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tajik:tajik

목차

타지크어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타지크족은 신장 위그르 자치구 타지커 자치현 및 카스지구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인구는 약 9만 천명이다.(2000년 기준)
2016/08/29 14:23

02_dialect : 방언 (dialect)

  • 타지크어에는 萨里库尔(Sariqul)어와 와키어, 두 가지 방언이 있다.
  • Sariqul어는 타지크족 안에서 사용인구가 많으며 타지커족 거주지역 전체에서 사용되는 주요 방언이다.
  • Sariqu어는 대부분 본래 어휘와 문법구조를 보존하고 있음과 동시에, 돌궐어 특히 위구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차용어역시 돌궐어와 위구르어의 차용어가 대부분이다.
2016/08/29 14:58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2016/08/29 14:26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 타지크어는 인도유럽어계 이란어족 파미르어지(支) 에 속한다.
2016/08/24 13:03

05_writing : 문자 (writing)

2016/06/16 13:11

11_cons : 자음 (consonant)

자음 개요

Bilabial stop p b
Bilabial nasal m
Labio­dental fricative f v
dentalfricative θ ð
Continuantsw
Alveolar stop t d
Alveolar nasaln
Alveolar lateral approximant l
Alveolarthrillr
Alveolarfricatives z
Alveolar Sibilant affricatets dz
Palato- alveolarfricativeʃ ʒ
Palato- alveolaraffricatetʃ dʒ
palatalapproximantj
velarstopk ɡ
velar affricate x ɣ
Uvularstop q
uvular fricativeX R
Glottalapproximant h
2016/08/24 22:03

12_vowel : 모음 (vowel)

단모음

  • 타지크어의 단모음은 총 6개이다.
고저 전후 원순 음소
close front unrounded i
close back unrounded ɯ
close back unrounded u
close mid front unrounded e
close mid back rounded o
open front unrounded a

이중모음

  • 타지크어의 이중모음은 총 8개이다. 그중 i 가 운미인 것이 4개이고 나머지는 u가 운미이다.

ei, ui, Mi, oi, iu, eu, Mu ,ou

2016/08/25 21:34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2016/06/16 13:11

supra_length : 장단 (length)

2016/06/16 13:11

supra_pitch : 음조 (pitch)

  • 성조
  • pitch accent
  • 억양
2016/06/16 13:11

supra_stress : 강세 (stress)

2016/06/16 13:11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V : o 말
  • VC : iS 춥다
  • VCC : Mvd 7
  • CV : pa ~에 있다
  • CCV : sfo
  • CVC : dud 숙부
  • CCVC : stid 조밀하다
  • CVCC : pMrg
  • CCVCC : broxt 마시다
  • CVCCC : pirSt
2016/08/25 22:07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2016/12/10 20:18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2016/12/10 20:18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모음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면 해당 언어에 다음 중 어느 것이 존재하는지 기술할 것.
    • 대치(주로 반모음화)
    • 탈락(모음 탈락)
    • 첨가(반모음 또는 자음의 첨가)
    • 축약
2016/12/10 20:18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2016/12/10 20:18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2016/12/10 20:18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 타지크어의 단어는 11개의 품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동사, 부사, 어기사, 전치사, 후치사, 감탄사이다.
2016/08/29 14:59

22_noun : 명사 (noun)

  • 타지크어의 명사에는 수, 격의 문법 범주가 있어 특정한 문법형식으로 표현된다.

명사의 수

  • 명사에는 단수와 복수가 두 가지 형식이 있으며, 명사의 단수는 명사의 원형이다.
  • 명사의 복수는 복수표지 Xeil를 가진다. 이 표지는 사격 명사에서 반드시 ef으로 바뀐다.
  • 명사 복수와 전치사가 연용하여 쓰일 때에도 반드시 ef가 부가된다.
  • 복수 표지를 부가하는 규칙은 엄격하지 않아 지켜지지 않을 때도 많으며, 특히 명사가 주격으로 쓰일 때는 복수표지를 잘 부가하지 않는다.

명사의 격

  • 타지크어의 명사에는 주격, 소유격, 대격, 목적격의 4가지 형식이 있다.
  • 주격은 명사의 원형 그대로 이며, 소유격은 단어 끝에 an을 가진다.
  • 대격은 끝에 ir 또는 ri을 가지는데, 명사의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면 ir을 가지고, 모음으로 끝나면 ri를 가진다.
  • 명사의 목적격은 어근의 앞에 a를 가진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OM GEN ACC ABS
SG N N -an N -ir, ri a- N
PL N-Xeil N -ef -an N -ef -ir a- N -ef
2016/08/30 09:59

23_verb : 동사 (verb)

