유주 + huling : 개 → tn-huling : 개의 소유주, 개의 주인
tn- : 어떤 사람과의 관계 + dangi : 친구 → tn-dangi : 친구 사이
tn- : 어떤 사람과의 관계 + ama : 사위 → tn-ama : 장인/장모와 사위 사이
③ m(V)-(-을 것이다)
taro1264
huanglimei2018
:32
m(V)- : -을 것이다 + imah : 마시다 → mi-imah : 마실 것이다
m(V)- : -을 것이다 + damux : 지붕을 잇다 → m-damux : 지붕을 이을 것이다
④ p-(사동)
taro1264
huanglimei2018
:32
p- : 사동 문법요소 + bege : 주다 → p-bege : 주게 하다
p- : 사동 문법요소 + ekan : 먹다 → pe-ekan : 먹이다
⑤ (m-)p-(-을 것이다)
taro1264
huanglimei2018
:32
m-p- : -을 것이다 + rengo : 말하다 → m-p-rengo : 말할 것이다.
m-p- : -을 것이다 + seku : 저장하다 → m-p-seku : 저금할 것이다.
⑥ m-C-(서로 어떻게 하다)
taro1264
huanglimei2018
:32
m-q- : 서로 + qiri : 얽매다 → m-q-qiri : 서로 얽매다
m-d- : 서로 + dayo : 돕다 → m-d-dayo : 서로 돕다
(2) 접미사
싸이더커어에서 동사로부터 명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가 있다.
-an
접미사 ‘-an’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taro1264
huanglimei2018
:32
hpray : 삶다 + -an : 장소 → hpray-an : 주방
cpil : 받침 + -an : 물품 → cpil-an : 도마
(ali) gndreg : (날) 쉬다 + -an : 시간 → (ali) gndreg-an : 쉬는 날, 일요일
kniy : 시비를 걸다 + -an : 원인 → kniy-an : 시비를 거는 원인
(3) 접요사
싸이더커어에서 동사로부터 명사를 파생시키는 접요사 ‘<n>’이 있다.
접요사 ‘<n>’의 의미가 동작의 대상과 관련되어 있다.
-n-
taro1264
huanglimei2018
:32
-n- : 접요사 + lihu : 꿰다 → l<n>ihu : 꿰어진 것
(4) 이중접사
여기서 말하는 이중접사는 한 단어를 파생시키는 데 두 개 이상의 접사가 동시에 필요하다.
접용사+어간+접미사
-n-어간-an
taro1264
huanglimei2018
:33
-n- : 접요사 + qyut : 묻다 + -an : 접미사 → q<n>yut-an : 물린 곳
-n- : 접요사 + kguh : 긁다 + -an : 접미사 → k<n>guh-an : 긁힌 곳
doc/seediq/8_lexicology/82_wform/wform_deriv.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5/24 17:03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