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h255me?53 매우, 가장', 'kAN35me31tsE?53 굉장히' 등이 자주 쓰이는 정도부사이다.
주로 서술어를 수식한다. 행위동작의 범위를 나타낸다. 자주 쓰이는 범위부사는 다음과 같다.
'tsAN55mA53 모두', 's\A55tA?53 단지', 'ch2n55tOm55 모두', 'tA35pu53 같이'
서술어를 수식하는 데 쓰인다. 행위동작의 시간과 속도를 나타낸다. 자주 쓰이는 시간부사로
'tA31tA53현재, lAm31sA53곧, tA31ken55막, tA35ne31잠시, hop53tep53돌연히, tA55se31눈 깜짝할 사이에' 등이 있다.
'li35khu35li35khu31po35잘, n\A35ku53n\A35ku53po35몰래, ts\hAt55po53ts\hAt55po53po35빨리, jAN35po53jAN35po53po35가볍게’
주로 부정, 저지 혹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동작을 가리킬 때 쓴다.
(1) mA35(me35, mo35). (중국어의 ‘不,没,没有’에 해당). 부정부사 mA35, me35, mo35는 동일한 단어인데 서로 다른 조건에서 서로 다르게 읽히는 것이다. 해당 동사의 운모가 평순고모음인 경우에 그 운모에 상응하는 변이음은 e모음이다. 만약 해당 동사의 운모가 원순모음인 경우에 그 운모에 상응하는 변이음은 o모음이다.
(2) tE35 와 mi35. -하지 마라. (중국어의 '别,不要,不用'에 해당). tE35를 비교적 자주 쓴다.
pu35sA53 | ji35ci53 | tE35 | pri35-cuʔ53 | ne?35. |
child | character | PROH | write-FUT | AUX |
부사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는 일반적으로 형용사 앞에 놓인다. 그렇지만 정도부사는 어떤 경우에는 형용사 뒤에 놓을 수도 있다. 나타내는 의미는 동일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동사 앞에 놓인다. 그렇지만 시간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그 위치가 매우 유동적이다. 어떤 경우에는 주어 앞에 놓을 수도 있고 주어 뒤 혹은 목적어 앞에 놓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시간부사가 주어 앞에 놓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tA55se31 | NA35rA?53 | pe35 | le31 | tshE?35cu?53 | men35 |
instant | 1PL | 3SG | PTCL | seek | AUX |
시간부사가 목적어 앞에 놓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NA35rA?53 | tA35ne31 | ji35ci53 | te55-cuʔ53 | men35 |
1PL | for.the.moment | book | see-FUT | AUX |