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sui: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기수는 다음과 같다.

  • to2(ˀjət7, ti3) : 1
  • ɣa2(ɳi8) : 2
  • haːm1 : 3
  • ɕi5 : 4
  • ŋo4 : 5
  • ljok8 : 6
  • ɕəʈ7 : 7
  • paːt7 : 8
  • ʈu3 : 9
  • sup8 : 10
  • pek7 : 100
  • ɕen1 : 1000
  • faːn6 : 10000
  • lin4 : 0

어림수는 다음과 같다.

  • qa3 : 약간
  • tam3 : 하나 둘
  • ku3 : 온전히, 꼬박 (많음을 강조)

서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기수의 앞에 ti6(제, 第)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첫번째, 두번째는 ˀjət7, ɳi6를 사용해야만한다.)

    예) ti6ˀjət7 첫 번째, ti6ɳi6 두 번째, ti6sup8ɕi5 열 네번째

  • 기수의 앞에 so1(초, 初)를 부가하여 음력 매 달의 초순의 날짜를 나타낸다. 중순과 하순은 기수사를 써서 나타낸다.

    예) so1ɳi6 초 이튿날, njen2ɕi5 sup8ŋo4 4월 15일

  • 시간명사, 친족 호칭의 서열은 일반적으로 기수를 직접 뒤에 위치시켜 나타낸다.

    예) luŋ2 ɳi6 둘째 백부

수사의 어법 특성

(1) 기수는 직접 양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년,월, 일 등의 소수 시간명사, 장소명사, 친족호칭을 나타내는 명사 및 양사작용을 하는 명사는 기수사가 앞에 온다.
suii1243 Zhangjunru1980:38
haːm1ai3
threeCL
세 명
suii1243 Zhangjunru1980:38
ɣa2fe2
twosister
두 명의 언니

(2) 배수와 할(10분의 1)은 각각 dup7와 haŋ2으로 나타낸다.

suii1243 Zhangjunru1980:38
haːm1ⁿdup7
threetimes
3배

(3) 서수가 양사 또는 다른 명사를 수식할 때 서수는 뒤에 위치한다.

suii1243 Zhangjunru1980:38
van1ti6haːm1
daythird
셋째 날

(4) 숫자 백, 천, 만은 앞에 수사를 수식받는 것 외에, 지시대사의 수식도 받을 수 있다.

suii1243 Zhangjunru1980:38
haːm1ɕen1tsa5
threethousandthat
그 삼천

(5) '1'의 개념을 나타내는 수사로는 ti3, to2, ˀjət7, laːu3이 있는데, 용법이 각기 다르다.

  • ti3 용법① : 다른 수사와 연용하여 수를 셀 수 없으나, 양사와 결합한 후에는 연속으로 수를 셀 수 있다.

    예) ti3 to2 한 마리, ɣa2 to2 두 마리

  • ti3 용법② : '백, 천, 만, 배, 할'의 앞에 놓여 곱셈을 나타낸다. '영(0)'의 뒤에 놓여 양사를 가지거나 '백, 천'등 수사를 가진다.
suii1243 Zhangjunru1980:39
ti3faːn6lin4ti3pek7
onetenthousandzeroonehundred
만백(10100)
  • ti3 용법③ : sup8 (십, 10) 또는 ɣa2(이, 2)의 앞에 놓여 어림수를 나타낸다.
suii1243 Zhangjunru1980:39
ti3sup8to2
onetenCL
십여 마리
  • to2 용법 : 양사의 수반여부와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수를 셀 때만 사용한다.

    예) to2 ɣa2 haːm1 ɕi5 (1, 2, 3, 4)

  • ˀjət7 용법① : 일반적으로 서수사 혹은 서수를 나타내는 형태소에 사용한다.
    예) ti6ˀjət7 첫번째
  • ˀjət7 용법② : 십, 백, 천, 만, 영(0)의 뒤에 놓일 수 있으며, 그 다음 위치의 수를 나타낸다.
suii1243 Zhangjunru1980:40
haːm1ɕen1ˀhət7
threethousandone
삼천백(3100)
  • ˀjət7 용법③ : 다른 수사와 연속하여 쓰여 수를 셀 수 없다.
  • laːu3 용법① : 양사의 앞에 혹은 ti3(1)의 앞에 놓일 수 있으며, 단독의 하나임을 강조한다.
suii1243 Zhangjunru1980:40
laːu3ai3
oneCL
단 한분
  • laːu3 용법② : 수학연산에 쓰인다.
suii1243 Zhangjunru1980:40
laːu3ʈa3ɣa2dai3haːm1
oneplustwogetthree
일 더하기 이는 삼(1+2=3)

(6) '2'의 개념을 나타내는 수사로는 ɣa2, ɳi6이 있는데, ɣa2는 ti3(1)와 비슷하고 ɳi6는 ˀjət7(1)와 유사하다.

  • ɣa2는 다른 수사와 연속하여 쓰여 수를 셀 수 있다.
  • ɣa2는 양사, 친족을 나타내는 호칭의 명사 및 '백, 천, 만'의 앞에 쓰일 수 있으며, lin4(0)의 쓰여 영의 수를 낼 수 있다.
  • ɳi6는 sup8(10)의 앞 뒤에 쓰여 수를 셀 수 있으며, '백, 천, 만'의 뒤에 쓰여 그 자릿수를 나타낼 수 있다.
suii1243 Zhangjunru1980:41
ɳi6sup8ɳi6
twotentwo
이십이(22)
suii1243 Zhangjunru1980:41
faːn6ɳi6
tenthousandtwo
만이천(12000)
doc/sui/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7:02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