  • 타지크어의 동사는 시태, 상, 양태, 인칭의 문법 범주가 있다.
  • 시태는 어근의 형식으로 나타내고, 상은 특정한 끝소리은 혹은 접미사로 나타낸다.
  • 양태는 조동사로 구현되고, 인칭은 어미 혹은 접미사로 나타낸다.
  • 임의의 동사 문법 형식은 모두 인칭과 배합되어야 비로소 어떤 인칭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타지크어의 동사원형은 단지 t, d 혹은 g의 세 가지의 어미만을 가진다.
  • 끝소리음 t는 무성자음의 뒤에 쓰이고, 끝소리 d 혹은 g는 모음 혹은 유성자음의 뒤에 쓰인다.
  • 끝소리 g를 가진 동사는 비교적 적다.
  •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Zoxt run, tiZd pull, vig search
2016/08/30 10:00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타지크어의 형용사에는 등급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있는데, 원급, 비교급, 최상급의 세 등급이다.

형용사 원급

  • 비파생으로 구성된 성질형용사의 원형을 의미한다.
  • 예를 들어, tSardZ 좋다. pMr 많다.

형용사 비교급

  • 형용사의 원급에 접미사 der를 부가하여 비교급을 나타낸다.
  • 예를 들어, tSardZ-der비교적 좋다. pMr-der비교적 많다.

형용사 최상급

  • 형용사의 원급에 ou를 부가하여 최상급을 나타낸다.
  • 예를 들어, tSardZ-ou 가장 좋다. pMr-ou 가장 많다.
2016/08/29 15:15

25_adv : 부사 (adverb)

(1)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 inguv 방금
  • ilu 잠시
  • dujim 종종

(2) 순서를 나타내는 부사

  • wuz 다시
  • tom 그런 연후에

(3) 방식을 나타내는 부사

  • beXala 갑자기
  • nouz 여전히

(4)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 aron 오직
  • sal 조금
  • uburo 더욱

(5) 짐작을 나타내는 부사

  • magam 대략
  • albat 당연
2016/08/30 10:03

26_exclam : 감탄사(interjection, exclamation)

  • 타지크어의 감탄사는 대부분 음절이 짧으며, 예를 들어 oh, woi, oulo이다.
  • 음절의 구성은 종종 수의적이며 발음상 독립성을 가지고, 문법적으로 전체 문장에 대해 감정의 색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taji1245 gaoerqiang2008:890
ha-a,waz-ammasjot!
EXCLAM-SUFF1SG-SUFFalsocome
하아, 나도 왔어!
2016/08/30 10:04

27_num : 수사 (numeral)

  • 타지크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 형태변화가 없으나, ‘1(일)’은 활용시 i로 변형된다. 숫자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iu Dou aroi tsavur pindz
6 7 8 9 10
Xel Mvd woxt neu Des
10 20 30 40 50
Des wist si tSal pindZu
60 70 80 90 100 1000
oltmiS jatmiS saksan tuqsan sad szur
  • 수사의 병렬조합은 큰 수가 앞에 작은 수가 뒤에 놓이며, 중간에 접속사 at ‘와’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taji1245 gaoerqiang2008:881
siatpindz
thirtyandfive
삼십 오 (35)
  •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는 접미사 intSi 혹은 indZi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첫 번째는 iu-intSi이고 두번째는 Dou-intSi이다.
2016/08/30 10:0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타지크어에는 분류사가 없다.
2016/08/30 10:09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타지커어의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 재귀대명사는 격변화를 하는데, 사격의 어근에 나타내고자 하는 격의 성분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 격성분과 명사의 격변화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어두와 어미는 같다.
2016/08/30 10:11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 타지크어의 문맥지시사는 근칭을 나타내는 대명사는 iad, jam의 두 가지가 있고, 원칭을 나타내는 대명사는 jM 또는 ji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문맥지시사는 격변화가 있는데, 주격은 지시사의 원형을 의미하고, 사격지시사의 어근은 모두 격변화가 있다.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ROX(1) PROX(2) DIST
NOM iad jam jM ji
GEN di-an mi-an wi-an
ACC di-ri mi-ri wi-ri
ABL a-di a-mi a-wi
2016/08/30 10:12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2016/06/16 13:11

pro_indf : 비한정사 (indefinite, indefinite pronoun)

2016/06/16 13:11

pro_int : intensifier (강조사)

2016/06/16 13:11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 주격의 인칭대명사는 인칭대명사의 원형을 의미한다.
  • 사격인칭대명사는 단지 복수 1인칭과 2인칭 그리고 주격과 같다.
  • 기타 다른 인칭의 어근에는 모두 변화가 있다.
  •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SG 1.PL
NOM waz maS
GEN mM-an maS-an
ACC mM-ri maS-ir
ABL a-mM a-maS
2.SG 2.PL
NOM tou tamaS
GEN ta-an tamaS-an
ACC tM-ri tamaS-ir
ABL a-ta a-tamaS
3.SG 3.PL
NOM jM woD
GEN wi-an wef-an
ACC wi-ri wef-ir
ABL a-wi a-wef
2016/08/30 10:16

pro_q : 의문사 (interrogative)

  • 타지크어의 의문대명사로는 의문사 ko ‘어디’, tseiz ‘무엇’, tSoi ‘누구’등이 있으며, 의문대명사 중에서, tSoi 만이 사격의 어근이 반드시 tSi로 변한다.

taji1245 gaoerqiang 2008:880

NOM GEN ACC ABL
tSoi tSi-an tSi-ri a-tSi
2016/08/30 10:17

pro_recp : 상호사 (reciprocal)

2016/06/16 13:11

pro_refl : 재귀사 (reflexive, reflexive pronoun)

  • 타지크어의 재귀대명사로는 XMbaD ‘자기’가 있으며, 격 변화는 다음과 같다.
NOM GEN ACC ABL
XMbaD XM-an XM-ri a-XM
2016/08/30 10:18

32_det : 한정사 (determiner)

2016/06/16 13:11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타지크어에는 전치사와 후치사가 있다.

(1) 전치사

전치사는 위치, 방향, 방식, 상태 등의 관계를 나타내고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원형을 연계시킨다. 상용하는 전치사는 제한적이며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다. 주요 전치사는 다음과 같다.

  • tSi ~에, ~를 향해서 (위쪽)
taji1245 gaoerqiang2008:887
tSinoX
PREPfireplace
아궁이 위에
  • pa ~에, ~를 향해서 (위쪽)
taji1245 gaoerqiang2008:887
papets
PREPface
얼굴에
  • ar ~에, ~를 향해서 (아래쪽, ~안)
taji1245 gaoerqiang2008:887
arsandwq
PREPbox
상자 안에
  • tar ~에, ~를 향해서 (평면)
taji1245 gaoerqiang2008:887
larprud
PREPfront
앞에
  • az ~로부터
taji1245 gaoerqiang2008:887
aztSed
PREPhouse
집으로 부터
  • paz ~를 따라서
taji1245 gaoerqiang2008:888
pazlab
PREPedge
가장자리를 따라서
  • par ~에(~사이에), ~를 향해서(~근처에)
taji1245 gaoerqiang2008:888
parDMst
PREPhand
세트는 손에
  • bar ~에(상황), 바로 그 때
taji1245 gaoerqiang2008:888
bardZui
PREPseat
자리에서
  • ma ~에(~주위에), ~를 향해서(~근처에)
taji1245 gaoerqiang2008:888
makol
PREPhead
머리에
  • ra ~에 (일정시간)
taji1245 gaoerqiang2008:888
ramaTon
PREPday
낮에
  • 전치사구에서 수식을 받는 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치사의 앞에 놓인다. 예는 다음과 같다.
taji1245 gaoerqiang2008:888
Zoxtjot-afRounpabMn
runcome-3PLhaversackPREPedge
그들은 쌀가마를 향해 달렸다.

(2) 후치사

후치사는 위치, 방식, 상태, 목적, 원인, 제한도 등의 관계를 나타낸다. 명사, 대명사, 동사원형과 함께 쓰이며, 수식을 받는 성분의 뒤에 위치한다. 후치사는 형용사, 부사 등의 수식성분과는 함께 쓰이지 않는다. 상용하여 쓰이는 후치사는 매우 제한적이다. 다음과 같다.

  • q(M)So 옆에
taji1245 gaoerqiang2008:889
tamaSqMSo
2PLPOST
너희들 옆에
  • Xeiz 신변, ~의 곁에
taji1245 gaoerqiang2008:889
X-otoXeiz
PREF-fatherPOST
아버지 곁에
  • inder 수중에, 몸
taji1245 gaoerqiang2008:889
wiinder
3SGPOST
그의 수중에
  • araSi ~에 의하면, 즉
taji1245 gaoerqiang2008:889
xigaraSi
eatPOST
먹는 것에 따라서
  • qati ~와/과
taji1245 gaoerqiang2008:889
wiqati
3SGPOST
그와 같이
  • avon ~를 위해서
taji1245 gaoerqiang2008:889
watanavon
homelandPOST
조국을 위해서
  • dZanib ~와 관련해서
taji1245 gaoerqiang2008:890
mulduridZanib
AnimalHusbandryPOST
축산업과 관련해서
  • its ~을 끝으로 하다.
taji1245 gaoerqiang2008:890
dundits
SometimePOST
일정 시간을 끝으로
2016/08/30 10:22

34_conj : 접속사 (conjunction)

상용하는 접속사는 다음과 같다.

  • at 와/과
  • to ~까지
  • XM 설령 …하더라도〔할지라도·일지라도〕.
  • iko 그래서
  • jujuki 또는
  • Xu 혹은
  • omham 게다가
  • amo 그렇지만
  • lekin 그러나
  • agar 만약에
2016/08/30 10:23

35_aux : 보조사(auxiliary)

2016/06/16 13:11

36_ptcl : 첨사(particle)

2016/06/16 13:11

39_func : 기타 기능어 (function word)

2016/06/16 13:11

41_cl : 절(clause)

2016/06/16 13:11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2016/12/10 20:18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2016/12/10 20:18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2016/06/16 13:11

43_ctype : 절 유형 (clause type)

2016/06/16 13:11

ctype_adj : 형용사절 (adjectival clause)

2016/09/08 17:30

ctype_cop : 계사절/명사절 (copular clause)

2016/12/10 20:18

ctype_verb : 동사절 (verbal clause)

  • 자동사절
  • 타동사절
    • 이중타동사절
      • 어순
      • 정렬
        • flagging
        • indexing
2016/06/16 13:11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2016/06/16 13:11

stype_exclam : 감탄문 (exclamative sentence)

  • 타지크어의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어기사로 감탄사를 나타낼 수 있다. 어기사로 감탄을 나타내는 예문은 다음과 같다.
taji1245 gaoerqiang2008:898
Xeir,XASbur!
likebyeEXCLAM
좋아, 안녕!
2016/08/30 10:25

stype_imp :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2016/06/16 13:11

stype_q : 의문문 (interrogative sentence)

  • 타지크어의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사로는 o ‘~까’가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taji1245 gaoerqiang2008:895
boSa-aftagwando?
PERS-2SGfinallyseeQ
결국 보샤(인명)를 봤니?
  • 의문대명사 ko ‘어디’, tseiz ‘무엇’ 등을 써서 의문문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문은 다음과 같다.
taji1245 gaoerqiang2008:909
mMvrudtarko?
mybrotherPREPQ
나의 형은 어디에 있습니까?
2016/08/30 10:26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타지크어는 기본적으로 SOV의 어순을 가진다. head-final 언어라고 할 수 있다.
taji1245 gaoerqiang2008:908
putxu-andigarbatSonavMd
king-GENOtherchildrenNEGhave
왕은 다른 자식이 없다.
2016/08/30 10:27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2016/06/16 13:11

val_appl : 추가태 (applicative)

2016/06/16 13:11

val_caus : 사동 (causative)

2016/12/10 20:18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2016/12/10 20:18

val_pass : 피동 (passive)

2016/12/10 20:18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2016/12/10 20:18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2016/12/10 20:18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2016/12/10 20:18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2016/06/16 13:11

tame_aspect : 상 (aspect)

2016/06/16 13:11

tame_evid : 증거성 (evidentiality)

2016/12/10 20:18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2016/06/16 13:11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2016/12/10 20:18

tame_tense : 시제 (tense)

  • 절대시제
  • 상대시제
2016/06/16 13:11

51_neg : 부정 (negation)

  • 타지커어의 부정은 부사로 나타낸다. 부정부사로는 na‘没, 不’, naji ‘否’, mo ‘莫, 别’ be ‘无, 不’이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taji1245 gaoerqiang2008:891
abalo,a-divertseiz-irnabawei!
EXCLAMchild,PURP-doorACC-QNEGclose
아이야, 왜 문을 닫지 않니!
2016/12/10 20:18

52_poss : 소유 (possession)

2016/06/16 13:11

poss_adnom : 관형 소유 구성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adnominal possession)

2016/06/16 13:11

poss_pred : 술어 소유 구성 (predicative possessive construction, predicative possession)

2016/06/16 13:11

53_comp : 비교 (comparison)

2016/12/10 20:18

62_subr : 내포 (embedding)

2016/06/16 13:11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2016/06/16 13:11

subr_nmlz : 명사화 (nominalization) / 명사절 (nominalized clause)

2016/12/10 20:18

subr_quot : 인용절 (quotative clause)

2016/12/10 20:18

subr_rel : 관계화 (relativization) / 관계절 (relative clause)

2016/12/10 20:18

63_svc : 연동 구문 (serial verb construction)

2016/12/10 20:18

64_control : 통제 구문 (control construction)

2016/12/10 20:18

71_semantics : 의미(semantics)

2016/12/10 20:18
2016/12/10 20:18

81_voca : 어휘 체계 (lexis, lexicon, vocabulary)

2016/09/08 15:41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2016/12/10 20:18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2016/12/10 20:18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2016/12/10 20:18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2016/12/10 20:18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2016/12/10 20:18

A1_text : 텍스트 (text)

2016/12/10 20:18

B_biblio : 참고문헌 (reference, bibliography)

2016/12/10 20:18
doc/tajik/tajik.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